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게티이미지
사진=게티이미지
서울 직장인 평균 월급이 223만원이고 지역별로 주요 기업 본사가 밀집한 서울 광화문 일대가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

자영업자 벌이는 서울 강남 지역이 가장 많았다. 특히 성형외과 등이 밀집한 논현동 일대 의료업종은 2000만원에 육박했다.

신한은행은 빅데이터를 활용해 분석한 '서울시 생활금융지도' 소득편을 18일 공개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기준 자택 또는 직장 주소가 서울시로 등록된 고객 155만명의 자료를 토대로 제작됐다. 대상은 급여소득자 128만명, 자영업자 11만명, 연금수급자 16만명이다.

서울 직장인 월급은 중앙값 기준으로 223만원(이하 모두 중앙값), 지역별로 종로구가 355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주요 기업 본사가 종로구에 밀집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광화문(공평동, 태평로, 세종로, 무교동, 서린동), 여의도(여의도동), 강남(역삼동, 삼성동), 상암(상암동) 등 주요 업무지구 중에도 광화문이 457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광화문 지역은 명절 상여금 등으로 설 전후 급여가 평균 26% 올라 '설 효과'가 가장 큰 지역이기도 했다. 여의도는 391만원, 강남 311만원, 상암은 306만원이었다.

서울시 전문직 급여는 377만원으로, 일반 사무직 월급 299만원보다 높았다. 전문직은 강서구(614만원), 서초구(507만원), 강남구(449만원)가, 일반 사무직은 종로구(373만원), 강서구(337만원), 서초구(332만원)가 높았다.

카드 가맹점 매출액 기준으로 지난해 서울 자영업자 월소득은 172만원이었다. 강남구는 298만원으로 서울시 전체의 1.74배에 달했다. 그 중에서도 신사동이 389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자곡동(375만원), 대치동(322만원)도 자영업자 벌이가 좋았다.

업종별로는 의료업이 566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음식업(323만원), 스포츠업(218만원) 순이었다. 강남구는 의료업(1천16만원), 음식업(525만원), 교육(329만원)업에서 소득이 가장 많았다.

성형외과 등 병원이 많이 몰린 강남구 논현동(1999만원), 청담동(1803만원), 역삼동(1431만원)은 그 중에서도 많은 편이다.

음식업은 종로구 공평동(833만원), 중구 남대문3가(790만원), 영등포구 영등포동4가(708만원) 등이 많았다. 교육은 학원 밀집가인 강남구 대치동(497만원), 노원구 중계동(358만원), 양천구 목동(358만원)이 고소득 지역이었다.

서울시 국민연금 수급자들의 연금 소득은 월 34만원 수준이다. 연금 소득이 가장 높은 지역은 강남·서초구로 46만원이다. 이 가운데 강남구 도곡동(57만원), 청담동(52만원), 송파구 잠실동(48만원)이 높게 집계됐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