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DMZ 내 철도·도로 연결한 '남북관리구역' 확대하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4·27 판문점 선언' 이후
긴박한 '한반도 비핵화' 외교
장성급 군사회담서 논의 가능성
DMZ 평화지대·경협 확대 움직임
긴박한 '한반도 비핵화' 외교
장성급 군사회담서 논의 가능성
DMZ 평화지대·경협 확대 움직임
북한이 비무장지대(DMZ) 내 철도 및 도로를 건설해 남북한 간을 연결한 ‘남북관리구역’을 확대하자고 제의했다. 이달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이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DMZ를 평화지대로 만들거나 남북 경협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정부 한 소식통은 1일 “북측이 우리 측에 서해와 동해 지구의 DMZ에 군 관리구역을 늘리자는 의사를 전달해왔다”며 “남북 정상 간 ‘판문점 선언’에 따라 이달 열릴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의제로 논의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다른 소식통은 “기존에 설치된 관리구역을 확장하자는 것인지 아니면 기존과 동일한 관리구역을 각각 더 추가 설치하자는 것인지는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어보면 파악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남북은 2002년 9월 남북관리구역 설정에 관한 합의서를 채택해 서해와 동해지구의 DMZ에 관리구역을 각각 설치했다. 서해지구 관리구역은 6·25전쟁 이전에 군사분계선(MDL) 일대에 놓인 낡은 철로를 기준으로 동쪽 50m, 서쪽 200m 거리로, 폭 250m 구간이다. 동해지구 관리구역은 옛 철로를 기준으로 동쪽 70m, 서쪽 30m 거리로, 폭 100m로 설정돼 있다. 남북은 이곳에 철도를 연결했으며, 서해지구는 개성공단으로, 동해지구는 금강산관광지구로 각각 통하는 도로를 놨다. 이 때문에 DMZ를 평화지대로 만들거나 개성공단 재개를 비롯한 남북 경협을 확대하는 포석이 있는 것으로 정부 당국자들은 보고 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정부 한 소식통은 1일 “북측이 우리 측에 서해와 동해 지구의 DMZ에 군 관리구역을 늘리자는 의사를 전달해왔다”며 “남북 정상 간 ‘판문점 선언’에 따라 이달 열릴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 의제로 논의될 수 있을 것 같다”고 밝혔다. 다른 소식통은 “기존에 설치된 관리구역을 확장하자는 것인지 아니면 기존과 동일한 관리구역을 각각 더 추가 설치하자는 것인지는 장성급 군사회담을 열어보면 파악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남북은 2002년 9월 남북관리구역 설정에 관한 합의서를 채택해 서해와 동해지구의 DMZ에 관리구역을 각각 설치했다. 서해지구 관리구역은 6·25전쟁 이전에 군사분계선(MDL) 일대에 놓인 낡은 철로를 기준으로 동쪽 50m, 서쪽 200m 거리로, 폭 250m 구간이다. 동해지구 관리구역은 옛 철로를 기준으로 동쪽 70m, 서쪽 30m 거리로, 폭 100m로 설정돼 있다. 남북은 이곳에 철도를 연결했으며, 서해지구는 개성공단으로, 동해지구는 금강산관광지구로 각각 통하는 도로를 놨다. 이 때문에 DMZ를 평화지대로 만들거나 개성공단 재개를 비롯한 남북 경협을 확대하는 포석이 있는 것으로 정부 당국자들은 보고 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