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도청·청주시 청사 이전 놓고 후보들 팽팽히 맞서
선거철 되니 "도청·시청 옮기겠습니다"… 포퓰리즘 공방
선거 때마다 단골 메뉴로 등장하는 공약이 지방자치단체 청사 이전이나 신축이다.

6·13 지방선거에서도 예외는 아니다.

대통령 선거나 국회의원 선거보다 상대적으로 유권자의 관심이 적은 지방선거에서 후보들이 이슈로 부각해 자신을 알리고 지지층을 결집하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거두기 위해 앞다퉈 이 카드를 빼 들고 있다.

청사 이전 공약을 내건 후보들은 균형발전을 이루기 위해 꼭 필요한 사업이라는 점 등을 내세운다.

반면 반대하는 후보들은 표만 의식한 표퓰리즘 공약이라고 비판하며 백지화해야 한다고 반박한다.

청사 이전 문제는 신중하게 접근해야 할 사안이기 때문에 시민과 전문가의 충분한 공론화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지적한다.

◇ 충북도청사 이전 놓고 여야 공방
선거철 되니 "도청·시청 옮기겠습니다"… 포퓰리즘 공방
충북지사 선거에서 도청사 이전 문제가 쟁점으로 떠올랐다.

'판도라의 상자'를 연 것은 한국당 박경국 후보다.

그는 지난 15일 기자회견을 열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충북처럼 비좁고 노후한 도청은 찾아볼 수 없다"며 청사 이전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그러면서 "현 청사 부지는 청주 상당공원까지 넓혀 공원으로 만들고, 본관과 신관 건물은 역사관이나 미술관 등으로 꾸며 도민에게 개방할 것"이라고 했다.

민주당과 바른미래당은 즉각 박 후보의 이 공약에 견제구를 던졌다.

민주당 충북도당은 대변인 논평을 통해 지역 간 갈등을 부추기고, 막대한 재원 투입으로 도민 피해를 조장하는 무책임한 발상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이전할 입지나 재원 대책 제시가 없다"며 "아니면 말고 식의 존재감 부각을 위한 꼼수"라고 꼬집었다.

바른미래당 충북도당도 "고민의 흔적이 전혀 없는 포퓰리즘 공약"이라고 맹공했다.

한국당 충북도당은 "현 도청사는 낡고 비좁아 광역단체 청사라고 부르기도 부끄러울 정도"라며 "충북의 미래를 생각할 때 이대로 방치할 수 없다"고 박 후보를 엄호했다.

도청사 이전 공약은 2014년 지방선거 때도 등장했다.

당시 통합진보당 신장호 지사 후보는 청주권에 쏠리는 불균형을 해소하고 시·군 균형발전을 위해 도청을 진천·음성 혁신도시로 이전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청주시장 후보들 청사 신축 놓고 백가쟁명
선거철 되니 "도청·시청 옮기겠습니다"… 포퓰리즘 공방
2014년 청주시와 옛 청원군의 행정구역 통합 당시 대표적인 상생방안으로 제시돼 추진되는 청주시청사 건립 문제도 지방선거의 뜨거운 감자다.

청주시는 내년부터 2022년까지 2천312억원을 들여 신청사를 완공한다는 구상이다.

하지만 시장 선거에 출마한 각 당 후보들의 의견이 극명하게 엇갈린다.

이 계획이 제대로 추진될지에 벌써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시청사 이전 카드를 꺼낸 것은 한국당 황영호 후보다.

그는 시청을 옛 연초제조창으로 이전하고 현 청사 부지는 문화공간으로 조성하겠다는 공약을 내놨다.

옛 연초제조창을 리모델링해 청사를 이전하고 예산을 절약하면 사업비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반면 민주당 한범덕 후보와 정의당 정세영 후보는 시청사 이전에 대해 부정적이다.

한 후보는 "현 청사 부지에 새 청사를 짓는 것은 청주시와 청원군의 행정구역 통합 당시 합의한 사안"이라며 "이 문제를 다시 화두에 올릴 이유가 없다"고 비판했다.

정 후보는 한발 더 나아가 신청사 건립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인다.

정의당은 현재의 시청사를 그대로 활용하고 청사 건립에 드는 비용을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써야 한다고 주장한다.

증평 출신인 바른미래당 윤해명 충북도의원 후보는 도교육청을 증평으로 이전해야 한다는 공약을 내놨다.

도내 11개 시·군 가운데 증평에만 교육지원청이 없어서라는 이유에서다.

윤 후보의 공약에 대해 도교육청은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도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도의원 후보가 내세울 공약은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대응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에둘러 비판했다.

선거철마다 등장하는 청사 이전 공약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오창근 충북참여자치시민연대 사회문화국장은 "청사 이전 문제는 공무원뿐 아니라 지역 상권 등 복합적인 문제가 혼재한 중차대한 일"이라며 "충분한 공론화 과정 없이 특정 정파에서 추진할 경우 적지 않은 후유증을 겪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