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술집 상용근로자 7년3개월만에 감소…임시일용직은 '증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식당과 술집에서 일하는 상용 근로자가 분기 기준으로 7년3개월 만에 감소한 반면 임시일용직은 4분기 만에 늘었다.
생산 악화나 외국인 관광시장 위축 등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지만, 일부에선 인건비 부담으로 상용직을 임시일용직으로 대체하는 움직임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15일 통계청이 운영하는 국가통계포털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음식점 및 주점업에 종사하는 상용 근로자(고용 계약 기간 1년 이상 또는 고용 계약 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정규직)는 올해 1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1598명(0.2%) 줄었다.
이는 분기 기준으로 2010년 4분기(-363명) 이후 29분기(7년3개월)만이다. 월별로는 작년 12월 3935명에 이어 올해 1월 1만271명이 각각 감소했다. 2월 6849명 늘어나면서 반전했으나 3월엔 다시 1371명 줄었다.
반면 이 업종의 임시일용 근로자는 올해 1분기 작년 동기보다 3394명 늘었다. 임시일용직이 늘어난 것은 작년 1분기에 이어 4분기 만이다.
임시일용 근로자는 고용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이으로 상용직보다는 고용 상태가 불안정하다.
숙박업 역시 작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5분기 연속 상용 근로자가 줄었다. 전년 동기 대비 감소폭은 작년 4분기 7420명으로 저점을 찍었고, 올 1분기엔 1617명이다.
서비스 분야에서 상용 근로자 감소가 눈에 띄는 또 다른 업종은 사업지원서비스업이다. 올해 1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1만1595명 줄었다. 이는 2013년 2분기(-1722명) 이후 19분기(4년 9개월)만의 감소다.
반면 사업지원서비스업의 임시일용 근로자는 올해 1분기 3078명 늘면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2016년 1분기부터 8분기 연속 감소했지만 증가세로 방향을 튼 것이다.
사업지원서비스업에는 경비 및 경호 서비스업, 보안 시스템 서비스업, 임시 및 일용 인력 공급업, 고용알선업 등이 속한다. 아파트에 경비·청소 인력을 공급하는 업체도 포함된다.
정부는 이런 상용직 감소가 생산 악화와 외국인 관광시장 위축 때문이고, 일부 업종에선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에 따른 결과라고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문제를 둘러싼 한중 갈등으로 작년 3월부터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했다.
반면 경제 상황 악화로 고용 여건 자체가 열악해진 것과 더불어 최저임금 인상 여파라는 지적도 나온다. 시간당 최저임금이 지난해 6470원에서 올해 7천530원으로 16.4% 인상되면서 기업이나 자영업자가 상용 근로자를 임시직으로 대체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
생산 악화나 외국인 관광시장 위축 등에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지만, 일부에선 인건비 부담으로 상용직을 임시일용직으로 대체하는 움직임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15일 통계청이 운영하는 국가통계포털 사업체노동력조사 결과를 보면 음식점 및 주점업에 종사하는 상용 근로자(고용 계약 기간 1년 이상 또는 고용 계약 기간이 정해지지 않은 정규직)는 올해 1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1598명(0.2%) 줄었다.
이는 분기 기준으로 2010년 4분기(-363명) 이후 29분기(7년3개월)만이다. 월별로는 작년 12월 3935명에 이어 올해 1월 1만271명이 각각 감소했다. 2월 6849명 늘어나면서 반전했으나 3월엔 다시 1371명 줄었다.
반면 이 업종의 임시일용 근로자는 올해 1분기 작년 동기보다 3394명 늘었다. 임시일용직이 늘어난 것은 작년 1분기에 이어 4분기 만이다.
임시일용 근로자는 고용 계약 기간이 1년 미만이으로 상용직보다는 고용 상태가 불안정하다.
숙박업 역시 작년 1분기부터 올해 1분기까지 5분기 연속 상용 근로자가 줄었다. 전년 동기 대비 감소폭은 작년 4분기 7420명으로 저점을 찍었고, 올 1분기엔 1617명이다.
서비스 분야에서 상용 근로자 감소가 눈에 띄는 또 다른 업종은 사업지원서비스업이다. 올해 1분기에 작년 동기보다 1만1595명 줄었다. 이는 2013년 2분기(-1722명) 이후 19분기(4년 9개월)만의 감소다.
반면 사업지원서비스업의 임시일용 근로자는 올해 1분기 3078명 늘면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2016년 1분기부터 8분기 연속 감소했지만 증가세로 방향을 튼 것이다.
사업지원서비스업에는 경비 및 경호 서비스업, 보안 시스템 서비스업, 임시 및 일용 인력 공급업, 고용알선업 등이 속한다. 아파트에 경비·청소 인력을 공급하는 업체도 포함된다.
정부는 이런 상용직 감소가 생산 악화와 외국인 관광시장 위축 때문이고, 일부 업종에선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등에 따른 결과라고 추정하고 있다.
실제로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문제를 둘러싼 한중 갈등으로 작년 3월부터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했다.
반면 경제 상황 악화로 고용 여건 자체가 열악해진 것과 더불어 최저임금 인상 여파라는 지적도 나온다. 시간당 최저임금이 지난해 6470원에서 올해 7천530원으로 16.4% 인상되면서 기업이나 자영업자가 상용 근로자를 임시직으로 대체한 결과라는 분석이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