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경산에 화장품 특화단지 조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경북, 화장품산업 매출 1조 꿈
공동브랜드 '클루앤코' 출시
中·베트남 이어 태국 진출
부산도 뷰티 클러스터 추진
200여 기업 공동사업 추진
대구, 2022년까지 137억 투자
공동브랜드 '클루앤코' 출시
中·베트남 이어 태국 진출
부산도 뷰티 클러스터 추진
200여 기업 공동사업 추진
대구, 2022년까지 137억 투자
![경상북도는 지난해 11월 베트남 다낭에 경북 화장품 공동브랜드 ‘클루앤코’ 상설전시판매장 2호점을 열었다. 경상북도 제공](https://img.hankyung.com/photo/201804/AA.16425914.1.jpg)
![경북도, 경산에 화장품 특화단지 조성](https://img.hankyung.com/photo/201804/AA.16427960.1.jpg)
부산시는 기장군 오리산업단지에 화장품 제조업 클러스터를 조성한다. 시는 지난해 1월 뷰티산업육성 조례를 공포한 뒤 화장품산업 육성에 힘을 보태고 있다. 부산의 화장품산업은 제조 56개사, 제조판매 300여 개사에 이른다. 2016년보다 각각 10%와 20% 증가했다. 이들 기업의 수출액도 2015년 4641만5000달러에서 지난해 1억달러를 넘어섰다. 부산바이오기업협회와 부산화장품기업협회, 디지털케어산업협회는 부산시의 5대 주력산업에 바이오메디컬 사업이 포함되자 지난달 초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식품·제약, 화장품,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 기업 200여 곳이 손잡고 공동 브랜드 및 기술 개발, 원자재 공동구매, 시장조사 등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대구시는 지난해 11개사가 참여한 화장품 수출기업협의회를 발족하고 화장품산업 지원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2022년까지 5개 사업에 137억원을 투입한다. 화장품 원료의 80%를 수입에 의존하는 현실을 감안해 국내 천연자원을 활용한 화장품 개발에 나서기로 했다. 화장품 인체적용시험 등 효능 평가를 위해 화장품효능평가센터를 효능평가 전문기관으로 육성하기로 했다. 지난해 대구 화장품 수출기업협의회 소속 기업들은 전년 대비 각각 68%와 55% 증가한 매출 338억원과 수출 37억원을 올렸다.
대구=오경묵/부산=김태현 기자 okmoo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