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댓글·뉴스편집 손 뗀 네이버…여론조작 논란 잠재울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스·댓글 대신, 검색 기능 강화
올해 3분기 안에 변화 예고
플랫폼 사업자로서 고민 드러내
구글식 아웃링크에 대해서는 "찬성"
아웃링크 관련 언론사와 협의 나설 듯
올해 3분기 안에 변화 예고
플랫폼 사업자로서 고민 드러내
구글식 아웃링크에 대해서는 "찬성"
아웃링크 관련 언론사와 협의 나설 듯
네이버가 올해 3분기 안에 확 바뀐다. 그 동안 댓글 조작, 뉴스 편집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했던 네이버는 뉴스 편집권과 댓글 정책을 모두 언론사 재량에 맡긴다.
또 네이버는 기본적으로 아웃링크(기사 클릭시 언론사 홈페이지 연결) 방식을 추구하나, 언론사와의 협의에 따르겠다는 방침이다.
결국 언론사가 재량에 따라 인링크(제휴의 방식으로 네이버가 기사 제공)와 아웃링크를 선택할 수 있게 된 셈인데, 전재료 문제와 이용자들의 편의성 문제 등이 있기에 언론사로서는 쉽지 않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될 것으로도 보인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사진)는 9일 서울 역삼동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우선 네이버는 자사 편집자가 더 이상 기사를 배열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한 대표는 "뉴스 댓글 영역은 해당 기사를 보도한 언론사와 독자의 소통 창구"라며 "해당 언론사가 뉴스 댓글 운영 정책을 결정하도록 맡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언론사가 정치, 사회 섹션의 댓글 허용 여부 등의 댓글 정책을 결정하면 네이버는 그에 따라서 개별 언론사 단위로 지원할 것"덧붙였다.
네이버가 더 이상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움에 따라 네이버의 모바일 첫 화면도 크게 바뀔 전망이다. 일단 모바일 첫 화면부터 제공됐던 뉴스 서비스도 제공되지 않는다. 어뷰징 등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도 없어진다.
다만 네이버는 언론사와 이용자가 뉴스를 직접 편집하는 공간인 '뉴스판'과 '뉴스피드판'을 두번째 화면에 싣는다. 물론 네이버가 뉴스 편집에 관여하지 않는다.
뉴스판은 언론사가 직접 뉴스를 선정해 편집한다. 한 대표는 "다양한 언론사들이 전하는 다양한 편집 가치를 제공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뉴스 본문 안의 광고 이익이나, 언론사 편집 뉴스판에 게재된 광고에서 발생한 이익도 수수료를 제외한 전액 언론사에 제공된다.
뉴스피드판은 네이버의 '에어스(AiRS)', 즉 개인의 뉴스 성향을 학습한 인공지능(AI)이 예측하는 방법으로 관심 뉴스를 추천한다. 해당 기사의 알고리즘 역시 외부 검정을 받아 최대한 공정성을 유지한다는 게 네이버의 기본 방침이다.
다만 PC버전의 네이버는 현행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 대표는 이 질문에 대해 "현재는 모바일에 집중하려고 한다"며 "뉴스는 PC보다는 모바일에서 소비가 크기 때문이고, 모바일 메인인 개선된 이후 (PC버전 네이버가) 봐야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논란이 됐던 '아웃링크'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기본적인 원칙은 구글 방식의 아웃링크로 하되, 언론사와 이용자, 네이버 각각의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언론사와 개별 협의해서 아웃링크 전환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한 대표는 "아웃링크 일괄적용에 대해 언론사에 메일을 드린 이유는 언론사의 사정이 각기 다 다른데 입장 발표를 일방적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생각했다"며 "어떤 부분에 대해서는 사업적으로 연결된 것도 있기에 논의를 통해 아웃링크에 대한 좋은 방안을 생각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최근 네이버는 언론사에 아웃링크 전환 여부를 검토해 달라는 메일을 보낸 바 있다. 이에 대해 온라인신문협회는 "이는 온라인 저널리즘 복원을 위한 근본적 고민이 아니다"며 답변을 거부한 바 있다. 다만 일부 언론사만이 아웃링크에 찬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서포트 리더(사진)는 이날 "70개 정도의 언론사에 의견을 구했지만 언론사의 70%만 회신을 줬다"며 "회신 중 절반이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고, 아웃링크 찬성은 1곳이었으며 나머지 언론사는 인링크를 원했다"고 답했다.
현재 인링크 매체는 네이버의 댓글 정책을 따랐으나, 그것 또한 언론사 재량으로 바뀐다. 한 대표는 "인링크 매체의 댓글 허용 정책도 언론사가 결정한다"며 "저희가 시스템만 제공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인링크 유지시 전재료 문제에 대한 질문에 한 대표는 "(아웃링크를 원하지 않고 인링크를 고수하는 한) 전재료 기준은 현재 언론사와 비지니스 계약이 있고 미디어 관련 펀드가 있다"며 "해당 관련해서는 변화가 없다"고 물었다.
이에 앞서 아웃링크 가이드라인을 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네이버의 입장이다. 아웃링크로 일괄 적용시 이용자들이 겪게 될 수 있는 불편함이나, 언론사와의 계약관계 등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아서라는 게 네이버의 설명이다.
