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BK기업은행 본점.
IBK기업은행 본점.
정부가 추진중인 동산(動産)담보대출(부동산 담보가 부족하거나 신용대출 한도가 꽉 찬 중소기업이 생산시설과 같은 유형자산, 원자재, 재고자산, 농·축·수산물, 매출채권 등을 담보로 자금을 빌리는 대출상품) 활성화 정책에 은행권 반응이 미적지근한 가운데 IBK기업은행이 적극 나서고 있어 눈길을 끈다.

기업은행은 28일 동산금융 활성화를 위해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 '스마트 동산담보대출'을 출시했다.

담보물의 위치정보, 가동상태 등을 실시간으로 관리 할 수 있도록 동산담보에 사물인터넷 기기 부착을 의무화하겠다는 것이다. 사업개시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중소기업이라면 신용등급·업종제한 기준 없이 모두 이용할 수 있다.

현재 기업은행은 전체 동산담보대출시장의 약 40%(4월말 현재 대출잔액 816억원)를 차지하고 있다. 누적 취급고는 3789억원 규모다. 기업은행은 스마트 동산담보대출을 통해 2020년까지 1조원 규모를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담보 시장이 한계에 부딪힌 가운데 동산담보대출 시장의 활성화는 기업이든 은행이든 피할 수 없는 선택"이라며 "동산 담보가 폭넓게 인정될 경우엔 대출금리가 낮아지고, 대출한도는 높아지는 효과가 있어 자금조달이 어려운 기업들은 숨통이 트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금융위원회는 동산담보시장을 2020년 3조원, 2022년 6조원 규모로 육성하기 위해 '동산금융 활성화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부동산과 달리 기업이라면 누구나 갖고 있는 실물재산을 담보로 하므로 창업기업, 초기 중소기업에 유용한 자금조달 수단이 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또 '부동산 담보' 위주의 은행 대출 관행도 서서히 바뀔 것으로 기대했다.

다만 시중은행들의 반응은 아직까지 미적지근한 모습이다. 담보가치가 확실한 부동산과 달리 기계, 원자재, 채권등 유무형 자산들에 대한 가치평가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또 관련 자산을 처분해 자금을 회수하기가 어렵고 담보 가치의 훼손 가능성이 높다는 것도 은행들이 나서기 꺼려하는 이유다.

이에 동산담보대출은 2012년 8월 도입되었음에도 이러한 대출 취약성으로 인해 취급액이 쪼그라들었다. 출시 후 6000억원 넘게 공급됐던 대출잔액은 현재는 2000억원을 소폭 웃도는 수준이다. 이용 기업 수는 1100개 수준에 불과하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IoT기술을 접목한 동산담보대출 상품 출시를 준비하고는 있다"면서도 "대출 이후의 리스크 부담이 크고 동산대출에 대한 법·제도 개선이 미비한 상황이라 당장 적극적으로 대출을 확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채선희 한경닷컴 기자 csun0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