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고민, 일자리 양적 목표는 달성… 숙제는 노동생산성 제고
일본의 청년고용 지표가 ‘완전고용’ 수준에 이르렀지만 개선할 점도 많다는 지적이 나온다.

무엇보다 서비스업에 구직자가 몰리는 것에 대한 우려가 크다. 일본 내각부 ‘국민경제계산 연례추계’에 따르면 2012~2016년 늘어난 취업자 168만 명 중 절반 이상이 고령자 간호 등 보건·사회복지 분야에서 일하고 있다.

야마다 히사시 일본총합연구소 연구원은 “일본 기업은 해외 경쟁회사보다 서비스업이 열세인데 경쟁력이 떨어지는 서비스업에 구직자가 몰리는 건 큰 문제”라며 “구직자가 경험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직업을 제대로 못 찾는 ‘미스매치’ 문제가 적지 않다”고 지적했다.

제조분야 대기업에 취직했다가 서비스업으로 이직하는 청년도 늘고 있다. 임금이 깎이는데도 지방보다는 도시에서 근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업무가 덜 힘들다는 게 서비스업으로의 이직 사유 중 하나다.

2012년 ‘아베노믹스(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 시행 이후 숙박·음식 서비스업 고용이 12만 명 늘었고, 사무대행 등 업무지원 서비스업에서도 취업자 수가 76만 명 증가했다.

하지만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업 고용이 느는 건 사회 전체 생산성에는 마이너스다. 아베노믹스 이후 근로자 1인당 부가가치는 업무지원 서비스업에서 9.5% 하락했고, 간호 분야에서 3.8%, 숙박·음식 서비스업에서 3.1% 하락했다.

일본총합연구소에 따르면 1997년을 100으로 봤을 때 미국의 2013년 실질노동생산성은 135인 데 비해 일본은 111에 머물렀다. 실질노동생산성에서 일본은 미국에 크게 뒤지고 있다는 의미다. 미국과 유럽이 모두 2000년대 이후 부가가치 노동생산성이 40~90% 늘어난 반면 일본은 4%가량 떨어졌다.

서비스업의 임금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아 소비가 기대만큼 늘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서비스업 종사자의 소득은 제조업 근로자 대비 70% 수준에 불과하다. 2012년 이후 연간소득증가율도 제조업은 3.6%인 반면 고령자가 많은 간호업은 0.4% 증가에 그쳤다.

일손 부족을 기존 직원의 정년을 연장하는 식으로 대응하는 것도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안 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정년이 65세 이상인 기업이 작년 기준으로 17.8%나 됐다. 숙박·음식 서비스업은 이 비율이 29.8%에 달했다.

일본 주요 기업의 직원 처우는 청년층의 기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소니생명이 올 3월 시행한 조사에선 입사 1년차 직원의 40% 이상이 ‘처우 불만’과 ‘직장생활이 자기계발에 큰 도움이 안 된다’는 이유 등으로 전직을 고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쿄=김동욱 특파원 kimd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