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은 신뢰가 생명"이라더니… 이번엔 '연구용역비 회수' 의혹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기식 사태' 중대고비
'친정' 참여연대도 "실망했다" 선긋기 나서
1000만원 용역 주고 500만원 기부 받아
피감기관 돈으로 '외유성 출장'에 고액 강의
보좌진에 퇴직금 선심 '政資法' 위반 의혹도
'친정' 참여연대도 "실망했다" 선긋기 나서
1000만원 용역 주고 500만원 기부 받아
피감기관 돈으로 '외유성 출장'에 고액 강의
보좌진에 퇴직금 선심 '政資法' 위반 의혹도
![김기식 금융감독원장이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3차 임시금융위원회에 참석하고 있다. 김 원장은 자신에게 제기된 각종 의혹을 묻는 기자들의 말에 아무런 대답도 하지 않았다. /연합뉴스](https://img.hankyung.com/photo/201804/AA.16456281.1.jpg)
하지만 김 원장이 2014년 국회의원 시절 ‘금융당국은 어느 영역보다 신뢰와 안정감, 권위가 중요하다’며 당시 신제윤 금융위원장에게 사퇴하라고 몰아붙였던 대목을 돌이켜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원장의 ‘친정’인 참여연대마저도 이날 “실망스럽다”는 입장을 내놨다.
◆연구용역비 ‘꺾기’ 논란까지
김 원장이 19대 국회의원 시절 김 원장 측으로부터 정책 연구용역비 1000만원을 받은 대학교수가 그 후 김 원장이 주도해 설립한 더미래연구소에 500만원을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김 원장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보고한 19대 국회의원 시절 정치자금 수입·지출 보고서에 따르면 김 원장 의원실은 2016년 4월26일 정책연구용역 명목으로 계봉오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에게 1000만원을 입금했다. 계 교수는 “연구용역비를 받고 얼마 뒤 더미래연구소에 500만원을 기부했다”며 “당시 이를 제안한 사람은 홍일표 행정관”이라고 밝혔다. 홍 행정관은 당시 김기식 의원의 보좌관으로 현재 청와대 선임행정관으로 근무 중이다.
계 교수는 “홍 행정관과는 평소 잘 아는 사이로, (그에게) 연구용역 의뢰를 받았다”며 “얼마 후 홍 행정관으로부터 더미래연구소가 재정상 어렵다며 기부를 해 줄 수 있느냐는 요청을 받고 기부금을 낸 것”이라고 말했다.
계 교수는 이후 기자들에게 자신의 입장을 담은 문자메시지를 보내 “연구용역과 기부는 아무 관계가 없이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계 교수는 “당시 나는 더미래연구소의 정책연구위원으로 있었지만 연구소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못하는 상황이었다”며 “연구소와 관련해 다소 빚진 마음이 있는 상태여서 기부금을 낸 것”이라고 했다. 이어 “홍 행정관의 제안은 용역비를 받고 난 뒤 이뤄졌다”고 덧붙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현재로써는 밝힐 입장이 없다”고 말했다.
◆피감기관 지원받아 잇단 해외출장
김 원장은 지난 2일 공식 취임하자마자 피감기관 지원을 받아 잇단 해외출장을 다녀왔다는 논란에 휘말렸다. 김 원장은 새정치민주연합(현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정무위원회 위원 시절인 2015년 5월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의 지원을 받아 9박10일 일정으로 미국과 벨기에 이탈리아 스위스 등을 다녀왔다. KIEP는 출장 비용 3077만원을 전액 부담했다. 이뿐만 아니라 김 원장은 KIEP 출장 기간 공식 일정 없이 2박3일간 이탈리아 로마에서 관광을 했다는 의혹도 받고 있다. KIEP가 제출한 해외출장 보고서엔 ‘김 원장을 위한 의전 성격의 출장’으로 기재됐다.
김 원장은 같은 해 5월19일부터 21일까지 우리은행 초청을 받아 중국과 인도를 다녀왔다. 2014년 3월에도 정무위 피감기관인 한국거래소를 통해 2박3일 일정으로 우즈베키스탄 출장을 다녀왔다.
◆정치자금 유용 논란도
한국당은 김 원장이 받은 후원금을 같은 당 의원들에게 기부하고, 보좌진에게 퇴직금을 지급했다고 지적했다. 정치자금법은 국회의원이 받는 정치자금은 ‘정치활동을 위해 소요되는 경비’로만 지출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한국당에 따르면 김 원장은 19대 국회의원 임기 말인 2016년 민주당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에 5000만원을 기부했다. 더민주 초·재선 의원 22명이 만든 모임의 싱크탱크가 김 원장이 금감원장으로 임명되기 전까지 소장으로 재직하던 더미래연구소다. 한국당은 김 원장이 임기를 불과 두 달 앞두고 더미래연구소에 8000만원 상당의 연구용역을 잇따라 발주했다고 지적했다.
더미래연구소는 2015년부터 2016년까지 은행, 금융협회 등 정무위 피감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고액강의를 운영했다는 지적도 받고 있다.
김 원장은 임기 종료를 며칠 앞둔 2016년 5월 말 보좌진 6명에게 퇴직금 명목으로 200만~500만원씩 총 2200만원을 지급하기도 했다. 이뿐만 아니라 김 원장은 같은 해 5월20일부터 27일까지 독일과 네덜란드, 스웨덴으로 출장을 다녀왔다. 국회의원 임기 종료를 불과 이틀 앞두고 귀국한 것이다.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국고로 반납해야 할 정치자금을 가로채는 ‘땡처리 외유’”라고 지적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