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돈 검출' 대진침대 또 나왔다… 매트리스 모델 14종 추가 확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 4차 조사결과 발표… '피폭 허용치 초과' 총 21종
추가 확인 제품 2만5661개
즉시 수거·폐기토록 행정조치
라돈 내뿜는 모자나이트
他침대업체 49곳은 사용안해
목걸이 등 제조업체 9곳 제품
연간 피폭 허용치 밑돌아
추가 확인 제품 2만5661개
즉시 수거·폐기토록 행정조치
라돈 내뿜는 모자나이트
他침대업체 49곳은 사용안해
목걸이 등 제조업체 9곳 제품
연간 피폭 허용치 밑돌아
1급 발암물질 라돈이 검출된 대진침대 모델이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정부가 네 차례 조사 결과를 발표할 때마다 방사선 피폭선량 허용치를 초과한 제품이 늘어나면서 소비자 불안이 좀처럼 잦아들지 않고 있다.
국무총리실, 원자력안전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는 25일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합동브리핑을 열고 가공제품 연간 피폭 허용치를 초과한 대진침대 매트리스 모델 14종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15일 2차 조사 결과를 통해 공개한 7종(6만2088개)을 포함해 피폭 허용치를 초과한 대진침대 모델이 21종으로 늘어났다.
노형욱 국무조정실 2차장(사진)은 “추가 조사 결과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안전기준을 초과한 매트리스 모델 14종 2만5661개를 수거해 폐기하는 행정조치를 내렸다”고 말했다.
원안위 등에 따르면 대진침대에 매트리스를 납품한 업체에 방사성 물질 라돈과 토론을 내뿜는 광석(모나자이트)을 공급한 수입 업체는 현재까지 한 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입업체에서 모나자이트를 사서 공급한 업체 66곳 가운데 대진침대에 매트리스를 공급한 업체를 포함해 13곳이 생활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내수용 가공제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목걸이와 팔찌, 전기장판용 부직포를 제조하는 9곳의 제품은 라돈 노출에 따른 내부 피폭선량이 허용 기준인 연간 1밀리시버트(mSv)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세라믹 제품과 도료를 생산하는 3개 업체는 시료를 확보해 분석 중이어서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나머지 53개 모나자이트 구입처는 실험과 연구, 수출을 위해 구매했거나 구매한 모나자이트를 전량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개 업체에서 모나자이트를 납품받은 2개 카펫 원단 업체 제품에선 허용치의 2.34~4.98배에 이르는 방사선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됐으나 전량 수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은 대진침대 외에 다른 침대 업체 49곳도 조사했지만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업체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원안위는 이달 10일부터 네 차례에 걸쳐 라돈침대 조사 결과를 발표해왔다. 방사선이 연간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1차 조사 결과를 닷새 만에 뒤집어 혼란을 초래하고선 조사 범위를 확대했다.
미숙한 대응은 이어졌다. 24일부터 매일 2000개씩 문제의 대진침대 7종을 수거해 한 달 내 모두 수거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추가 확인된 모델을 포함한 8만7749개 수거를 해당 업체에 전적으로 맡긴 데다 사용된 제품의 추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완전히 수거될지 장담할 수 없다.
이날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강정민 원안위 위원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원안위가 ‘라돈침대 사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의사협회는 라돈 성분이 검출된 대진침대 매트리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폐암 발병 여부를 모니터링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음이온 함유 제품과 라돈 검출 위험이 있는 제품의 전수조사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근태/이지현 기자 kunta@hankyung.com
국무총리실, 원자력안전위원회, 산업통상자원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등 관계부처는 25일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합동브리핑을 열고 가공제품 연간 피폭 허용치를 초과한 대진침대 매트리스 모델 14종을 추가로 확인했다고 발표했다. 지난 15일 2차 조사 결과를 통해 공개한 7종(6만2088개)을 포함해 피폭 허용치를 초과한 대진침대 모델이 21종으로 늘어났다.
노형욱 국무조정실 2차장(사진)은 “추가 조사 결과 ‘생활주변방사선 안전관리법’ 안전기준을 초과한 매트리스 모델 14종 2만5661개를 수거해 폐기하는 행정조치를 내렸다”고 말했다.
원안위 등에 따르면 대진침대에 매트리스를 납품한 업체에 방사성 물질 라돈과 토론을 내뿜는 광석(모나자이트)을 공급한 수입 업체는 현재까지 한 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입업체에서 모나자이트를 사서 공급한 업체 66곳 가운데 대진침대에 매트리스를 공급한 업체를 포함해 13곳이 생활 주변에서 흔히 사용하는 내수용 가공제품을 생산하거나 판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 중 목걸이와 팔찌, 전기장판용 부직포를 제조하는 9곳의 제품은 라돈 노출에 따른 내부 피폭선량이 허용 기준인 연간 1밀리시버트(mSv)를 초과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세라믹 제품과 도료를 생산하는 3개 업체는 시료를 확보해 분석 중이어서 아직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나머지 53개 모나자이트 구입처는 실험과 연구, 수출을 위해 구매했거나 구매한 모나자이트를 전량 보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1개 업체에서 모나자이트를 납품받은 2개 카펫 원단 업체 제품에선 허용치의 2.34~4.98배에 이르는 방사선이 나오는 것으로 분석됐으나 전량 수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산업부, 국가기술표준원은 대진침대 외에 다른 침대 업체 49곳도 조사했지만 모나자이트를 사용한 업체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원안위는 이달 10일부터 네 차례에 걸쳐 라돈침대 조사 결과를 발표해왔다. 방사선이 연간 허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는 1차 조사 결과를 닷새 만에 뒤집어 혼란을 초래하고선 조사 범위를 확대했다.
미숙한 대응은 이어졌다. 24일부터 매일 2000개씩 문제의 대진침대 7종을 수거해 한 달 내 모두 수거하겠다고 공언했다. 그러나 추가 확인된 모델을 포함한 8만7749개 수거를 해당 업체에 전적으로 맡긴 데다 사용된 제품의 추적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완전히 수거될지 장담할 수 없다.
이날 최대집 대한의사협회 회장은 강정민 원안위 위원장을 직무유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원안위가 ‘라돈침대 사태’에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는 이유에서다.
의사협회는 라돈 성분이 검출된 대진침대 매트리스 사용자를 대상으로 폐암 발병 여부를 모니터링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음이온 함유 제품과 라돈 검출 위험이 있는 제품의 전수조사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근태/이지현 기자 kunta@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