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먼지 책임 기업에 떠넘기려 현대제철 가는 의원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미세먼지는 중국 탓 큰데…애먼 기업 잡는 정치권
피해 청구 법안까지 발의
피해 청구 법안까지 발의
![미세먼지 책임 기업에 떠넘기려 현대제철 가는 의원들](https://img.hankyung.com/photo/201804/01.16459060.1.jpg)
국회 미세먼지 특별위원회가 특정 기업을 시찰하려 한다는 소식에 재계에서는 엉뚱한 곳에 책임을 전가하려 한다는 불만이 터져 나오고 있다. 이미 미세먼지를 일으키는 원인 가운데 최대 80%가 중국 등 국외에서 발생한다는 정부 조사 결과가 나온 상황에서 마치 국내 공장이 미세먼지 주범으로 몰릴 오해의 소지가 다분하다는 지적이다.
국립환경과학원과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달 발생한 미세먼지 원인을 분석한 결과 국외 영향이 69%까지 올라갔다고 지난 9일 밝혔다. 환경부도 평상시 국외 영향은 연평균 30~50% 수준이며, 고농도 미세먼지가 기승을 부릴 때는 60~80%로 상승한다고 발표했다.
지난해 9월 정부가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한 미세먼지 종합대책에 따르면 수도권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 가운데 공장 등 사업장이 차지하는 비중은 14%에 불과하다. 정치권에서 핵심 원인은 나 몰라라 한 채 기업들을 옥죄려 한다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다.
작년 11월 출범한 미세먼지 특위는 지난 2개월간 사실상 개점휴업 상태였다. 환경부로부터 미세먼지에 관한 업무보고를 받거나 두세 차례 회의한 게 전부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특위 내부에서도 의견이 갈리고 있다. 특위 간사를 맡고 있는 김승희 자유한국당 의원은 “특정 기업을 방문할 경우 마치 해당 기업이 미세먼지 주범으로 몰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앞서 특위는 영흥 화력·재생에너지 발전소와 기상청, 충남 보령 LNG 터미널 등을 시찰했다.
최근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 배상을 기업에 청구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까지 발의되면서 공장을 가동하는 기업들은 적신호가 켜졌다.
지난 5일 김병욱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재난안전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현재 미세먼지를 두고 자연재해로 볼 것인지, 사회재난으로 정의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이 분분한 상황이다. 김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할 경우 미세먼지에 대한 책임을 기업에 물을 수 있게 된다. 미세먼지 재난지역 내 산업체가 미세먼지를 대량 배출했다는 인과관계만 입증되면 정부는 주민들에게 선지급한 재해복구 비용 등을 업계에 청구할 수 있다.
박재원 기자 wonderful@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