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정부가 성장잠재력 발목 잡고 있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분기 대비 1.1%를 기록했다. 수치 자체는 무난한 편이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올해 3% 성장이 쉽지 않다는 분석이 나온다. 1분기 성장을 주도했던 수출과 설비투자 등이 미국과 중국의 통상전쟁, 금리인상 등으로 2분기 이후 둔화될 가능성이 큰 데다, 내수소비가 좀처럼 풀릴 기미를 보이지 않아서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를 근거로 올해 우리나라 성장률을 2.8%로 전망했다. 반도체 호황으로 1분기에 사상 최대 이익을 낸 삼성전자조차 그제 “올해 2분기는 1분기 대비 실적 개선이 어려울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려면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 등을 늘려야 한다. 이 중 수출과 투자는 대외적인 요인에 크게 의존한다. 정부지출은 지속적으로 늘릴 수 없다. 예산의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소비는 정부가 다양한 정책으로 늘릴 수 있다.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득주도성장론도 근로자들의 소득을 올려 소비를 진작시킴으로써 경제성장을 견인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지난 1분기 경제지표를 보면 민간소비는 0.6%밖에 증가하지 않았다. 반면 지난 3월 실업률은 4.5%로 17년 만에 가장 높았다. 청년실업률은 11.6%나 된다.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인해 소비가 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설상가상으로 영세 소상공인 비중이 높은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은 지난 1분기 성장률이 -0.9%에 그쳤다. 한국은행은 “최저임금의 영향은 분석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최저임금 급등과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서비스업 위축에 영향을 미쳤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정부는 그동안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시장의 변화를 추진해왔다. 또 예산을 동원한 일자리안정자금 등 각종 지원책으로 청년고용을 늘리려는 시도를 해왔다. 그러나 1분기 경제지표는 정부 정책의 성과가 미진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정부 스스로 성장의 잠재력을 약화시킨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게 한다. 민간경제연구소들이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기업활력 제고책을 주문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정부 스스로 정책의 효율성을 다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경제성장률을 끌어올리려면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수출 등을 늘려야 한다. 이 중 수출과 투자는 대외적인 요인에 크게 의존한다. 정부지출은 지속적으로 늘릴 수 없다. 예산의 제약이 있기 때문이다. 반면 소비는 정부가 다양한 정책으로 늘릴 수 있다.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소득주도성장론도 근로자들의 소득을 올려 소비를 진작시킴으로써 경제성장을 견인하겠다는 것이다.
그런데 지난 1분기 경제지표를 보면 민간소비는 0.6%밖에 증가하지 않았다. 반면 지난 3월 실업률은 4.5%로 17년 만에 가장 높았다. 청년실업률은 11.6%나 된다. ‘고용 없는 성장’으로 인해 소비가 늘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설상가상으로 영세 소상공인 비중이 높은 도소매 및 음식숙박업은 지난 1분기 성장률이 -0.9%에 그쳤다. 한국은행은 “최저임금의 영향은 분석하지 않았다”고 밝혔지만, 최저임금 급등과 노동시장의 경직성이 서비스업 위축에 영향을 미쳤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정부는 그동안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최저임금 인상, 근로시간 단축 등 노동시장의 변화를 추진해왔다. 또 예산을 동원한 일자리안정자금 등 각종 지원책으로 청년고용을 늘리려는 시도를 해왔다. 그러나 1분기 경제지표는 정부 정책의 성과가 미진했을 뿐 아니라 오히려 정부 스스로 성장의 잠재력을 약화시킨 것 아니냐는 우려를 낳게 한다. 민간경제연구소들이 성장률을 높이기 위해 기업활력 제고책을 주문한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정부 스스로 정책의 효율성을 다시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