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 개선은 상당히 더뎌
한·일 통화스와프 재개 노력"
이 총재는 지난 4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열린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3(한·중·일)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 참석 중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금리를 올릴 수 있을 때는 올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금융불균형 누적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고려해야 한다는 논리다. 그는 “3%의 경제성장률이 유지되고 물가도 2%대로 수렴할 경우 금융불균형이 커질 수밖에 없다”며 “당장은 문제가 안 되지만 1~2년 쌓이면 그때 느끼는 부담은 지금보다 훨씬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금리 인상 시점을 판단할 때 어떤 지표를 우선해야 하는지와 관련해선 “1차적으로 소비·투자·고용·수출 등 실물지표를 먼저 본다”며 “물가는 크게 우려할 만한 상황이 아니기 때문에 경기 회복세가 더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고용 개선이 상당히 더디다”며 고용 부진에 대한 우려도 내비쳤다. 고용 회복을 위해선 국가 재정의 역할 등 다방면의 노력이 전제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일본과의 통화스와프 체결과 관련, “재개를 위해 노력할 것이며 앞으로 논의가 시작될 것으로 본다”고 했다.
김은정 기자 ke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