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오후 1시 현재 '자주포 폭발사고로 전신화상을 입은 장병을 치료해 주시고 국가유공자로 지정해 주십시오'라는 제목의 청원에 총 22만여명이 참여한 데 따른 것이다.
지난 18일에 올라온 이 청원은 '한 달 내 20만 명 이상 참여'라는 청와대의 공식 답변 요건을 채웠다.
청원자는 "자주포 폭발사고로 이찬호 병장은 전신화상을 입고 10년을 키워온 배우의 꿈을 접었다"며 "책임을 지겠다던 정부가 전역 후 (이 병장을) 치료해 줄지 불분명해 이 병장은 아직 전역을 못 한다고 한다"고 적었다.
청원자는 미국의 경우 가족을 만난 뒤 텍사스 주로 돌아가던 중 교통사고로 왼쪽 귀를 잃은 군인을 위해 최고 수준의 외과의를 동원해 귀를 이식해주었다는 내용의 외신 보도도 소개했다.
그러면서 "미군은 휴가 중 상해를 입었지만 우리 장병은 근무 중 사고로 다친 것"이라며 "한 나라에서 나라를 지키려다 죽거나 다친 군인보다 더 소중한 게 무엇이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그는 "이런 상해 군인을 위해 쓰이는 제 세금은 한 푼도 아깝지 않다"고 강조했다.
청원자는 "심한 화상을 입은 장병의 치료비와 함께 단순한 화상 치료를 넘어 본래의 모습을 되찾게 하는 성형수술도 지원하고 (이 병장을) 국가유공자로 지정해 평생 일을 못 해도 먹고 사는 데 지장이 없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영내서 발생한 사고로 승진에 영향을 미칠까 전전긍긍하고 있을 장교와 관료들을 대신해 정부가 먼저 나서서 상이군인을 챙겨 주시고 군인들의 사기도 증진해 달라"고 덧붙였다.
이 병장은 지난해 자주포 폭발사고 당시 부상을 입은 4명 중 한 명이다. 포 안에 있던 3명은 폭발과 함께 숨졌다.
군 복무 중에는 치료비가 전액 지원되고 전역 후에도 보훈병원에서 무료로 진료를 받을 수 있으나 화상전문병원 치료비 지원은 불투명하다.
이 때문에 이 병장은 지난달 복무 기간을 다 채우고도 전역을 6개월 미룬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