[취재수첩] 청년 없는 중소기업 채용박람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우상 중소기업부 기자 idol@hankyung.com
지난 19일 오후 경기 성남시청 1층 로비에서 중소기업들이 주로 참가한 ‘희망취업박람회’가 열렸다. 성남시는 행사에 앞서 40여 개 참가 기업이 130명을 채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비록 규모가 작은 행사지만 정부가 중소·중견기업에 취업하는 청년에게 1인당 연 900만원씩 3년간 지원하고 5년간 소득세를 면제해 주는 등의 내용을 담은 파격적인 청년일자리 대책이 발표된 지 나흘 만에 열리는 취업박람회여서 성남시는 많은 청년 구직자가 찾을 것으로 기대했다.
예상대로 행사장이 북적일 정도로 많은 구직자가 왔다. 그러나 청년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얼핏 봐도 젊은 층과 중장년층 비율이 2 대 8 정도였다. 주최 측 관계자는 “성남과 광주 지역에 거주하는 구직자에게 일일이 전화해 행사를 안내했다”며 “청년층이 전화를 잘 받지 않아 홍보가 덜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수업이 있는 오후 2~4시에 박람회가 열리니까 대학생이 오지 못한 것”이라는 궁색한 해명을 내놓았다.
참가 기업들은 어땠을까. 한 정보기술(IT) 중소기업 대표는 “청년 구직자를 뽑으려고 나온 건데 퇴직자만 많이 와 당황스럽다”며 “현장 채용을 계획했는데 필요한 인력을 구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날 부스를 연 40개 기업 중 25개 기업이 20~30대 청년 채용을 목표로 박람회에 참가했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주최 측은 뒤늦게 주로 중장년층을 겨냥해 기획한 행사였다고 설명했다.
박람회를 찾은 젊은 구직자들 호응도 좋지 않았다. 청년 구직자 중 상당수가 연봉 등을 확인하고는 별다른 상담도 없이 발걸음을 돌렸다. 주최 측에 따르면 참가 기업 40개 중 3개사를 제외하면 신입직원 초임이 3000만원 미만이었다. 구직자 A씨(23)는 “연봉 3000만원 이상 주는 중소기업이 정말 흔치 않다는 걸 실감했다”며 “3년간 신규고용지원금을 받아도 그 이후엔 다시 저연봉으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문재인 정부는 청년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위해 수차례 파격적인 지원책을 쏟아냈다. 그러나 여전히 청년 눈높이를 맞추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을 확인한 자리였다.
예상대로 행사장이 북적일 정도로 많은 구직자가 왔다. 그러나 청년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얼핏 봐도 젊은 층과 중장년층 비율이 2 대 8 정도였다. 주최 측 관계자는 “성남과 광주 지역에 거주하는 구직자에게 일일이 전화해 행사를 안내했다”며 “청년층이 전화를 잘 받지 않아 홍보가 덜된 것 같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수업이 있는 오후 2~4시에 박람회가 열리니까 대학생이 오지 못한 것”이라는 궁색한 해명을 내놓았다.
참가 기업들은 어땠을까. 한 정보기술(IT) 중소기업 대표는 “청년 구직자를 뽑으려고 나온 건데 퇴직자만 많이 와 당황스럽다”며 “현장 채용을 계획했는데 필요한 인력을 구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날 부스를 연 40개 기업 중 25개 기업이 20~30대 청년 채용을 목표로 박람회에 참가했다고 입을 모았다. 그러나 주최 측은 뒤늦게 주로 중장년층을 겨냥해 기획한 행사였다고 설명했다.
박람회를 찾은 젊은 구직자들 호응도 좋지 않았다. 청년 구직자 중 상당수가 연봉 등을 확인하고는 별다른 상담도 없이 발걸음을 돌렸다. 주최 측에 따르면 참가 기업 40개 중 3개사를 제외하면 신입직원 초임이 3000만원 미만이었다. 구직자 A씨(23)는 “연봉 3000만원 이상 주는 중소기업이 정말 흔치 않다는 걸 실감했다”며 “3년간 신규고용지원금을 받아도 그 이후엔 다시 저연봉으로 돌아가는 것 아니냐”며 한숨을 내쉬었다. 문재인 정부는 청년들의 중소기업 취업을 위해 수차례 파격적인 지원책을 쏟아냈다. 그러나 여전히 청년 눈높이를 맞추기에는 역부족이라는 것을 확인한 자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