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물산 "IoT 홈랩으로 來美安 주택사업 키운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내년 분양 9개 단지부터 적용
"주택사업 철수설 근거 없어"
"주택사업 철수설 근거 없어"
삼성물산이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접목한 주거공간을 선보이며 주택사업에 다시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서울 문정동 래미안갤러리에 ‘래미안 IoT 홈랩(HomeLab)’을 마련하고 28일 언론 설명회를 열었다. 아파트 안에서 상용화할 수 있는 19종의 IoT 기술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일반인에게는 다음달 1일부터 공개된다.
백종탁 주택사업총괄 전무는 이날 “삼성물산은 2000년 래미안 브랜드 출시 이후 미래지향적인 주거공간을 꾸준히 선보였다”며 “이번 IoT 홈랩을 계기로 한국 주거문화를 두 단계 끌어올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삼성물산은 그동안 업계에 떠돌았던 주택사업 철수설(說)에 대해서도 일축했다. 김명석 상품디자인그룹 상무는 “삼성물산이 재건축 사업에 참여 안 한다고 한 적이 없다”며 “사업성이 좋은 주택사업이라면 언제든지 참여해 고객들에게 더 많은 가치를 돌려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래미안 IoT 홈랩에서 선보인 스마트홈 기술은 내년 분양하는 9개 단지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누가 왔는지를 인식하고 맞춤형 환경을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엄마가 들락거려도 반응이 없던 아이 방에 딸이 들어오자 조명이 켜지고 딸이 평소 즐겨듣던 음악이 흘러나온다. 아빠가 안방 침대에 눕자 자동으로 소등되고 실내 온도가 맞춰진다. 스마트워치 등 개인 식별장치를 착용해야 한다.
IoT 시스템 통합이 핵심 기술로 꼽힌다. 주거시스템(조명·난방)과 가전(에어컨·청소기), 일반기업 제품(안마기·스피커·가습기)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시스템을 연동시켰다.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램(API)을 공유한 13개 기업 제품을 삼성물산의 자체 플랫폼(래미안 홈IoT시스템)에 연동시킨 덕분이다. 삼성물산은 삼성전자, 하만, 코닉, SK C&C, 신성이엔지, 바디프렌드 등 13개 업체 이외에 참여 기업을 더 늘릴 계획이다.
다만 LG전자 구글스피커 등 API를 공개하지 않은 가전은 래미안 홈IoT시스템에선 제어할 수 없다. 삼성물산은 또 네이버 카카오 등 포털과 통신사와의 협력방식 대신 자체플랫폼 개발을 선택했다. 김 상무는 “통신사와 포털은 자체 플랫폼 제품군에 한해 서비스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한다”며 “API를 공개하지 않는 한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
백종탁 주택사업총괄 전무는 이날 “삼성물산은 2000년 래미안 브랜드 출시 이후 미래지향적인 주거공간을 꾸준히 선보였다”며 “이번 IoT 홈랩을 계기로 한국 주거문화를 두 단계 끌어올리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삼성물산은 그동안 업계에 떠돌았던 주택사업 철수설(說)에 대해서도 일축했다. 김명석 상품디자인그룹 상무는 “삼성물산이 재건축 사업에 참여 안 한다고 한 적이 없다”며 “사업성이 좋은 주택사업이라면 언제든지 참여해 고객들에게 더 많은 가치를 돌려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에 래미안 IoT 홈랩에서 선보인 스마트홈 기술은 내년 분양하는 9개 단지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누가 왔는지를 인식하고 맞춤형 환경을 제공하는 게 특징이다. 엄마가 들락거려도 반응이 없던 아이 방에 딸이 들어오자 조명이 켜지고 딸이 평소 즐겨듣던 음악이 흘러나온다. 아빠가 안방 침대에 눕자 자동으로 소등되고 실내 온도가 맞춰진다. 스마트워치 등 개인 식별장치를 착용해야 한다.
IoT 시스템 통합이 핵심 기술로 꼽힌다. 주거시스템(조명·난방)과 가전(에어컨·청소기), 일반기업 제품(안마기·스피커·가습기)이 동시에 동작하도록 시스템을 연동시켰다. 소프트웨어를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 프로그램(API)을 공유한 13개 기업 제품을 삼성물산의 자체 플랫폼(래미안 홈IoT시스템)에 연동시킨 덕분이다. 삼성물산은 삼성전자, 하만, 코닉, SK C&C, 신성이엔지, 바디프렌드 등 13개 업체 이외에 참여 기업을 더 늘릴 계획이다.
다만 LG전자 구글스피커 등 API를 공개하지 않은 가전은 래미안 홈IoT시스템에선 제어할 수 없다. 삼성물산은 또 네이버 카카오 등 포털과 통신사와의 협력방식 대신 자체플랫폼 개발을 선택했다. 김 상무는 “통신사와 포털은 자체 플랫폼 제품군에 한해 서비스하기 때문에 소비자의 선택권을 제한한다”며 “API를 공개하지 않는 한 협력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허란 기자 wh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