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식은 갔어도… 금감원 강성 기조는 그대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저축은행 조만간 현장점검
신한 채용비리 고강도 조사
"금융사 압박 계속되나"
신한 채용비리 고강도 조사
"금융사 압박 계속되나"
금융감독원은 김기식 전 원장의 사퇴와 무관하게 저축은행의 고금리 대출 관행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고 신한금융 채용비리 의혹 조사의 강도를 높이기로 했다. 금융계는 앞으로 누가 금감원장이 되든지 금감원의 강성 기조가 현 정부 내내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긴장하고 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용대출이 많은 14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대출금리 산정체계에 대한 서면보고를 받아 분석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1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르면 상반기 내에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금리산정체계가 서면보고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현장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원장은 ‘외유성 해외 출장’ 논란 등으로 사퇴 의사를 밝히기 6시간 전인 지난달 16일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고금리 대출 관행을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약탈적 대출’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고금리 대출을 많이 취급하거나 금리 산정체계가 미흡한 저축은행에 대해선 대출영업을 일부 제한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지난해 4월 대출금리 산정체계 시스템 구축을 위해 저축은행과 체결한 양해각서(MOU)에 따라 제대로 절차가 이뤄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며 “김 전 원장의 지시에 따른 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차질 없는 금융개혁을 주문하는 청와대의 방침에 따라 금감원이 저축은행의 고금리 대출영업 행태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전·현직 임원의 자녀 특혜채용 의혹이 불거진 신한금융 계열사에 대한 채용비리 검사를 이번 주까지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전 원장의 지시에 따라 지난달 12일부터 조사에 착수한 금감원은 당초 지난달 중순까지 조사를 마치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후 두 차례 일제히 조사 기간을 연장했다. 당초 신한은행과 카드, 캐피탈을 대상으로 했던 조사도 신한생명까지 확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한금융 채용비리 조사는 금감원으로서는 자존심이 걸린 사항”이라며 “채용비리 증거를 찾아내기 위해 조사 기간을 두 차례 연장했다”고 밝혔다. 신한카드와 신한캐피탈을 비롯한 계열사 상당수가 2015년 이전 자료를 파기해 증거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
금감원 관계자는 “신용대출이 많은 14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대출금리 산정체계에 대한 서면보고를 받아 분석 작업을 벌이고 있다”고 1일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르면 상반기 내에 일부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금리산정체계가 서면보고와 일치하는지에 대한 현장조사에 나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전 원장은 ‘외유성 해외 출장’ 논란 등으로 사퇴 의사를 밝히기 6시간 전인 지난달 16일 저축은행 최고경영자(CEO)들과 만나 고금리 대출 관행을 개선하라고 요구했다. 그는 ‘약탈적 대출’이라는 표현을 써가며, 고금리 대출을 많이 취급하거나 금리 산정체계가 미흡한 저축은행에 대해선 대출영업을 일부 제한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금감원 관계자는 “이번 조사는 지난해 4월 대출금리 산정체계 시스템 구축을 위해 저축은행과 체결한 양해각서(MOU)에 따라 제대로 절차가 이뤄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것”이라며 “김 전 원장의 지시에 따른 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하지만 차질 없는 금융개혁을 주문하는 청와대의 방침에 따라 금감원이 저축은행의 고금리 대출영업 행태에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와 함께 금감원은 전·현직 임원의 자녀 특혜채용 의혹이 불거진 신한금융 계열사에 대한 채용비리 검사를 이번 주까지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김 전 원장의 지시에 따라 지난달 12일부터 조사에 착수한 금감원은 당초 지난달 중순까지 조사를 마치겠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후 두 차례 일제히 조사 기간을 연장했다. 당초 신한은행과 카드, 캐피탈을 대상으로 했던 조사도 신한생명까지 확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신한금융 채용비리 조사는 금감원으로서는 자존심이 걸린 사항”이라며 “채용비리 증거를 찾아내기 위해 조사 기간을 두 차례 연장했다”고 밝혔다. 신한카드와 신한캐피탈을 비롯한 계열사 상당수가 2015년 이전 자료를 파기해 증거를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는 것이 금감원의 설명이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