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 최대 10곳 도시재생… 수색·상암 등 빌라 지역 '거론'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해 전국 100곳에 8000억 투입
올해 도시재생 뉴딜사업 후보지로 100곳가량이 선정된다. 서울은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작년 도시재생 뉴딜 시범사업에서 제외됐지만 올해는 최대 10곳까지 선정될 수 있게 문이 열렸다.
정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노후 주거지와 쇠퇴한 옛도심을 지자체 주도로 활성화해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도시혁신사업이다. 도시재생 모델은 사업지 면적에 따라 △우리동네 살리기형(5만㎡ 이하) △주거정비 지원형(5만~10만㎡) △일반 근린형(10만~15만㎡) △중심시가지형(20만㎡) △경제 기반형(50만㎡) 등으로 나뉜다. 지난해 시범사업지를 선정하며 물꼬를 튼 정부는 올해 8월 100곳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를 선정해 전국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사업지 선정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상당부분 할애했다. 100곳의 사업지 가운데 70곳을 해당 시·도가 선정하고, 나머지 30곳은 정부가 최종 확정한다.
지자체가 선정할 70곳은 우리동네 살리기형과 주거정비 지원형, 일반 근린형 등 소규모 도시재생 모델로 한정했다. 정부는 지자체가 예산총액 범위에서 사업유형과 사업지 개수를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정부는 70곳에 5550억원의 국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에 7곳(600억원), 경기 5~6곳(500억원), 부산·전남·경북·경남 4~5곳(지자체별로 각 400억원), 대구·인천·광주·강원·충북·충남·전북 3~4곳(300억원), 대전·울산 2~3곳(250억원), 제주 1~2곳(150억원), 세종 1곳(1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코레일 차량기지가 있는 수색을 비롯해 상암, 광운대역 인근 등 낙후되고 대규모 유휴 부지가 있는 곳을 눈여겨보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상암 수색 등지에는 국유지도 있어 이런 땅과 연계한 재생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은평구와 송파구 강서구 양천구 등의 저층 빌라 밀집지역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정부가 선정할 30곳은 지자체가 신청한 후보지 가운데 15곳, 공공기관이 제안한 후보지 중 15곳으로 확정될 전망이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코레일 등 공공기관이 제안하는 사업 모델은 지자체가 선정하는 세 개 소규모 모델뿐만 우리동네 살리기형, 경제 기반형까지 모두 선택할 수 있도록 열어놨다. 공공기관은 지난해 전체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신청이 가능했으나 올해부터 사업기획안이나 핵심 단위사업만 있어도 제안할 수 있다.
도시재생 뉴딜지역에 투입되는 자금은 국비 8000억원 등 재정 2조원을 비롯해 기금 지원 5조원, 공기업 투자금 3조원까지 최대 1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
정부는 2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계획안’을 심의·의결했다.
도시재생 뉴딜사업은 노후 주거지와 쇠퇴한 옛도심을 지자체 주도로 활성화해 도시 경쟁력을 높이는 도시혁신사업이다. 도시재생 모델은 사업지 면적에 따라 △우리동네 살리기형(5만㎡ 이하) △주거정비 지원형(5만~10만㎡) △일반 근린형(10만~15만㎡) △중심시가지형(20만㎡) △경제 기반형(50만㎡) 등으로 나뉜다. 지난해 시범사업지를 선정하며 물꼬를 튼 정부는 올해 8월 100곳의 도시재생 뉴딜사업지를 선정해 전국적으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정부는 사업지 선정 권한을 지방자치단체에 상당부분 할애했다. 100곳의 사업지 가운데 70곳을 해당 시·도가 선정하고, 나머지 30곳은 정부가 최종 확정한다.
지자체가 선정할 70곳은 우리동네 살리기형과 주거정비 지원형, 일반 근린형 등 소규모 도시재생 모델로 한정했다. 정부는 지자체가 예산총액 범위에서 사업유형과 사업지 개수를 탄력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했다. 정부는 70곳에 5550억원의 국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에 7곳(600억원), 경기 5~6곳(500억원), 부산·전남·경북·경남 4~5곳(지자체별로 각 400억원), 대구·인천·광주·강원·충북·충남·전북 3~4곳(300억원), 대전·울산 2~3곳(250억원), 제주 1~2곳(150억원), 세종 1곳(10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코레일 차량기지가 있는 수색을 비롯해 상암, 광운대역 인근 등 낙후되고 대규모 유휴 부지가 있는 곳을 눈여겨보고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 “상암 수색 등지에는 국유지도 있어 이런 땅과 연계한 재생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은평구와 송파구 강서구 양천구 등의 저층 빌라 밀집지역도 물망에 오르고 있다.
정부가 선정할 30곳은 지자체가 신청한 후보지 가운데 15곳, 공공기관이 제안한 후보지 중 15곳으로 확정될 전망이다. LH(한국토지주택공사)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코레일 등 공공기관이 제안하는 사업 모델은 지자체가 선정하는 세 개 소규모 모델뿐만 우리동네 살리기형, 경제 기반형까지 모두 선택할 수 있도록 열어놨다. 공공기관은 지난해 전체 사업계획을 수립해야 신청이 가능했으나 올해부터 사업기획안이나 핵심 단위사업만 있어도 제안할 수 있다.
도시재생 뉴딜지역에 투입되는 자금은 국비 8000억원 등 재정 2조원을 비롯해 기금 지원 5조원, 공기업 투자금 3조원까지 최대 1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서기열 기자 phil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