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류 수출 대표기업마저… 한세실업, 9년 만에 '적자'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환율하락에 1분기 어닝쇼크
영업손실 140억… 매출도↓
원高에 수출 경쟁력 떨어져
OEM 사업 수익성 악화
저마진 수주·원가 상승
나이키 등서 주문 감소
'4중고' 시달려 실적 부진
영업손실 140억… 매출도↓
원高에 수출 경쟁력 떨어져
OEM 사업 수익성 악화
저마진 수주·원가 상승
나이키 등서 주문 감소
'4중고' 시달려 실적 부진
세계적 의류 제조업체 한세실업의 가장 큰 시장은 미국이다. 광고 문구도 ‘미국인 3명 중 1명은 한세실업 옷을 입습니다’이다. 2008년 미국 금융위기 때도 한세실업 매출은 10% 늘었다. 그만큼 강력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었다. 이런 한세실업도 환율 하락은 견뎌내지 못했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한세실업의 1분기 매출은 3641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5.8% 줄었다. 영업손익은 140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한세실업이 분기 적자를 본 것은 2009년 지주회사와 인적분할한 뒤 처음이다. 미국 시장 경쟁 격화, 원자재 가격 상승 등도 악재였다.
한세실업 주가는 ‘어닝쇼크’를 반영해 이날 3.1% 하락한 1만7000원으로 마감했다. 52주 신저가다.
◆환율 7% 하락 여파
실적 악화는 주력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사업 부진의 영향이 컸다. OEM 사업에서만 125억원의 적자를 냈다. OEM 사업의 달러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늘었지만, 원화로 환산하면 6% 감소했다. 한세실업 관계자는 “1분기 부진은 시장 경쟁력 약화가 아니라 환율과 비용 상승에 의한 요인이 크다”고 말했다. 올 1분기 평균 환율은 작년에 비해 7%가량 낮았다.
미국 시장에서 치열해지는 의류업체 간 경쟁도 한세실업을 괴롭혔다. 나이키와 갭(GAP) 등 한세실업에 주문을 내는 미국 브랜드들의 실적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세실업이 많이 납품하는 캐주얼 의류 시장이 축소되고 있고, 온라인과 제조·직매형의류(SPA) 브랜드도 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한세실업이 수주한 단가도 많이 떨어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전망도 밝지 않아
원재료인 면화 가격 상승은 손실폭을 키웠다. 원사(CM 30S) 가격은 ㎏당 3.13달러로 전년(2.89달러) 대비 약 7% 올랐다. 자회사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국내에서 TBJ, 앤듀, 버커루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는 한세엠케이(지분율 50%)도 적자를 기록했다. 한세엠케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7% 줄었다. 브랜드 경쟁력이 약화되고, 할인판매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전망도 밝지 않다. 박현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예상보다 한세실업 적자 규모가 크고 2분기에도 대외적 여건이 좋아질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율만 봐도 그렇다. 정부가 환율 하락을 막기 위해 시장에 개입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증권업계는 2분기 평균 환율도 달러당 1080원 수준으로 작년 2분기보다 3%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영원무역은 조금 다른 길
영원무역은 OEM 사업이 주력이지만 동시에 브랜드 사업을 강화하면서 1분기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매출 4498억원과 영업이익 414억원을 냈다. 매출은 2.1%, 영업이익은 4.8% 증가했다. 한세실업이 중저가 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것에 비해 영원무역은 고가 제품 생산 비중이 높은 것도 실적에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또 스위스 자전거용품 브랜드인 자회사 스콧 코퍼레이션 실적이 좋아진 것도 실적 악화를 막는 데 기여했다. 스콧은 올해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를 보면 한세실업의 1분기 매출은 3641억원으로 전년 동기에 비해 5.8% 줄었다. 영업손익은 140억원 적자로 돌아섰다. 한세실업이 분기 적자를 본 것은 2009년 지주회사와 인적분할한 뒤 처음이다. 미국 시장 경쟁 격화, 원자재 가격 상승 등도 악재였다.
한세실업 주가는 ‘어닝쇼크’를 반영해 이날 3.1% 하락한 1만7000원으로 마감했다. 52주 신저가다.
◆환율 7% 하락 여파
실적 악화는 주력인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사업 부진의 영향이 컸다. OEM 사업에서만 125억원의 적자를 냈다. OEM 사업의 달러 기준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 늘었지만, 원화로 환산하면 6% 감소했다. 한세실업 관계자는 “1분기 부진은 시장 경쟁력 약화가 아니라 환율과 비용 상승에 의한 요인이 크다”고 말했다. 올 1분기 평균 환율은 작년에 비해 7%가량 낮았다.
미국 시장에서 치열해지는 의류업체 간 경쟁도 한세실업을 괴롭혔다. 나이키와 갭(GAP) 등 한세실업에 주문을 내는 미국 브랜드들의 실적이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세실업이 많이 납품하는 캐주얼 의류 시장이 축소되고 있고, 온라인과 제조·직매형의류(SPA) 브랜드도 이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한세실업이 수주한 단가도 많이 떨어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전망도 밝지 않아
원재료인 면화 가격 상승은 손실폭을 키웠다. 원사(CM 30S) 가격은 ㎏당 3.13달러로 전년(2.89달러) 대비 약 7% 올랐다. 자회사도 도움이 되지 않았다. 국내에서 TBJ, 앤듀, 버커루 등의 브랜드를 운영하는 한세엠케이(지분율 50%)도 적자를 기록했다. 한세엠케이 1분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5.7% 줄었다. 브랜드 경쟁력이 약화되고, 할인판매가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전망도 밝지 않다. 박현진 DB금융투자 연구원은 “예상보다 한세실업 적자 규모가 크고 2분기에도 대외적 여건이 좋아질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환율만 봐도 그렇다. 정부가 환율 하락을 막기 위해 시장에 개입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증권업계는 2분기 평균 환율도 달러당 1080원 수준으로 작년 2분기보다 3%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영원무역은 조금 다른 길
영원무역은 OEM 사업이 주력이지만 동시에 브랜드 사업을 강화하면서 1분기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매출 4498억원과 영업이익 414억원을 냈다. 매출은 2.1%, 영업이익은 4.8% 증가했다. 한세실업이 중저가 제품을 주로 생산하는 것에 비해 영원무역은 고가 제품 생산 비중이 높은 것도 실적에 영향을 줬다는 평가다.
또 스위스 자전거용품 브랜드인 자회사 스콧 코퍼레이션 실적이 좋아진 것도 실적 악화를 막는 데 기여했다. 스콧은 올해 흑자전환이 예상된다.
김기만 기자 mg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