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쟁제품과 효능 비슷하지만 환자 편의성 높여 차별화
다양한 특허권 내세워 후발주자 진입 장벽 높여
미국 바이오·제약사 애브비는 지난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은 184억2700만달러(약 19조9288억원) 규모 매출을 올렸다. 2016년 20조원을 돌파한 한국 제약시장 전체 규모와 비슷한 수준이다. 휴미라는 우리 몸에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종양괴사인자-알파(TNF-α)’를 억제하는 약이다. 2002년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뒤 곧바로 블록버스터 반열에 올랐다. 소비자 중심의 제품 개발 및 마케팅, 끊임없는 연구개발(R&D)을 통한 적응증 확대, 정교한 특허전략 등이 휴미라의 1등 전략으로 꼽힌다.
‘환자 편의’에 집중한 R&D
애브비는 지난달 국내에 환자 통증을 줄인 휴미라CF제제를 내놨다. 그동안 휴미라의 단점으로 지적된 통증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사제에서 구연산 완충액을 뺀 제품이다. 주사제 용량도 절반으로 줄여 환자 편의를 높였다. 이뿐만이 아니다. 2015년에는 환자 스스로 주사를 쉽게 놓을 수 있도록 돕는 주사보조구를 무료로 보급했다. 주삿바늘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환자를 위해 바늘 굵기도 가늘게 바꿨다.
환자 편의를 위해 노력하는 이유는 휴미라의 특성 때문이다. 휴미라는 환자가 직접 2주마다 주사를 놔야 하는 치료제다. 휴미라와 비슷한 TNF-α억제제인 얀센의 레미케이드는 정맥주사다. 환자가 6~8주마다 병원을 찾아 3시간 정도 주사를 맞아야 한다. 화이자의 엔브렐도 휴미라와 같은 피하주사제로 매주 주사를 놔야 한다. 곽승기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교수는 “제품 효능에는 거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자가 주사를 맞지 못하는 환자는 레미케이드를, 고령층이라 결핵 부작용 위험이 있는 환자는 엔브렐을 처방한다”며 “휴미라는 다른 약보다 환자 편의성이 좀 더 좋다”고 말했다.
끊임없는 적응증 확대
치료 대상 환자도 늘리고 있다. 지난달 휴미라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소아 포도막염 환자도 치료할 수 있도록 허가받았다. 휴미라로 치료할 수 있는 질환군(적응증)이 15개에 이른다. TNF-α억제제 중 적응증이 가장 많다.
몸의 면역체계를 공격하는 TNF-α가 많아지면 류머티즘 질환, 각종 염증 질환이 생길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휴미라를 쓰는 환자는 여러 질환을 앓는 환자가 많다. 강직성 척추염 환자의 22.5%가 건선을, 20.3%가 포도막염을, 5.8%가 염증성 장질환을 앓고 있다. 다른 질환도 마찬가지다. 애브비는 매년 매출의 15% 이상을 R&D에 투자하며 휴미라의 적응증을 늘리고 있다. 지난해 애브비의 R&D 지출은 48억달러로, 전체 매출의 17.5%였다.
특허전략으로 진입장벽 높여
전문가들은 애브비의 특허 전략도 매출 1위를 지키는 주요한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암젠, 삼성바이오에피스, 베링거인겔하임, 화이자, 셀트리온 등 국내외 제약사들이 앞다퉈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하지만 아직 제품을 출시한 곳은 없다. 애브비가 물질특허 외에 제형특허, 용도특허 등 다양한 특허권을 내세워 후발주자들의 진입을 막고 있기 때문이다.
끊임없이 진화하는 휴미라의 속성을 역이용하는 후발주자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셀트리온은 휴미라 바이오시밀러 개발을 일부러 늦추고 있다”며 “효능과 편의성을 높인 차세대 버전을 본떠 바이오시밀러를 내놔야 시장에서 승산이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라고 했다.
