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주사-자회사, 공동인수 불가능
완성차사업 경쟁력 약화 우려도
![](https://img.hankyung.com/photo/201804/AA.16555739.1.jpg)
현대차그룹이 지주사 체제로 바뀌면 미래 자동차 시장의 패권을 쥐기 위한 대규모 인수합병(M&A)이 어려워질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공정거래법상 지주사와 여러 자회사가 공동 투자해 다른 기업을 인수하는 게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조(兆)단위 자금을 투입해야 인수할 수 있는 기업이 매물로 나오면 계열사 한 곳이 모든 자금을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빅딜’ 자체가 어려워진다는 게 투자은행(IB)업계의 진단이다. 현대차그룹은 2011년 현대건설 인수 당시에도 현대차와 기아차, 현대모비스 등 3개 계열사가 4조9000억원을 나눠 냈다.
현대카드와 현대캐피탈 등 금융계열사를 거느리지 못하는 것도 약점으로 꼽힌다. 공정거래법상 일반 지주사는 금융회사를 소유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현대카드와 현대캐피탈은 현대·기아차의 리스, 할부 등의 사업과 연계돼 있어 자동차 사업 경쟁력과 직결된다”고 말했다.
지주사 전환은 그룹 차원의 경쟁력과는 별도로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는 정 회장의 의지와 맞지 않는다는 관측도 있다. 정 회장은 현대모비스와 현대글로비스 분할합병 등을 기반으로 한 지배구조 개편 과정에서 1조원 이상의 세금을 모두 부담하면서 사회적 공감을 얻고 불필요한 논란을 막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장창민/김익환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