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우파 시민사회 연합체인 ‘대한민국수호 비상국민회의(비상국민회의)’가 20일 창립대회를 열었다. 노재봉 전 총리(제22대, 노태우 정부), 박관용 전 국회의장(16대 국회 후반기) 등 정계 원로를 비롯해 약 2000명이 창립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이날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행사에서 공동대표로 추대된 박 전 의장은 “문재인 정권이 추진하는 대북 정책과 헌법 개정이 대단히 위험스럽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박 전 의장은 앞으로 전개할 활동에 대해 “비폭력·평화적 투쟁이 될 것”이라고 강조하면서도 “정부가 잘못된 생각을 고칠 때까지 투쟁할 것”이라고 말했다.

고문으로 추대된 노 전 총리도 “현재 한국이 직면한 대내외적 정치 상황이 6·25전쟁 이후 최대 위기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비상국민회의 참여자들의 공통된 문제 의식은 현 정부가 ‘잘못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것이다. 노 전 총리는 자신의 블로그에 “잘 훈련된 직업 혁명가들이 대한민국을 조종하고 있다”는 글을 올렸다.

비상국민회의는 장경순 국가원로회의 의장, 김동길 한민족원로회 공동의장(연세대 명예교수), 정기승 전 대법관 등 각계 지도급 인사와 시민 대표 등이 창립 발기인으로 이름을 올렸다.

활동 목표로는 △정권의 국가 파괴를 저지하기 위한 범국민 투쟁 역량 구축 △사회주의적 개헌 반대 투쟁 전개 △북한 핵무기 폐기, 한·미 동맹 수호 △김일성 3대 세습 독재집단 해체, 북한 인권 회복, 자유민주 통일 추진 △국가 안보·자유민주 의식 고양 등을 내세웠다. ‘젊은 우파’들의 대학별 모임인 트루스포럼도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박동휘 기자 donghuip@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