"핸드폰 앱만으로도 수면무호흡증 검사가 가능한 '앱노트랙'이 4월까지 빅5 병원(서울대·연세세브란스·서울삼성·서울아산·서울성모병원) 중 3곳에서 처방이 시작될 예정입니다. 상반기까지 처방 가능 병원을 100곳으로 늘려나가려 합니다."이동헌 에이슬립 대표는 14일 한국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이미 이비인후과·내과·암 센터 등 50여개 병원에서 도입 문의 연락이 왔다"며 이같이 말했다.에이슬립은 숨소리를 기반으로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을 검사하는 소프트웨어 '앱노트랙'을 만들었다. 별도의 장비 없이 스마트폰만 있으면 어디에서나 쓸 수 있다. 앱노트랙의 정확도는 병원에서 받는 수면다원검사의 91.3% 수준이다. 분당서울대병원서는 이번 달부터 '앱노트랙'을 처방하기 시작했다. 병원에서 진행하는 수면다원검사와 앱노트랙을 함께 이용해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하겠다는 목적이다. 수면다원검사는 병원에서 하룻밤을 자면서 진행하는 검사다. 뇌파, 심박수 등을 측정하는 30여 개 이상의 센서를 몸에 붙인다. 정확한 정보 수집은 가능하지만, 갑자기 바뀐 수면 환경에 잘못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 대표는 "수면다원검사 결과에 환자가 편안한 환경에서 검사를 진행한 앱노트랙의 결과를 종합해 정밀한 진단을 내리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에이슬립은 상반기 중 앱노트랙 처방 병원을 100곳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다. 이 대표는 "3월 중 서울대병원을 시작으로, 4월까지는 국내 빅5 병원이라고 불리는 곳 중 두 곳과의 계약을 추가로 진행할 예정"이라며 "이외에 1
국내 리그오브레전드(LoL) e스포츠를 주관하는 LCK(리그오브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가 처음으로 개최한 컵 대회인 ‘LCK컵’이 본격적인 우승 레이스에 접어들었다. 디플러스 기아, 젠지 e스포츠, 한화생명e스포츠, 농심 레드포스 등 네 팀이 경쟁을 벌이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가 15일과 16일에 펼쳐진다. 2라운드부터는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에 따라 각 팀은 한 번 패하더라도 패자 부활의 기회를 얻는다.15일에는 디플러스 기아와 농심 레드포스가 맞붙는다. 지난 그룹 스테이지에서 5승 0패로 전승을 기록한 디플 기아가 플레이오프에서도 변함없는 강함을 뽐낼지에 관심이 쏠린다. 다만 마지막 경기가 지난 1일로 2주나 되는 공백은 디플 기아 입장에선 부담이다. 실전 감각을 얼마나 빨리 되찾는지도 중요한 승부처가 될 것으로 보인다.이번 대회 최대 다크호스로 꼽히는 농심의 저력도 만만치 않다. 그룹 스테이지에선 2승 3패로 다소 부진했지만 플레이인 3라운드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DRX와 KT 롤스터를 연이어 격파하며 당당히 4강에 진출했다. KT와 대결에선 세트 스코어 3 대 0 완승을 거두면서 물오른 경기력을 선보였다.농심 레드포스라는 이름대로 레드 진영에서 강한 모습을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실제로 농심은 이번 대회에서 거둔 13승(세트 기준) 중에서 무려 8승을 레드 진영에서 만들어냈다. 무려 61%에 달하는 승률로 참가 팀 중 가장 높다. 블루 진영에 비해 불리하다고 평가받는 레드 진영에서 좋은 성과를 낸 것이다. 디플 기아는 총 10승 중에서 블루 진영 7승, 레드 진영 3승을 거뒀다.16일에는 젠지와 한화생명이 격돌한다. 이번 대회 강력한 우승후보로 꼽히는 양 팀
KT가 졸업·입학 시기를 맞아 인공지능(AI)을 활용해 미국 졸업사진 분위기로 배경과 복장 등을 바꿔주는 서비스를 멤버십 혜택에 넣었다고 14일 발표했다. 사진 앱 스노우의 유료 이용권을 선착순 3만 명에게 무료로 제공한다.국가공인 1호 AI 활용능력 검정시험인 ‘AICE(에이스)’ 응시료와 에이스 교육용 주문형비디오(VOD) 40% 할인 쿠폰도 제공한다. 에이스는 KT가 개발하고 운영하는 AI 교육·평가 도구다. 김영걸 KT 서비스프로덕트본부장(상무)은 “AI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다양한 연령대가 만족할 수 있는 멤버십 혜택을 기획했다”고 말했다.정지은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