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인생] C형 간염에 걸려도 대다수 몰라… 국가건강검진으로 조기치료해야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도영 신촌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간암의 12%는 C형 간염 때문
이상징후 없어 조기발견 어려워
간경변으로 진행된 후 알게 돼
부작용 적은 치료제 새로 나와
조기 진단·치료 땐 완치 가능
간암의 12%는 C형 간염 때문
이상징후 없어 조기발견 어려워
간경변으로 진행된 후 알게 돼
부작용 적은 치료제 새로 나와
조기 진단·치료 땐 완치 가능
“C형 간염을 국가건강검진에 도입해 조기 진단하면 심각한 간질환으로 발전하는 것을 막아 국민 건강에 큰 도움이 될 겁니다.”
김도영 신촌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사진)는 “국민참여예산제를 통해 C형 간염을 국가건강검진에 포함시키자고 제안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민참여예산제는 국민이 정부에 예산 사업을 제안하고 심사 및 우선순위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제도로 지난 3월부터 한 달간 1206건의 아이디어가 제출됐다. 김 교수의 아이디어도 그중 하나다.
바이러스 간염은 바이러스로 인해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형, B형, C형으로 나뉜다. 유병률은 B형이 가장 높고 C형, A형 순이다.
그러나 C형은 A·B형과 달리 증상이 없어 일찍 진단하기 어렵다. 김 교수는 “A·B형은 감기나 몸살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C형은 특별한 징후가 없어 환자의 70~80%가 감염 여부를 인지하지 못한다”며 “10~20년이 지나 간경변으로 진행되고 나서야 뒤늦게 감염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C형 간염은 70~80%가 만성간염으로 나빠지고 이 가운데 30~40%가 간경변, 간암으로 발전한다. 전체 간암의 12%가 C형 간염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형 간염은 주로 혈액을 포함한 체액을 통해 감염된다. 아직 백신이 없기 때문에 면도기, 칫솔, 손톱깎이 등 혈액이나 타액이 묻을 수 있는 기구 사용에 주의하고 위생적이지 않은 문신, 피어싱 시술 등을 피하는 게 유일한 예방법이다.
C형 간염은 발견 시 완치 가능한 질병이다. 2015년 경구제가 국내에 들어오기 전까지 C형 간염 표준 치료제는 주사제인 인터페론이었다. 치료 기간이 1년으로 길고 치료 성공률은 60%에 그쳤다. 탈모, 고열, 오한, 우울증 등 부작용도 있었다. 현재 쓰이는 경구용 치료제는 3~6개월만 복용하면 99%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 덜하다.
2015년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에서 주사기를 재사용해 97명이 C형 간염에 집단 감염된 사건이 일어나 C형 간염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 이후 정부는 C형 간염을 3군 감염병으로 지정해 표본감시에서 전수감시로 전환하는 등 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아직 한계가 있다는 게 김 교수 생각이다. 그는 “이미 발생한 환자를 찾아내는 것으로는 부족하다”며 “C형 간염을 퇴치하려면 숨은 감염자를 찾아내 신규 환자 발생을 차단해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C형 간염을 조기 치료하는 게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했다. 그가 소개한 연구에 따르면 2011~2012년 8개 대형 병원을 방문한 C형 간염 환자 445명의 의료비를 확인한 결과 C형 간염, 비대상성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수록 환자별 평균 의료비는 각각 월 19만원, 110만원, 148만원으로 증가했다.
김 교수는 “C형 간염 항체 검사는 1인당 3550원이 든다”며 “50~55세를 대상으로 최소 5년에서 최대 10년 동안 한시적으로 국가건강검진을 하면 C형 간염 환자 대부분을 걸러내 감염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
김도영 신촌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교수(사진)는 “국민참여예산제를 통해 C형 간염을 국가건강검진에 포함시키자고 제안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국민참여예산제는 국민이 정부에 예산 사업을 제안하고 심사 및 우선순위 결정 과정에 참여하는 제도로 지난 3월부터 한 달간 1206건의 아이디어가 제출됐다. 김 교수의 아이디어도 그중 하나다.
바이러스 간염은 바이러스로 인해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다. 바이러스 종류에 따라 A형, B형, C형으로 나뉜다. 유병률은 B형이 가장 높고 C형, A형 순이다.
그러나 C형은 A·B형과 달리 증상이 없어 일찍 진단하기 어렵다. 김 교수는 “A·B형은 감기나 몸살과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지만 C형은 특별한 징후가 없어 환자의 70~80%가 감염 여부를 인지하지 못한다”며 “10~20년이 지나 간경변으로 진행되고 나서야 뒤늦게 감염 사실을 확인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C형 간염은 70~80%가 만성간염으로 나빠지고 이 가운데 30~40%가 간경변, 간암으로 발전한다. 전체 간암의 12%가 C형 간염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형 간염은 주로 혈액을 포함한 체액을 통해 감염된다. 아직 백신이 없기 때문에 면도기, 칫솔, 손톱깎이 등 혈액이나 타액이 묻을 수 있는 기구 사용에 주의하고 위생적이지 않은 문신, 피어싱 시술 등을 피하는 게 유일한 예방법이다.
C형 간염은 발견 시 완치 가능한 질병이다. 2015년 경구제가 국내에 들어오기 전까지 C형 간염 표준 치료제는 주사제인 인터페론이었다. 치료 기간이 1년으로 길고 치료 성공률은 60%에 그쳤다. 탈모, 고열, 오한, 우울증 등 부작용도 있었다. 현재 쓰이는 경구용 치료제는 3~6개월만 복용하면 99% 치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부작용이 덜하다.
2015년 서울 양천구 다나의원에서 주사기를 재사용해 97명이 C형 간염에 집단 감염된 사건이 일어나 C형 간염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 이후 정부는 C형 간염을 3군 감염병으로 지정해 표본감시에서 전수감시로 전환하는 등 관리 체계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아직 한계가 있다는 게 김 교수 생각이다. 그는 “이미 발생한 환자를 찾아내는 것으로는 부족하다”며 “C형 간염을 퇴치하려면 숨은 감염자를 찾아내 신규 환자 발생을 차단해야 한다”고 했다.
김 교수는 C형 간염을 조기 치료하는 게 사회적 비용을 줄이는 길이라고 했다. 그가 소개한 연구에 따르면 2011~2012년 8개 대형 병원을 방문한 C형 간염 환자 445명의 의료비를 확인한 결과 C형 간염, 비대상성 간경변, 간암으로 진행될수록 환자별 평균 의료비는 각각 월 19만원, 110만원, 148만원으로 증가했다.
김 교수는 “C형 간염 항체 검사는 1인당 3550원이 든다”며 “50~55세를 대상으로 최소 5년에서 최대 10년 동안 한시적으로 국가건강검진을 하면 C형 간염 환자 대부분을 걸러내 감염 위험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임유 기자 freeu@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