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는 체감 못하는 '국민소득 3만달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작년 2만9745달러
올해 3% 안팎 성장하고
원화 급락 없다면 달성 가능
가계·기업은 홀쭉
청년 실업률 '역대 최고'
고용·소득 여전히 부진
소비 줄이고 저축 늘려
정부 곳간만 두둑
경제 전체 파이 커졌지만
가계·기업 몫은 줄어
올해 3% 안팎 성장하고
원화 급락 없다면 달성 가능
가계·기업은 홀쭉
청년 실업률 '역대 최고'
고용·소득 여전히 부진
소비 줄이고 저축 늘려
정부 곳간만 두둑
경제 전체 파이 커졌지만
가계·기업 몫은 줄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 3만달러 시대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2006년 2만달러대에 진입한 뒤 12년 만이다. 선진국 대열에 들어서는 것이지만 국민은 체감하기 어려운 ‘빛 좋은 개살구’란 지적도 많다. 부진한 고용은 좀체 살아나지 못하고 임금상승률은 제자리걸음인데 환율 효과에 편승한 영향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세수 확대 등으로 GNI를 구성하는 정부의 곳간은 커지는 반면 가계 살림은 쪼그라들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초읽기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9745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2만7681달러에서 7.5%(원화 기준 4.7%) 증가했다. 지난해 1인당 GNI가 늘어난 건 원화 강세(원·달러 환율 하락)와 추가경정예산 효과 덕분이다.
지난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2.6% 상승했다. 1인당 GNI는 가계, 기업, 정부 등 한 국가의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 생산 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인구로 나눈 값이다.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2016년 기준으로 1인당 GNI가 3만달러를 넘는 국가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등 25개국이다. 이 때문에 1인당 GNI 3만달러는 선진국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한국은 2006년 2만795달러로 2만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한 뒤 11년째 ‘2만달러대의 덫’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3%대를 유지하고 원화 가치 급락이 없다면 1인당 GNI가 무난히 3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구 5000만 명이 넘는 국가 가운데 소득 3만달러 이상인 국가를 뜻하는 ‘30-50 클럽’에 일곱 번째로 가입하게 된다.
◆축배 들 수 없는 경제
일각에선 현실과 동떨어진 지표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체감 경기와 밀접한 고용과 소득 추이가 여전히 부진해서다. 지난해 15∼29세 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고인 9.9%를 나타냈다. 가계의 실질소득은 2015년 4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매분기 마이너스 성장하다가 4분기에 겨우 플러스 성장(1.6%)으로 돌아섰다. 경제 전체의 파이가 커졌지만 가계가 가져가는 몫은 줄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경제주체별 GNI 비중을 봐도 그렇다.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하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1722조5000억원으로 전년보다 5.1% 늘었다. 이 가운데 가계 비중은 56.0%로 전년(56.3%)보다 줄었다. 기업 비중 역시 지난해 20.2%로 전년(20.6%)보다 줄었다. 하지만 정부 비중은 2016년 23.1%에서 지난해 23.8%로 늘었다. 세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정부 곳간이 두둑해진 덕분이다.
◆저축률 19년 만에 최고
저금리에도 저축률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6.3%로 1998년(38.0%) 이후 1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경제주체들이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린다는 얘기다. 가계가 저축에 매달려 지나치게 소비를 줄이면, 생산 위축과 고용 감소로 이어져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른바 ‘저축의 역설(逆說)’이다.
이날 발표된 지난해 경제성장률 잠정치는 3.1%로 지난 1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았다. 2015년(2.8%), 2016년(2.9%) 2년 연속 2%대에 머무른 뒤 3년 만에 3%대로 올라섰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 초읽기
2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9745달러를 기록했다. 전년 2만7681달러에서 7.5%(원화 기준 4.7%) 증가했다. 지난해 1인당 GNI가 늘어난 건 원화 강세(원·달러 환율 하락)와 추가경정예산 효과 덕분이다.
지난해 달러화 대비 원화 가치는 2.6% 상승했다. 1인당 GNI는 가계, 기업, 정부 등 한 국가의 경제주체가 일정 기간 생산 활동에 참여한 대가로 받은 소득의 합계를 인구로 나눈 값이다.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다.
2016년 기준으로 1인당 GNI가 3만달러를 넘는 국가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덴마크 등 25개국이다. 이 때문에 1인당 GNI 3만달러는 선진국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한국은 2006년 2만795달러로 2만달러를 처음으로 돌파한 뒤 11년째 ‘2만달러대의 덫’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한은은 올해 경제성장률이 3%대를 유지하고 원화 가치 급락이 없다면 1인당 GNI가 무난히 3만달러를 넘어설 것이라고 내다봤다. 인구 5000만 명이 넘는 국가 가운데 소득 3만달러 이상인 국가를 뜻하는 ‘30-50 클럽’에 일곱 번째로 가입하게 된다.
◆축배 들 수 없는 경제
일각에선 현실과 동떨어진 지표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체감 경기와 밀접한 고용과 소득 추이가 여전히 부진해서다. 지난해 15∼29세 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고인 9.9%를 나타냈다. 가계의 실질소득은 2015년 4분기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매분기 마이너스 성장하다가 4분기에 겨우 플러스 성장(1.6%)으로 돌아섰다. 경제 전체의 파이가 커졌지만 가계가 가져가는 몫은 줄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경제주체별 GNI 비중을 봐도 그렇다. 소비나 저축으로 자유롭게 쓸 수 있는 돈을 의미하는 국민총처분가능소득은 지난해 1722조5000억원으로 전년보다 5.1% 늘었다. 이 가운데 가계 비중은 56.0%로 전년(56.3%)보다 줄었다. 기업 비중 역시 지난해 20.2%로 전년(20.6%)보다 줄었다. 하지만 정부 비중은 2016년 23.1%에서 지난해 23.8%로 늘었다. 세수가 크게 증가하면서 정부 곳간이 두둑해진 덕분이다.
◆저축률 19년 만에 최고
저금리에도 저축률은 꾸준히 오르고 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6.3%로 1998년(38.0%) 이후 19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경제주체들이 미래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린다는 얘기다. 가계가 저축에 매달려 지나치게 소비를 줄이면, 생산 위축과 고용 감소로 이어져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른바 ‘저축의 역설(逆說)’이다.
이날 발표된 지난해 경제성장률 잠정치는 3.1%로 지난 1월 발표된 속보치와 같았다. 2015년(2.8%), 2016년(2.9%) 2년 연속 2%대에 머무른 뒤 3년 만에 3%대로 올라섰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