넥쏘 계약자 900여명 구입 포기할 판
지난달 말 판매에 들어간 현대자동차의 차세대 수소연료전기자동차(FCEV) 넥쏘(사진)의 계약 물량이 1164대(4일 기준)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정부는 올해 수소차 보조금 지급 계획(240대)을 더 확대하지 않기로 했다. 수소차를 주문한 사람 중 900여 명은 보조금을 받을 수 없게 돼 구매를 포기해야 할 판이다. 정부의 수소차 보조금 규모가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미래 친환경차 대중화 속도가 더뎌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정부는 5일 친환경차 보조금 추가 편성 등을 포함한 추가경정예산안을 발표했다. 정부는 추경안을 통해 전기차 추가 지원 예산(1190억원)만 반영하고 수소차는 더 지원하지 않기로 했다. 전기차는 복수의 자동차 회사가 생산하고 있어 추경안에 반영했지만, 수소차는 현대차 한 곳만 제조하고 있어 특혜 논란을 의식해 배제한 것으로 전해졌다.

넥쏘 계약자 900여명 구입 포기할 판
넥쏘는 지난달 19일부터 사전 예약판매에 들어갔다. 첫날에만 733대가 계약될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았다. 사전예약 물량만 총 1061대에 달했다. 지난달 27일 본격 판매에 들어가면서 누적 계약(사전+본계약) 대수는 총 1164대에 이른다.

넥쏘는 수증기만 나올 뿐 유해가스를 전혀 배출하지 않아 ‘궁극(窮極)의 친환경차’로 불린다. 5분 충전으로 609㎞를 달릴 수 있다. 가격은 6890만~7220만원이다. 최대 3500만원의 보조금(정부+지방자치단체)을 모두 받으면 3390만~3720만원에 살 수 있다. 일반 국산 중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수준이다.

문제는 턱없이 부족한 보조금이다. 올해 책정된 정부(환경부)의 수소차 국고보조금은 대당 2250만원이다. 대상은 약 240대다. 지자체 보조금은 대당 1000만~1250만원 수준이다. 지자체 보조금은 선착순 또는 추첨을 통해 지급된다. 대부분 국고보조금에 연계해 주는 식이다. 정부가 수소차 보조금 추가 예산을 편성하지 않으면 올해 보조금을 받고 살 수 있는 수소차는 240대로 제한될 수밖에 없는 구조다. 넥쏘 전체 예약 물량(1164대)의 5분의 1 수준이다.

업계 안팎에선 수소차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을 때 추가 예산을 확보해 보조금 지원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특정 대기업 특혜설을 의식해 몸을 사리면서 미래 친환경차 시장의 성장세가 꺾일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