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2일 미국 워싱턴DC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취임 후 네 번째 정상회담을 한다. 두 정상은 북·미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인 북한의 비핵화 방법론을 놓고 최종 의견조율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은 지난 3일 비밀리에 미국을 방문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과 만나 한·미 정상회담 일정을 포함해 북·미 간 핵담판의 접점을 찾는 방안을 논의하고 5일 귀국했다. 정 실장은 “볼턴 보좌관을 만나 북·미 정상회담 성공을 위한 여러 방안에 대해 깊이 있는 협의를 했다”며 “남북한 정상회담 후 한·미 정상 간 통화에서 공유한 여러 내용을 토대로 공조와 협의를 강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핵심은 북·미 간 비핵화 방법론을 둘러싼 이견을 어떻게 좁히느냐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반도 비핵화 목표 달성을 위한 양국 간 긴밀한 공조방안 등의 조율은 마쳤다”며 “한·미 정상이 22일 만나면 북·미 정상회담의 협상공간이 더 넓어지지 않겠냐”고 말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최근 북핵 문제 해결의 원칙으로 기존의 ‘CVID(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 대신 ‘PVID(영구적이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라는 개념을 처음 언급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미국이 ‘PVID’ 개념을 꺼내든 것과 관련해 “북한의 비핵화 필요성을 더욱 강조하고 싶은 것으로 보인다”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하지만 일각에선 ‘완전한 비핵화’ 대신 ‘영구적 비핵화’를 거론한 것 자체가 ‘단계적 비핵화’ 해법을 제시한 북한을 압박해 결과적으로 북·미 간 협상공간을 좁힐 것이란 우려를 제기하고 있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미 간 이견을 조율하고, 북·미 정상회담의 돌발 변수를 제거해야 하는 문 대통령의 적극적 중재 역할이 더 중요해진 이유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번주 한·중·일 정상회의를 시작으로 6월까지가 비핵화의 성패를 가를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문 대통령도 연휴 기간 일정을 비우고 틈틈이 참모의 보고를 받으면서 한반도 평화구상을 정리하고 있다”고 전했다.

손성태 기자 mrhan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