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첫 인상' 관문도시 12곳 개발한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1단계 수색·도봉 등 4곳 추진
사당역 남태령 일대 시범 사업
사당역 남태령 일대 시범 사업
50년간 개발억제정책에 발이 묶였던 사당, 도봉, 수색 등 서울·경기 접경지역이 ‘서울 관문도시’로 개발된다.
22일 서울시는 접경지역 12개 지역을 서울 관문도시로 규정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게 재생키로 했다고 22일 발표했다. 대상 지역은 사당, 도봉, 온수, 수색, 신내, 개화, 신정, 석수, 수서, 강일, 양재, 구파발 등이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 안에 관문도시 조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큰 틀에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은 확실하게 자연성을 보존·회복하고 나머지는 일터(일자리), 삶터(주거), 쉼터(문화·여가·복지)가 있는 지역거점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50년간 이어온 ‘보존’ 위주 관리방식을 ‘보존과 개발’ 투트랙으로 바꾼다”며 “서울의 이미지 개선과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1단계 사업지는 권역별 균형을 고려해 사당(동남), 도봉(동북), 온수(서남), 수색(서북) 등으로 정했다. 2단계 사업지는 신내, 개화다. 3단계 사업지는 신정, 석수다.
1단계 사업지는 지역 특성에 맞는 콘셉트로 개발한다. 청년을 위한 거점도시인 사당, 동북권 최대 복합 체육·문화·생태도시인 도봉, 첨단 철도물류 거점도시인 수색, 문화와 자연이 함께하는 산업관문인 온수 등이다.
이 가운데 사당역과 남태령역 일대의 사당을 시범사업으로 우선 추진키로 했다. 이 지역은 전체 유동인구 중 20∼30대 비율이 42%로 높다. 이런 점을 감안해 사당 일대를 ‘청년특구’로 개발키로 했다. 총 2만8000㎡ 규모의 ‘일자리 인큐베이터’를 마련하고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200여 가구를 조성한다. 올 상반기에 과천대로 일대 종합발전구상을 확정하고 하반기에 지구단위계획 결정고시를 한 뒤 내년 중 사업승인을 받아 2020년에 착공할 계획이다.
그러나 개발을 위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해제하지는 않을 계획이다. 진 본부장은 “용도지역 상향 등을 통해 개발 밀도를 좀 더 높일 수 있도록 고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경기 접경지역은 1970년대부터 개발제한구역, 시계경관지구로 지정돼 개발이 제한됐다.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지만 부작용이 크다는 게 서울시 진단이다. 폐기물, 음식물처리장 등 기피시설과 불법건축물이 난립하며 미관을 해치고 있어서다. 개발제한구역 역시 주거지로 채워져 자연환경이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
22일 서울시는 접경지역 12개 지역을 서울 관문도시로 규정하고 각 지역 특성에 맞게 재생키로 했다고 22일 발표했다. 대상 지역은 사당, 도봉, 온수, 수색, 신내, 개화, 신정, 석수, 수서, 강일, 양재, 구파발 등이다.
서울시는 올 상반기 안에 관문도시 조성을 위한 마스터플랜 수립 용역에 착수할 계획이다. 큰 틀에서 보존이 필요한 지역은 확실하게 자연성을 보존·회복하고 나머지는 일터(일자리), 삶터(주거), 쉼터(문화·여가·복지)가 있는 지역거점으로 조성할 방침이다. 진희선 서울시 도시재생본부장은 “50년간 이어온 ‘보존’ 위주 관리방식을 ‘보존과 개발’ 투트랙으로 바꾼다”며 “서울의 이미지 개선과 지역균형발전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는 게 목표”라고 설명했다. 1단계 사업지는 권역별 균형을 고려해 사당(동남), 도봉(동북), 온수(서남), 수색(서북) 등으로 정했다. 2단계 사업지는 신내, 개화다. 3단계 사업지는 신정, 석수다.
1단계 사업지는 지역 특성에 맞는 콘셉트로 개발한다. 청년을 위한 거점도시인 사당, 동북권 최대 복합 체육·문화·생태도시인 도봉, 첨단 철도물류 거점도시인 수색, 문화와 자연이 함께하는 산업관문인 온수 등이다.
이 가운데 사당역과 남태령역 일대의 사당을 시범사업으로 우선 추진키로 했다. 이 지역은 전체 유동인구 중 20∼30대 비율이 42%로 높다. 이런 점을 감안해 사당 일대를 ‘청년특구’로 개발키로 했다. 총 2만8000㎡ 규모의 ‘일자리 인큐베이터’를 마련하고 청년·신혼부부를 위한 주택 200여 가구를 조성한다. 올 상반기에 과천대로 일대 종합발전구상을 확정하고 하반기에 지구단위계획 결정고시를 한 뒤 내년 중 사업승인을 받아 2020년에 착공할 계획이다.
그러나 개발을 위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를 해제하지는 않을 계획이다. 진 본부장은 “용도지역 상향 등을 통해 개발 밀도를 좀 더 높일 수 있도록 고민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경기 접경지역은 1970년대부터 개발제한구역, 시계경관지구로 지정돼 개발이 제한됐다. 도시의 무질서한 확산을 막고 자연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지만 부작용이 크다는 게 서울시 진단이다. 폐기물, 음식물처리장 등 기피시설과 불법건축물이 난립하며 미관을 해치고 있어서다. 개발제한구역 역시 주거지로 채워져 자연환경이 훼손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조수영 기자 deline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