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전문가들 긴급진단] "북미회담 앞두고 중국지지 견인 포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부친 선례 따르며 '우군 확보'…제재완화 탐색하며 협상주도권 확보 시도
"중국 지지 받아냈다면 미국과 협상과정에서 더 대담하게 밀어붙일 수도"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27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에 대해 오는 5월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 국면을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한 사전정지 작업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다소 소원해졌던 오랜 우방 중국과의 관계를 복원함으로써 '빅 이벤트'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북미정상회담을 전후해 주도권을 쥐고 가겠다는 포석이라는 것이다.
또 이러한 관계 회복을 통해 북한의 숨통을 조인 대북제재의 '열쇠' 역할을 해온 중국을 상대로 제재완화를 끌어내기 위한 탐색에 나섰을 것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연합뉴스·연합뉴스TV는 김 위원장의 방중 공식확인 직후 긴급 전문가 인터뷰를 했다. 켄 가우스 미국 해군연구소 박사는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회담 제안 수락은 북한 입장에선 무방비 상태로 당한 격"이라며 "김정은은 미국과의 정상회담에 앞서 평양의 입장을 설명하고 전략을 논의하는 한편 중국의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만날 필요가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러한 단계를 건너뛰었다면 유일하게 남은 후견국가와 틈이 더 벌어졌을 것"이라며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임명 등 대북 강경 라인 구축이 그 시기를 앞당긴 측면이 있지만 어쨌든 북미정상회담 전에 방중은 이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방중이 북미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김정은이 (중국으로부터) 어떤 대답을 들었느냐에 따라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얼마나 유연한 태도를 취할지가 좌우될 것"이라며 "김정은이 중국의 지지를 받아냈다면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좀 더 대담하게 자신의 입장을 밀어붙일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제재완화에 대한 확언을 얻어냈다면 북한 입장에서는 앞으로 책략을 펴가는데 더 운신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김정은의 베이징 방문은 과거 한국 대통령과 만나기 전에 그렇게 했던 아버지의 선례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한동안 북·중 관계가 껄끄러웠지만, 서울, 워싱턴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베이징과 조율하는 게 필요하다고 느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는 북핵 위기에 대한 외교적 해결을 주창해온 중국의 목표와도 부합한다"며 "과거의 협상 시도들이 실패했다는 것이 중국 입장에선 이번 시도를 지지하지 못할 이유가 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박정현 한국 석좌는 "김정은의 방중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의 지지를 강화하려는 시도로 보인다"며 "대북제재 이행 부분에 대한 중국의 생각을 탐색하기 위한 측면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레그 브래진스키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김정은의 방중은 가장 가까운 동맹인 중국에 한국 및 미국 행정부와의 진행 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차원과 함께 제재완화에 대해 요청을 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양측은 다가올 회담에 대해 사전에 논의하면서 이 과정에서의 중국의 역할과 제재완화, 중국의 지원 복원 등을 거론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중국 지지 받아냈다면 미국과 협상과정에서 더 대담하게 밀어붙일 수도"
미국의 한반도 전문가들은 27일(현지시간)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의 방중에 대해 오는 5월로 예정된 북미정상회담 국면을 유리하게 끌고 가기 위한 사전정지 작업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김정은 정권 출범 이후 다소 소원해졌던 오랜 우방 중국과의 관계를 복원함으로써 '빅 이벤트'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의 북미정상회담을 전후해 주도권을 쥐고 가겠다는 포석이라는 것이다.
또 이러한 관계 회복을 통해 북한의 숨통을 조인 대북제재의 '열쇠' 역할을 해온 중국을 상대로 제재완화를 끌어내기 위한 탐색에 나섰을 것이라는 진단도 나왔다.
연합뉴스·연합뉴스TV는 김 위원장의 방중 공식확인 직후 긴급 전문가 인터뷰를 했다. 켄 가우스 미국 해군연구소 박사는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전격적인 회담 제안 수락은 북한 입장에선 무방비 상태로 당한 격"이라며 "김정은은 미국과의 정상회담에 앞서 평양의 입장을 설명하고 전략을 논의하는 한편 중국의 지원을 확보하기 위해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과 만날 필요가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이러한 단계를 건너뛰었다면 유일하게 남은 후견국가와 틈이 더 벌어졌을 것"이라며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 임명 등 대북 강경 라인 구축이 그 시기를 앞당긴 측면이 있지만 어쨌든 북미정상회담 전에 방중은 이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방중이 북미정상회담에 미칠 영향에 대해선 "김정은이 (중국으로부터) 어떤 대답을 들었느냐에 따라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얼마나 유연한 태도를 취할지가 좌우될 것"이라며 "김정은이 중국의 지지를 받아냈다면 미국과의 협상 과정에서 좀 더 대담하게 자신의 입장을 밀어붙일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북한이 중국으로부터 제재완화에 대한 확언을 얻어냈다면 북한 입장에서는 앞으로 책략을 펴가는데 더 운신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헤리티지재단의 브루스 클링너 선임연구원은 "김정은의 베이징 방문은 과거 한국 대통령과 만나기 전에 그렇게 했던 아버지의 선례를 따른 것으로 보인다"며 "한동안 북·중 관계가 껄끄러웠지만, 서울, 워싱턴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베이징과 조율하는 게 필요하다고 느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는 북핵 위기에 대한 외교적 해결을 주창해온 중국의 목표와도 부합한다"며 "과거의 협상 시도들이 실패했다는 것이 중국 입장에선 이번 시도를 지지하지 못할 이유가 되진 않는다"고 말했다.
브루킹스 연구소의 박정현 한국 석좌는 "김정은의 방중은 트럼프 대통령과의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중국의 지지를 강화하려는 시도로 보인다"며 "대북제재 이행 부분에 대한 중국의 생각을 탐색하기 위한 측면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레그 브래진스키 조지워싱턴대 교수는 "김정은의 방중은 가장 가까운 동맹인 중국에 한국 및 미국 행정부와의 진행 상황을 알려주기 위한 차원과 함께 제재완화에 대해 요청을 하기 위한 목적도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양측은 다가올 회담에 대해 사전에 논의하면서 이 과정에서의 중국의 역할과 제재완화, 중국의 지원 복원 등을 거론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