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진한 경기 탓" 기준금리, 6개월째 제자리…美 금리인상 '촉각'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이하 금통위)가 5월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물가와 경기 등 경제지표가 부진하다는 점이 동결 결정에 영향을 줬다.
한은 금통위는 24일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연 1.50%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금통위에서 6년5개월 만에 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한 후 여섯달 째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는 물론 고용지표가 개선되지 못해 경제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점이 동결의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4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2만3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취업자 증가폭이 석 달 연속 10만명대에 머무른 것이다.
이에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우리 경제는 정부가 목표로 삼았던 3% 성장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분기 경제성장률은 전기 대비 1.1% 성장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8% 성장하는 데 그쳤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도 "우리 경제가 비교적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해오고 있지만 대내외 여건이 만만치 않아서 앞으로의 경제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또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물가보다 고용, 소비 등 실물지표가 중요하다"고 강조해왔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한은은 통화정책 시행을 위해 물가보다는 소비, 고용, 투자 등 실물지표를 주의깊게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라며 "현재로써는 물가뿐 아니라 고용, 투자가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그나마 소폭 회복되는 듯 했던 소비 역시 둔화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이번 금통위에서 한은은 경기 개선 추이를 지켜볼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했다는 게 김 연구원의 판단이다.
하지만 시장에서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어 한은이 동결 기조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최근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일부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이 야기되고 있다. 또 고용지표 호조와 함께 국제유가 상승이 미국의 물가를 밀어올려서 중앙은행(Fed)이 금리인상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가능성도 고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올해 말까지 연 2.5%(3회 추가 인상)까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이달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고 다음달 미국이 예상대로 금리를 올리면 양국의 금리 차는 0.50%포인트로 벌어진다. 여기에 한은이 다음 금통위가 예정된 7~8월에도 금리를 동결하고, Fed가 9월에 금리를 올리면 금리차는 0.75%포인트까지 확대된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은 바로 자본유출을 초래하진 않겠지만,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이 증폭되는 상황에서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한은이 금리 인상시기를 고심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이날 예정된 간담회에서 이 총재가 어떤 신호를 보낼 지 주목하고 있다.
이슬비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에 금리를 동결했지만 7월 금통위까지 2달여의 시간이 남아있다"며 "그 사이 경제지표 추이나 한은 총재 및 금통위원들의 세부적인 스탠스 변화를 면밀히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
한은 금통위는 24일 본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행 연 1.50% 수준에서 유지하기로 했다. 한은은 지난해 11월 금통위에서 6년5개월 만에 금리를 0.25%포인트(p) 인상한 후 여섯달 째 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물가는 물론 고용지표가 개선되지 못해 경제를 낙관하기 어렵다는 점이 동결의 원인으로 꼽힌다.
지난 4월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2만3000명 증가하는데 그쳤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취업자 증가폭이 석 달 연속 10만명대에 머무른 것이다.
이에 지난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우리 경제는 정부가 목표로 삼았던 3% 성장에 미치지 못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1분기 경제성장률은 전기 대비 1.1% 성장했지만 전년 동기 대비 2.8% 성장하는 데 그쳤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도 "우리 경제가 비교적 견실한 성장세를 지속해오고 있지만 대내외 여건이 만만치 않아서 앞으로의 경제상황을 낙관하기 어렵다"고 언급한 바 있다. 그는 또 "기준금리 결정에 있어 물가보다 고용, 소비 등 실물지표가 중요하다"고 강조해왔다.
김지나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올해 한은은 통화정책 시행을 위해 물가보다는 소비, 고용, 투자 등 실물지표를 주의깊게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라며 "현재로써는 물가뿐 아니라 고용, 투자가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으며 고용 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그나마 소폭 회복되는 듯 했던 소비 역시 둔화될 위험에 노출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라 이번 금통위에서 한은은 경기 개선 추이를 지켜볼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취했다는 게 김 연구원의 판단이다.
하지만 시장에서 미국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어 한은이 동결 기조를 유지할 수는 없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최근 아르헨티나와 터키 등 일부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이 야기되고 있다. 또 고용지표 호조와 함께 국제유가 상승이 미국의 물가를 밀어올려서 중앙은행(Fed)이 금리인상에 속도를 낼 것이라는 가능성도 고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국이 올해 말까지 연 2.5%(3회 추가 인상)까지 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이달 한은이 금리를 동결하고 다음달 미국이 예상대로 금리를 올리면 양국의 금리 차는 0.50%포인트로 벌어진다. 여기에 한은이 다음 금통위가 예정된 7~8월에도 금리를 동결하고, Fed가 9월에 금리를 올리면 금리차는 0.75%포인트까지 확대된다.
한미 정책금리 역전은 바로 자본유출을 초래하진 않겠지만,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 불안이 증폭되는 상황에서는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한은이 금리 인상시기를 고심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얘기다.
이에 따라 시장에서는 이날 예정된 간담회에서 이 총재가 어떤 신호를 보낼 지 주목하고 있다.
이슬비 삼성증권 연구원은 "이번에 금리를 동결했지만 7월 금통위까지 2달여의 시간이 남아있다"며 "그 사이 경제지표 추이나 한은 총재 및 금통위원들의 세부적인 스탠스 변화를 면밀히 지켜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혜원 한경닷컴 기자 anh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