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차례 남북한 정상회담에 이어 미·북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이 커지면서 건설, 철도 등 남북 경제협력 수혜주로 분류되는 종목의 주가가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남북경협 관련주가 일시적 테마주에 그치지 않고 국내 증시의 장기 상승 동력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하지만 남북경협주로 거론되는 종목 가운데 상당수는 기업 규모가 작고 공개된 정보가 많지 않아 ‘묻지마식’ 추종 매매를 삼가야 한다는 지적도 많다. 남북경협 수혜주 가운데 실적과 재무구조가 비교적 탄탄한 기업을 골라 미래 성장성과 투자 위험 등을 짚어본다.

남북한 경제협력주 가운데 증권가에서 장기 수혜주로 많이 거론되는 종목은 광물자원 개발 관련주다. 잠재가치가 4200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한국광물자원공사)되는 북한 자원 개발과 관련해 장기적인 성장이 기대되는 데다 지금의 사업도 비교적 탄탄한 기업이 많기 때문이다.

북한의 풍부한 자원을 활용해 내화재 등 산업재를 만드는 종목이나 채굴 시 필요한 건설기계 관련주 등이 주목받고 있다.

◆“북한 자원 잠재가치 4200조원”

1차 남북한 정상회담의 판문점 선언에서 남북이 함께 추진하기로 한 2007년 10·4 선언에는 남북 간 자원개발을 적극 추진한다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기술과 인프라가 노후된 북한과 수요 광물의 90% 물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한국이 협력하면 시너지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최근 한국광물자원공사와 한국광해관리공단을 통합키로 한 가칭 ‘한국광업공단’의 사업 목적에 북한 광물개발 조항을 포함한 점도 호재다. 북한은 석탄(277억t) 마그네사이트(76억t) 철(47억t) 등 광물종을 풍부하게 보유하고 있다. 김영환 KB증권 연구원은 “2007년에도 한국은 북한에 차관을 제공하는 대신 지하자원과 자원개발권을 받는 경제협력을 한 경험이 있다”고 말했다.

일부 산업재 종목 주가는 이미 뛰고 있다. 포스코엠텍한국내화 주가는 지난달 이후 각각 81.87%, 65.20% 상승했다. 포스코엠텍은 알루미늄 탈산제, 합금철 등 철강 부원료를 제조·공급하는 회사다. 증권업계에선 이 회사가 포스코의 마그네슘 제련공장을 수탁운영하는 데 주목하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는 “자동차 초경량 부품에 쓰이는 마그네슘의 원료인 마그네사이트는 세계에서 북한에 가장 많다”며 “북한 원료를 들여와 국내에서 가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증권사 컨센서스(전망치 평균)에 따르면 올해 영업이익(150억원)은 작년(122억원)에 비해 22.9%가량 늘 것으로 예상되는 등 기존 사업도 건실한 편이다.

한국내화는 고온·고압에 견디는 내화물을 생산한다. 내화물은 용광로 등의 산업재로 쓰인다. 남북 간 광물자원 개발 협력의 일환으로 함경남도 단천에 내화물·소재 가공 시범단지를 신설하는 방안이 정부에서 논의되면서 상승세를 탔다.

에버다임 등 채굴 기계주 주목

광물채굴 작업에 쓰이는 중장비 기계 관련주도 수혜 종목으로 거론된다. 콘크리트 펌프트럭(CPT), 록드릴, 소방차, 타워크레인 등을 생산하는 에버다임은 범현대가 기업인 점이 투자자의 관심을 끌었다. 에버다임 최대주주는 현대백화점그룹의 현대그린푸드로 지분 45.17%를 보유하고 있다. 북한과의 사업 협력이 본격화되면 암반이나 토사에 구멍을 뚫어 폭파, 파쇄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기계인 록드릴 등의 매출이 늘어날 것이란 기대가 커졌다. 혜인, 우림기계 등 건설기계 업체도 지난달 이후 각각 97.05%와 39.67% 상승했다. 혜인은 과거 개성공단에 건설기계 부품을 공급하고 발전기 임대업을 했던 업체다.

해외에서 자원개발 사업을 벌이는 종합상사도 자원개발 수혜주로 꼽힌다. 현대종합상사는 베트남과 카타르에서 가스전 개발 사업을 하고 있고, LG상사는 인도네시아에 석탄 광산을 갖고 있다.

다만 정책 리스크(위험)가 있는 것은 자원개발주 투자에서 주의할 점으로 꼽힌다. 실제 광물 채굴로 이어지기까지 상당 기간이 걸리기 때문에 정권 교체 등 국내 정치 사정에 따라 사업이 크게 흔들릴 우려가 있다. 2005~2008년 태림산업, 이천에너지 등 국내 민간업체가 북한에 석재 가공공장 등의 건립을 추진했지만 2010년 천안함 폭침에 따른 대북 제재 조치로 무산되기도 했다.

김동현 기자 3cod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