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 부메랑으로 돌아 온 김기식 금감원장의 '말말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기식 금감위원장은 2015년 9월 10일 ‘부정청탁방지법(김영란법)’에서 농수산물을 제외하자는 같은 당 김기정 의원의 말에 이같이 단호하게 대답했다. 농수산물을 빼고 입법이 되면 법체계 전체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의견이었다. 3·5·10 준수 규정 때문에 농·어민 등이 피해를 본다는 지적에도 준법을 강조했다.
김 원장은 정무위 시절 ‘저승사자’라는 별명을 얻을 만큼 피감기관과 정부에 날을 세웠다. 2015년 9월 18일에는 세종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공무원을 위해 만들어진 스마트워크센터를 두고 “국민의 이런 막대한 세금을 들여서 공무원들이 소위 ‘땡땡이’치는 수단으로 이용된다면 이건 근무 기강 문제를 넘어서 세금 낭비의 아주 전형적인 사례”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기업의 일감몰아주기와 관련해선 “총수 일가에게 부당이득을 제공한 혐의가 있다면 조사를 확대해야 할 것(2015년 10월 6일)”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나 김 원장 정작 자신은 소장으로 있던 씽크탱크 더미래연구소에 연구용역을 몰아줬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더미래연구소는 2016~2017년 △사이버테러방지법의 주요 쟁점 분석을 통한 입법 타당성 평가(정보위) △시민참여미디어의 현황과 실태 및 정책 제안(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 △국책연구기관의 연구의제 선정과정 개선(정무위) △국회 연구지원조직의 역할과 재구축 방안(운영위) 등의 보고서 등을 수의계약 형식으로 수주했다.
김 원장은 2014년 10월 15일 신제윤 전 금융위원장을 두고 “금융당국은 그 어느 영역보다 신뢰와 안정감, 권위가 중요하다”며 “물러나실 생각 없으세요? 참 부끄러움을 모르시네”라고 하기도 했다. 이날 김 원장에 대한 리얼미터 여론조사에 따르면 ‘부적절한 행위가 분명하므로 사퇴해야 한다’는 응답이 50.5%로 집계됐다. 정부·여당은 김 원장을 “야당의 인격살인 정치공세가 계속되고 있다”고 엄호하고 있다.
배정철 정치부 기자 bjc@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