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틀그라운드’ ‘리니지2 레볼루션’ 등 글로벌 히트작을 잇따라 배출한 국내 게임업체들이 지난해 6조원 가까운 수출 성과를 낸 것으로 집계됐다. 반도체, 자동차, 석유제품 등 주력 수출품목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효자 품목’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다.

세계 휩쓰는 K게임… 작년 수출 6조원 육박
지난 2일 게임업체들이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빅3’로 손꼽히는 넷마블, 넥슨, 엔씨소프트가 지난해 해외 시장에서 올린 매출은 3조2537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계에선 1만4000여 곳에 달하는 게임회사의 수출액을 모두 더하면 5조5000억~6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넷마블과 넥슨은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많은 매출을 올렸다. 넷마블의 해외 매출은 1조3180억원으로 전체 매출의 54%를 차지했다. ‘리니지2 레볼루션’이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시장에서 인기를 끌었고 작년 11월 출시된 북미 시장에서도 좋은 실적을 내고 있다.

넥슨은 총 매출의 66%인 1조5110억원을 해외 시장에서 거뒀다. 작년 중국 서비스 9주년을 맞은 ‘던전 앤 파이터’와 출시 16년차를 맞은 ‘메이플 스토리’의 장기 흥행이 큰 역할을 했다. 엔씨소프트의 해외 매출 비중은 24.1%(4247억원)로 다른 두 회사에 비해 다소 낮지만 대표작 ‘리니지M’이 작년 12월 해외 서비스를 시작한 것을 감안하면 올해는 비중이 오를 것으로 보인다.

중견 게임사들도 큰몫을 했다. 작년 3월 출시 이후 지난해 3000만 장가량 팔린 블루홀의 ‘배틀그라운드’는 판매량의 절반(약 4500억원)을 북미·유럽 시장에서 올렸다. 펄어비스의 PC 온라인 게임 ‘검은사막’도 지난해 매출 523억원 가운데 82.2%(430억원)를 북미, 유럽, 동남아시아 등 해외 시장에서 올렸다.

올해도 수출액 증가세는 지속될 전망이다. 주요 회사가 대작을 잇따라 내놓을 예정인 데다 중국 시장이 다시 열리면 수출 증가세가 배가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사드(고고도 미사일방어체계)로 인한 갈등으로 작년 3월 이후 한국 게임회사에 신규 서비스 허가(판호)를 내주지 않고 있다.

이승우 기자 leesw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