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선투표 필요"… "특정인 배제 의도" 여당 서울시장 후보 '경선룰 갈등'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경선에서 결선투표 여부가 쟁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도전자인 박영선·우상호 의원은 흥행을 위한 결선투표를 주장하고 있으나 당 지도부는 경선 잡음을 우려해 ‘원샷’ 경선을 선호하고 있어서다.

박·우 의원 측은 21일 “서울시장 경선을 위한 결선투표가 필요하다”며 민주당 공천관리위원회에 결선투표를 비롯해 경선 흥행을 위한 조치를 마련해달라는 의견서를 제출했다. 박 의원 측은 “경선을 흥행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결선투표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 의원 측도 “후보자가 3명밖에 안 되니 결선투표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주장은 지난해 대선 때 3명의 후보를 두고 결선 투표를 도입한 전례에 비춰볼 때 설득력이 떨어진다”고 지적했다. 특히 우 의원은 “현역의원 출마 시 10% 감점, 여성 후보에게 10% 가점을 반영하면 3명의 후보 중 유일하게 10% 감점을 받는데 결선투표마저 없다면 경선을 하는 의미가 없다”고 지적했다.

두 후보 측은 ‘경선 후보자가 3명 이상일 경우 최고위원회 의결로 결선투표를 할 수 있다’는 당헌·당규상의 조항을 적용해 지도부에 결선투표 반영을 요구할 계획이다. 이 같은 움직임에 박원순 시장 측은 당의 결정을 따르겠다면서도 특정 후보를 겨냥한 경선 룰을 택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박 시장 측은 “당이 합리적인 결론을 내릴 것으로 믿는다”며 “다만 서울시에만 예외적으로 결선투표를 적용하는 게 형평성에 맞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당초 서울시장 경선은 후보 난립으로 1차 경선 후 2차 경선을 거치는 사실상의 결선투표가 예정됐으며 박·우 의원 측도 이를 염두에 두고 선거전략을 마련해왔다. 하지만 민병두·전현희 의원이 출마를 접은 데 이어 정봉주 전 의원의 복당까지 보류되면서 3파전으로 재편됐다. 이후 당 지도부는 ‘미투(me too: 나도 당했다)’ 정국과 경선 잡음 등을 고려해 ‘원샷’ 경선을 바라고 있다. 한 최고위원은 “경선은 야당일 때나 지지세가 약할 때 흥행을 위해 적용하는 방식인데 현재 서울시장 경선이 그런 상황은 아니지 않으냐”며 “후보자 간 합의를 통해 경선 룰을 정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김형호 기자 chsa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