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개편 앞두고 평가 돌입한 靑 '긴장 모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일부 통·폐합 가능성에 촉각
청와대가 문재인 정부 출범 1주년을 앞두고 내부 조직진단에 돌입하면서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평가 결과에 따라 일부 조직은 통·폐합될 수도 있어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1일 청와대에 따르면 각 비서관실은 이번주 내로 자체 조직 및 정책 평가서를 마무리해야 한다. 조직 평가서는 총무비서관실에서, 정책 평가서는 정책기획비서관실에서 각각 취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매년 자체 평가 작업을 하지만 올해는 사정이 좀 다르다. 청와대가 평가 결과를 토대로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24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청와대 조직을 운영하면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들과 각 조직 성과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며 “청와대 내의 조직진단 및 각 부서 업무평가를 진행해 향후 국정 운영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일부 비서관실의 경우 신설되거나 통·폐합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일부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 기관이나 언론 등 외부 인사들에게 개별 비서관의 평판을 묻기도 한다. 외부 평가가 반영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종의 ‘가늠자’가 될 수 있어서다.
일각에서는 업무가 중복되는 균형발전비서관과 자치분권비서관 등의 통·폐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는 각 비서관실이 제출한 조직 및 업무 평가서를 바탕으로 오는 6월13일 지방선거 전까지 조직 개편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
1일 청와대에 따르면 각 비서관실은 이번주 내로 자체 조직 및 정책 평가서를 마무리해야 한다. 조직 평가서는 총무비서관실에서, 정책 평가서는 정책기획비서관실에서 각각 취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매년 자체 평가 작업을 하지만 올해는 사정이 좀 다르다. 청와대가 평가 결과를 토대로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예고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24일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청와대 조직을 운영하면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들과 각 조직 성과를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며 “청와대 내의 조직진단 및 각 부서 업무평가를 진행해 향후 국정 운영에 반영할 계획”이라고 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일부 비서관실의 경우 신설되거나 통·폐합될 수 있다”고 했다.
이에 따라 일부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 기관이나 언론 등 외부 인사들에게 개별 비서관의 평판을 묻기도 한다. 외부 평가가 반영되는 것은 아니지만 일종의 ‘가늠자’가 될 수 있어서다.
일각에서는 업무가 중복되는 균형발전비서관과 자치분권비서관 등의 통·폐합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청와대는 각 비서관실이 제출한 조직 및 업무 평가서를 바탕으로 오는 6월13일 지방선거 전까지 조직 개편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조미현 기자 mwis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