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김정은 방중' 사전통보 못 받았나… 백악관, '사후통보' 공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北·中 공식발표 직후 브리핑 사실 공개…의도적 NCND?
미국 정부는 27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전격적인 방중 소식에 신중한 반응을 보였다.
워싱턴DC 당국자들의 반응은 중국으로부터 사전 통보를 받지 못했다는 뉘앙스다.
미 백악관은 27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김정은 방중에 대해 중국 정부가 화요일(오늘) 백악관에 연락을 취해 김정은의 베이징 방문을 우리에게 브리핑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이 중국으로부터 김정은 방중을 브리핑 받았다고 공개한 시점은 한국 시간으로는 28일 오전 9시50분께, 즉 중국과 북한이 양국 정상회담 사실을 공식 발표한 직후였다.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이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이뤄졌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의 방중 일정이 끝난 시점에 맞춰 중국이 백악관에 이런 사실을 '사후' 통보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백악관은 북중 정상회담이 성사된 데 대해서도 "우리의 최대 압박 전략이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적절한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추가 증거로 간주한다"며 미국의 대북 제재와 압박이 이뤄낸 성과라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미 정부는 중국과 북한이 북중 정상회담 사실을 공식 발표하기 전까지는 '김정은 방중설'에 대해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앞서 브리핑에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보고받았는가'라는 질문에 "북한(과의 정상회담)에 관한 준비에 대해 말하자면 대통령은 많은 영역에 있어 최신 동향들에 대해 파악이 잘 돼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내가 이런 보도를 확인하거나 부인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국무부의 헤더 나워트 대변인은 '중국을 방문한 인사가 김 위원장이 맞느냐'는 질문에도 "잘 알지 못한다.
그에 관한 이야기를 듣기를 고대한다"며 "누가 발표한 것인지 중국이 발표하도록 남겨두겠다"고 말했다.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도 국방부에서 열린 즉석회견에서 '김정은 방중설'에 대해 "나는 모른다"면서도 "아마 간 것 같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도 로이터통신에 현재까지 가용한 정보로는 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러 간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확인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만약 실제로 사전 통보가 없었다면, 오는 5월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미국에는 다소 당혹스러운 상황으로도 비칠 수 있다.
연쇄적인 남북·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그동안 '차이나패싱' 우려에 휩싸였던 중국이 '선수'를 치고 나선 모양새가 연출됐기 때문이다.
나아가 북한이 중국을 '지렛대'로 대북제재 완화를 노리지 않겠느냐는 관측과도 연결될 수 있는 대목이다.
미국이 '김정은 방중설'과 관련해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을 거듭 강조한 것도 이런 분석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존 박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선임연구원은 블룸버그 통신에 "백악관이 공식적으로는 미국의 '최대 압박 전략'으로 또 하나의 정상회담(북중 정상회담)이 성사됐다고 말하지만 사실 트럼프 행정부로서는 매우 우려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당국이 의도적으로 'NCND'(시인도 부인도 안 함) 기조를 유지했을 가능성도 있다.
일차적으로는 중국과 북한의 외교 사안인 만큼 미국 당국으로서는 중국의 공식 발표까지 침묵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나워트 국무부 대변인은 "누가 방문한 것인지 중국이 발표하도록 남겨두겠다"며 해석의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연합뉴스
워싱턴DC 당국자들의 반응은 중국으로부터 사전 통보를 받지 못했다는 뉘앙스다.
미 백악관은 27일(현지시간) 성명을 내고 "김정은 방중에 대해 중국 정부가 화요일(오늘) 백악관에 연락을 취해 김정은의 베이징 방문을 우리에게 브리핑했다"고 밝혔다.
백악관이 중국으로부터 김정은 방중을 브리핑 받았다고 공개한 시점은 한국 시간으로는 28일 오전 9시50분께, 즉 중국과 북한이 양국 정상회담 사실을 공식 발표한 직후였다.
김정은 위원장의 방중이 지난 25일부터 28일까지 이뤄졌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김 위원장의 방중 일정이 끝난 시점에 맞춰 중국이 백악관에 이런 사실을 '사후' 통보했다는 의미로도 해석할 수 있다.
백악관은 북중 정상회담이 성사된 데 대해서도 "우리의 최대 압박 전략이 북한과의 대화를 위한 적절한 분위기를 조성했다는 추가 증거로 간주한다"며 미국의 대북 제재와 압박이 이뤄낸 성과라는 점을 강조했다.
하지만 미 정부는 중국과 북한이 북중 정상회담 사실을 공식 발표하기 전까지는 '김정은 방중설'에 대해 "확인할 수 없다"는 입장을 되풀이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백악관 대변인은 앞서 브리핑에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 위원장의 중국 방문을 보고받았는가'라는 질문에 "북한(과의 정상회담)에 관한 준비에 대해 말하자면 대통령은 많은 영역에 있어 최신 동향들에 대해 파악이 잘 돼 있다"고 답변했다.
그는 "내가 이런 보도를 확인하거나 부인할 위치에 있지 않다"고 덧붙였다.
국무부의 헤더 나워트 대변인은 '중국을 방문한 인사가 김 위원장이 맞느냐'는 질문에도 "잘 알지 못한다.
그에 관한 이야기를 듣기를 고대한다"며 "누가 발표한 것인지 중국이 발표하도록 남겨두겠다"고 말했다.
제임스 매티스 국방부 장관도 국방부에서 열린 즉석회견에서 '김정은 방중설'에 대해 "나는 모른다"면서도 "아마 간 것 같다"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다른 정부 고위 관계자도 로이터통신에 현재까지 가용한 정보로는 김 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러 간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확인된 것은 없다고 밝혔다. 만약 실제로 사전 통보가 없었다면, 오는 5월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미국에는 다소 당혹스러운 상황으로도 비칠 수 있다.
연쇄적인 남북·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그동안 '차이나패싱' 우려에 휩싸였던 중국이 '선수'를 치고 나선 모양새가 연출됐기 때문이다.
나아가 북한이 중국을 '지렛대'로 대북제재 완화를 노리지 않겠느냐는 관측과도 연결될 수 있는 대목이다.
미국이 '김정은 방중설'과 관련해 중국의 대북제재 이행을 거듭 강조한 것도 이런 분석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존 박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선임연구원은 블룸버그 통신에 "백악관이 공식적으로는 미국의 '최대 압박 전략'으로 또 하나의 정상회담(북중 정상회담)이 성사됐다고 말하지만 사실 트럼프 행정부로서는 매우 우려해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다만 미국 당국이 의도적으로 'NCND'(시인도 부인도 안 함) 기조를 유지했을 가능성도 있다.
일차적으로는 중국과 북한의 외교 사안인 만큼 미국 당국으로서는 중국의 공식 발표까지 침묵했을 수 있다는 것이다.
나워트 국무부 대변인은 "누가 방문한 것인지 중국이 발표하도록 남겨두겠다"며 해석의 여지를 남기기도 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