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 中企人의 탄식… "봄은 왔지만 느낄 수 없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진수 중소기업부 기자
중소기업중앙회가 5일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제10회 K비즈 CEO 혁신포럼’ 조찬 간담회를 열었다. 유현준 홍익대 건축대학 교수가 ‘도시는 무엇으로 사는가’를 주제로 강의했다.
강연에 앞서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축사를 했다. 박 회장은 지난 4일 주요 정당 원내대표를 만나 최저임금 산입 범위 확대 등을 요구한 근황을 전했다. 박 회장은 “여의도에 벚꽃이 예쁘게 피었다”고 인사말을 건넸는데 원내대표들의 표정이 안 좋았다고 했다. 4월 국회가 민생현안 처리보다 개헌 등의 이슈로 파행 상태인 것을 염두에 둔 표현이었다.
박 회장은 이어 “우리 이사장님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어느 계절입니까”라고 물었다. 다양한 계절이 언급됐다. 박 회장은 이를 듣고 자신의 이야기를 했다. “과거에는 5월만 되면 넝쿨 장미꽃 때문에 ‘장미앓이’를 했습니다. 하지만 (회장을 맡은) 지난 3년간 계절을 못 느꼈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란 무게가 계절도 못 느끼게 한 듯했다. 그러나 그는 다시 꽃을 보려 한다고 했다. 이어 “우리 회원은 다들 여름이다. 늦여름 같다. 그래도 100세 시대니까 아직 젊다”고 덧붙였다. 50~60대가 많은 이사장들에 대한 위로였다.
이 말을 듣는 기업인들의 생각은 복잡해 보였다. 한 참가자는 “오늘 봄 여름 겨울 세 계절을 느끼고 간다”고 했다. 계절은 봄이고, 중소기업인들의 나이는 여름이고, 봄에 어떤 활력도 못 주는 국회는 겨울이라는 얘기였다.
정부는 올해부터 3년간 중소기업 신규 취업자에게 매년 1000만원을 지원해 대기업 취업자와의 격차를 없애주는 일자리 대책을 최근 내놨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감원 및 채용 축소 등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려 있다.
유 교수는 ‘사람은 도시를 만들고 도시는 사람을 만든다’는 윈스턴 처칠의 말로 강연을 마무리했다. 한 기업인은 “처칠의 말을 ‘사람은 기업을 만들고 기업은 사람을 만든다’로 바꿔보면 정부와 국회가 할 일이 뭔지 알 수 있을 텐데”라며 행사장을 나갔다. 기업인이 신바람 나게 일하는 환경을 조성해주고 청년들이 보람을 느끼면 요란스러운 일자리 대책이 필요 없을 것이라는 얘기였다.
true@hankyung.com
강연에 앞서 박성택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 축사를 했다. 박 회장은 지난 4일 주요 정당 원내대표를 만나 최저임금 산입 범위 확대 등을 요구한 근황을 전했다. 박 회장은 “여의도에 벚꽃이 예쁘게 피었다”고 인사말을 건넸는데 원내대표들의 표정이 안 좋았다고 했다. 4월 국회가 민생현안 처리보다 개헌 등의 이슈로 파행 상태인 것을 염두에 둔 표현이었다.
박 회장은 이어 “우리 이사장님들은 봄 여름 가을 겨울 중 어느 계절입니까”라고 물었다. 다양한 계절이 언급됐다. 박 회장은 이를 듣고 자신의 이야기를 했다. “과거에는 5월만 되면 넝쿨 장미꽃 때문에 ‘장미앓이’를 했습니다. 하지만 (회장을 맡은) 지난 3년간 계절을 못 느꼈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이란 무게가 계절도 못 느끼게 한 듯했다. 그러나 그는 다시 꽃을 보려 한다고 했다. 이어 “우리 회원은 다들 여름이다. 늦여름 같다. 그래도 100세 시대니까 아직 젊다”고 덧붙였다. 50~60대가 많은 이사장들에 대한 위로였다.
이 말을 듣는 기업인들의 생각은 복잡해 보였다. 한 참가자는 “오늘 봄 여름 겨울 세 계절을 느끼고 간다”고 했다. 계절은 봄이고, 중소기업인들의 나이는 여름이고, 봄에 어떤 활력도 못 주는 국회는 겨울이라는 얘기였다.
정부는 올해부터 3년간 중소기업 신규 취업자에게 매년 1000만원을 지원해 대기업 취업자와의 격차를 없애주는 일자리 대책을 최근 내놨다. 하지만 중소기업들은 최저임금 인상 등으로 감원 및 채용 축소 등을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려 있다.
유 교수는 ‘사람은 도시를 만들고 도시는 사람을 만든다’는 윈스턴 처칠의 말로 강연을 마무리했다. 한 기업인은 “처칠의 말을 ‘사람은 기업을 만들고 기업은 사람을 만든다’로 바꿔보면 정부와 국회가 할 일이 뭔지 알 수 있을 텐데”라며 행사장을 나갔다. 기업인이 신바람 나게 일하는 환경을 조성해주고 청년들이 보람을 느끼면 요란스러운 일자리 대책이 필요 없을 것이라는 얘기였다.
tru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