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임기자 칼럼] 격동의 한반도, 고려서 배울 것들
고려 때 균여가 쓴 《균여전》에 따르면 신라 말 해인사에는 관혜와 희랑이라는 화엄학의 두 대가가 있었다고 한다. 나중에 관혜는 후백제의 견훤을, 희랑은 고려 태조 왕건을 도왔다. 후삼국을 통일한 후 왕건은 그 공에 대한 보답으로 밭 500결(結)을 내렸고, 희랑대사는 이를 해인사 중건에 썼다. 이런 희랑대사의 모습을 목재심과 직물, 종이 등으로 만들고 옻칠한 것이 10세기 중엽 고승의 조각상 가운데 최고 걸작으로 평가받는 건칠희랑대사좌상(보물 제999호)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천년 세월을 넘어 희랑대사와 왕건의 만남을 추진 중이다. 고려 건국 1100주년을 맞아 오는 12월 개막하는 특별전 ‘대고려, 그 찬란한 도전’에 희랑대사좌상과 평양에 있는 왕건상을 모셔와 나란히 전시하겠다는 것이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이를 통해 남북관계가 더 가까워질 수 있으면 금상첨화 아니겠느냐”고 했다.

고려 관련 전시·행사 봇물

고려는 918년 음력 6월 병진일(양력 7월25일)에 건국됐다. 건국 1000년이던 1918년에는 일제강점기여서 기념행사는 꿈도 꾸지 못했다. 그래서일까. 1100주년을 기념하는 박물관, 지방자치단체 등의 전시·행사들이 풍성하다. 지난해 12월 ‘삼별초와 동아시아’ 특별전으로 고려 관련 전시의 첫 테이프를 끊은 국립제주박물관은 다음달 고려철화청자를 주제로 전시를 시작한다. 국립부여박물관은 지난 22일부터 태조 왕건의 명으로 창건한 고려 왕실사찰 개태사 특별전을 열고 있다.

전시의 대미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대고려전’이 장식할 예정이다. 청자, 불화 등 국내외의 고려 유물은 물론 2006년 서울에 왔던 평양의 왕건상을 비롯해 만월대 출토 금속활자 등 50여 점의 북한 유물 대여도 북측에 요청해 놓았다. 프랑스에 있는 세계 최고(最古) 금속활자본 《직지》도 빌려오겠다고 한다.

지자체들 움직임도 활발하다. 인천시는 다음달 28~29일 강화도에서 고려시대를 주제로 한 고려역사문화제를 열 예정이다. 남북 학술교류도 모색 중이다. 동북아역사재단, 경기문화재단, 국립해양박물관, 전라남도 등도 해양강국이자 문화강국, 외교강국이었던 고려를 재조명하는 학술행사를 잇달아 열 예정이다.

융합·포용·통합을 배우자

475년간 존속한 고려의 주변 정세는 내내 험난했다. 동북아는 송, 요(거란), 금(여진)이 각축하는 격동기였다. 송과 친선관계를 맺자 거란이 시비를 걸며 쳐들어왔다. 당시 서희 장군이 외교적 담판으로 거란 군대를 돌려보내고 강동 6주까지 되찾은 이야기는 유명하다. 대제국 몽골이 무려 27년 동안 고려를 침략하고 괴롭혔지만 버텨냈다. 강한 자가 살아남는 게 아니라 살아남는 자가 강하다고 하지 않았던가.

고려는 통일신라와 발해의 문화를 버리지 않고 계승했다. 주변국과도 활발히 교류하며 개방적이고 국제적인 문화를 꽃피웠다. 세계에 ‘코리아’라는 이름을 알린 것도, 고려자기·고려불화·고려인삼·금속활자·대장경·나전칠기 등 세계적인 명품 문화를 가장 많이 만들어 낸 것도 고려다.

그런 고려의 경쟁력은 다양한 가치의 융합과 포용, 통합에서 나왔다는 게 다수 역사학자들의 평가다. 지금 한반도 정세는 그야말로 격동기다. 북핵을 둘러싸고 주변국들과 상충하는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하는 우리 처지가 꼭 송과 거란, 여진, 왜구에 둘러싸여 머리를 싸매야 했던 고려를 떠올리게 한다. 통일신라와 조선 사이에 ‘낀 시대’쯤으로 여겨져온 문화강국, 외교강국 고려를 다시 봐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fire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