한 대표는 "아웃링크로 인해 유저들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링크로 넘어갈때의 불편함이나, 언론사 사이트의 광고 배너 등이 그것이다"며 "이같은 문제가 있기에 아웃링크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사용자들의 가치를 만들어주면 언론사와 네이버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강조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
또 네이버는 기본적으로 아웃링크(기사 클릭시 언론사 홈페이지 연결) 방식을 추구하나, 언론사와의 협의에 따르겠다는 방침이다.
결국 언론사가 재량에 따라 인링크(제휴의 방식으로 네이버가 기사 제공)와 아웃링크를 선택할 수 있게 된 셈인데, 전재료 문제와 이용자들의 편의성 문제 등이 있기에 언론사로서는 쉽지 않은 선택의 기로에 서게될 것으로도 보인다.
한성숙 네이버 대표(사진)는 9일 서울 역삼동 네이버 파트너스퀘어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은 계획을 밝혔다.
우선 네이버는 자사 편집자가 더 이상 기사를 배열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한 대표는 "뉴스 댓글 영역은 해당 기사를 보도한 언론사와 독자의 소통 창구"라며 "해당 언론사가 뉴스 댓글 운영 정책을 결정하도록 맡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언론사가 정치, 사회 섹션의 댓글 허용 여부 등의 댓글 정책을 결정하면 네이버는 그에 따라서 개별 언론사 단위로 지원할 것"덧붙였다.
네이버가 더 이상 뉴스 편집을 하지 않겠다는 방침을 세움에 따라 네이버의 모바일 첫 화면도 크게 바뀔 전망이다. 일단 모바일 첫 화면부터 제공됐던 뉴스 서비스도 제공되지 않는다. 어뷰징 등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던 실시간 급상승 검색어도 없어진다.
다만 네이버는 언론사와 이용자가 뉴스를 직접 편집하는 공간인 '뉴스판'과 '뉴스피드판'을 두번째 화면에 싣는다. 물론 네이버가 뉴스 편집에 관여하지 않는다.
뉴스판은 언론사가 직접 뉴스를 선정해 편집한다. 한 대표는 "다양한 언론사들이 전하는 다양한 편집 가치를 제공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뉴스 본문 안의 광고 이익이나, 언론사 편집 뉴스판에 게재된 광고에서 발생한 이익도 수수료를 제외한 전액 언론사에 제공된다.
뉴스피드판은 네이버의 '에어스(AiRS)', 즉 개인의 뉴스 성향을 학습한 인공지능(AI)이 예측하는 방법으로 관심 뉴스를 추천한다. 해당 기사의 알고리즘 역시 외부 검정을 받아 최대한 공정성을 유지한다는 게 네이버의 기본 방침이다.
다만 PC버전의 네이버는 현행과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 대표는 이 질문에 대해 "현재는 모바일에 집중하려고 한다"며 "뉴스는 PC보다는 모바일에서 소비가 크기 때문이고, 모바일 메인인 개선된 이후 (PC버전 네이버가) 봐야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논란이 됐던 '아웃링크'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기본적인 원칙은 구글 방식의 아웃링크로 하되, 언론사와 이용자, 네이버 각각의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에 언론사와 개별 협의해서 아웃링크 전환에 대해 논의하겠다는 것이 골자다.
한 대표는 "아웃링크 일괄적용에 대해 언론사에 메일을 드린 이유는 언론사의 사정이 각기 다 다른데 입장 발표를 일방적으로 하는 것은 바람직 하지 않다고 생각했다"며 "어떤 부분에 대해서는 사업적으로 연결된 것도 있기에 논의를 통해 아웃링크에 대한 좋은 방안을 생각해 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최근 네이버는 언론사에 아웃링크 전환 여부를 검토해 달라는 메일을 보낸 바 있다. 이에 대해 온라인신문협회는 "이는 온라인 저널리즘 복원을 위한 근본적 고민이 아니다"며 답변을 거부한 바 있다. 다만 일부 언론사만이 아웃링크에 찬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유봉석 네이버 미디어서포트 리더(사진)는 이날 "70개 정도의 언론사에 의견을 구했지만 언론사의 70%만 회신을 줬다"며 "회신 중 절반이 유보적인 입장을 보였고, 아웃링크 찬성은 1곳이었으며 나머지 언론사는 인링크를 원했다"고 답했다.
현재 인링크 매체는 네이버의 댓글 정책을 따랐으나, 그것 또한 언론사 재량으로 바뀐다. 한 대표는 "인링크 매체의 댓글 허용 정책도 언론사가 결정한다"며 "저희가 시스템만 제공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인링크 유지시 전재료 문제에 대한 질문에 한 대표는 "(아웃링크를 원하지 않고 인링크를 고수하는 한) 전재료 기준은 현재 언론사와 비지니스 계약이 있고 미디어 관련 펀드가 있다"며 "해당 관련해서는 변화가 없다"고 물었다.
이에 앞서 아웃링크 가이드라인을 정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네이버의 입장이다. 아웃링크로 일괄 적용시 이용자들이 겪게 될 수 있는 불편함이나, 언론사와의 계약관계 등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아서라는 게 네이버의 설명이다.
한 대표는 "아웃링크로 인해 유저들의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링크로 넘어갈때의 불편함이나, 언론사 사이트의 광고 배너 등이 그것이다"며 "이같은 문제가 있기에 아웃링크의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사용자들의 가치를 만들어주면 언론사와 네이버가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수 있지 않을까 한다"고 강조했다.
최수진 한경닷컴 기자 naiv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