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가 변동성 확대 등에 정유업계 '긴장'…車·IT 업종도 상황 예의주시
"경제제재 등 후속조치 지켜봐야…수입선 다변화로 위험분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란핵협정 탈퇴를 공식 선언한 것과 관련, 9일 국내 관련 업계도 파장을 예의주시하며 대책 마련에 나서는 모습이다.

아직 구체적인 경제제재 내용이 나오지 않은 상태지만 원유, 금융 등에서 제재 가능성이 큰 것으로 전망되는 데다 중동 정세가 악화할 경우 업종과 무관하게 상당 부분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에서다.

다만 미국의 이란 제재와 관련해서는 이미 '학습 효과'가 있고, 업계에서도 대비책을 마련해 두고 있어서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는 낙관론도 있다.

미국의 이란핵협정 파기로 인해 직접적인 영향권에 든 것은 정유업계다.

제재가 현실화할 경우 당장 원유 확보에 차질이 발생할 수 있는 데다 유가 변동성이 확대되기 때문이다.

가뜩이나 원·달러 환율 하락과 최근 유가 상승에 따른 원료비 부담으로 실적 전망이 불투명한 가운데 또다른 악재가 등장한 셈이다.

업계 관계자는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이 선언한 것은 핵협정 탈퇴이지 경제제재가 아니다"라면서 "아직은 상황을 더 지켜볼 여지가 있고, 설령 제재가 재개되더라도 나름대로 대책을 마련해 둔 상태"라고 말했다.

또다른 관계자도 "원유 수입선 다변화와 고부가가치 제품으로의 포트폴리오 재편 등을 통해 위험을 분산했기 때문에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란에 차를 판매하는 국내 완성차 업체들도 즉각적인 영향은 없으나 제재 재개 여부 등 향후 상황에 따라 대응한다는 입장이다.

현대·기아차 관계자는 "이제 막 핵협정 탈퇴를 공식화한 것이고, 구체적인 제재 등 방향이 나온 것이 아니어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완성차업체들은 핵협정 이전에 미국과 이란 간 갈등이 심했던 때에 대외적으로 이란 사업을 중단한 바 있다.

2015년 핵협정을 계기로 대(對) 이란 제재가 풀린 뒤부터는 수출과 반조립제품(CKD) 판매를 본격적으로 재개하면서 이란에서 사업을 이어왔다.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제재 해제 이후 완성차업체의 이란 수출 규모는 2015년 1만4천716대, 2016년 2만793대, 2017년 1만4천779대다.

이와 별도로 CKD 생산 규모는 지난해 기준으로 현대차가 1천200여대, 기아차가 2만6천여대다.

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의 대이란 제재가 핵협정 이전 수준까지 완전히 회귀하지는 않을 것이란 관측이 있는 것처럼 불확실성이 생각만큼 크지는 않아 당분간은 사업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IT·전자전기 업계에서도 이란 현지 법인과 지사 등을 통해 상황을 파악하면서 대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은 트럼프 대통령의 선언으로 현지 사업에 큰 타격이 있을 것이라는 전망은 많지 않다"면서 "그러나 중동 정세는 환율과 유가는 물론 전세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