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생산지표 '급락', 식당·상가 '한산'… 군산경제 기반 붕괴 직전
"신속하고 효과적인 지원으로 회생 골든타임 기회를 살려야"


전북과 군산경제가 지난해 7월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가동 중단에 이어 31일 한국GM 공장 폐쇄라는 '강력한 연타'를 맞아 크게 휘청거리고 있다.

고용 및 생산지표가 악화하고 지역상권은 붕괴 직전이어서 시급한 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GM 군산 폐쇄] ② 조선소에 GM 공장마저 폐쇄…위기의 군산경제
30일 전북도와 군산시에 따르면 지난해 연말 기준으로 군산공장에는 2천여 명이 근무하고 부품·협력업체 135곳 근로자도 1만3천여 명에 달했다.

이는 군산지역 고용 비중의 20%가량에 해당한다.

가족과 지인을 합하면 무려 4만 명 이상이 군산공장과 연관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군산조선소 직원 5천여 명보다 2.5배가 많은 군산공장이 문을 닫으면 근로자, 가족, 지역 전체의 생계와 경제에 막대한 피해가 우려된다.

전북도는 GM공장 폐쇄로 군산지역 총생산액의 16%(2조3천억원)가 감소할 것으로 예상한다.

한국고용정보원 자료에 따르면 지역경제의 절반가량을 견인하는 군산조선소와 군산공장 가동 중단으로 많게는 제조업 종사자 47%가량이 실직위험에 처할 수 있다.

한국GM 군산공장은 1996년 첫 가동 후 20여 년간 연간 1만2천 명을 상시 고용하며 많게는 전북 수출의 30%, 군산 수출의 50%가량(2011년 기준)을 도맡은 '효자'였다.

특히 2009년 준공한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와 함께 한해 생산액 12조원, 전북 수출액의 43%까지 점유하며 지역경제 전성기를 이끌었다.

군산공장과 협력업체가 납부한 지방세도 많을 때는 한해 580억원에 달했다.

그런 군산공장은 2011년 26만 대를 정점으로 생산량이 줄더니 2013년 쉐보레의 유럽 철수로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

특히 2016년부터 공장 가동률은 20%를 밑돌고 수출 비중도 20%로 떨어졌다.

결국 지난 2월 13일 폐쇄 방침이 전격적으로 발표되면서 가동을 멈췄고, 직원 2천여 명 가운데 1천400명가량이 희망퇴직 또는 실직에 이르게 됐다.

군산공장에 의존해 온 지역 부품·협력업체도 가동률이 급락했고, 자금난으로 30%가량이 도산했다.
[한국GM 군산 폐쇄] ② 조선소에 GM 공장마저 폐쇄…위기의 군산경제
군산공장과 인접한 오식도동은 군산조선소와 군산공장이 전성기에 누린 흔적은 온데간데없이 상가, 원룸, 상업시설 곳곳에 임대와 매매 문구가 나붙었다.

원룸 510여 채 가운데 70%가량이 비었고, 3년 전 평균 35만원인 월 임대료는 20만원 후반대에서 형성된다.

식당은 손님이 줄어 20% 이상이 폐업하고 상가 빈 곳은 장기간 임대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시내 중심 상권인 영동상가도 100여 곳 가운데 40여 곳이 비었고 나머지 상가 매출은 바닥을 맴돌 정도로 심각하다.

토지 거래 건수와 아파트 매매가는 2016년 말부터 하락하고, 지난 3월 기준으로 아파트 미분양률이 17%에 달했다.

군산시는 근로자 실직과 협력업체 도산이 대량 실직, 타 산업 악영향, 내수부진, 상권추락, 인구유출 등으로 지역경제 기반 붕괴를 우려한다.

이처럼 군산경제 위기론이 높아지자, 정부는 급기야 지난 4월 군산을 '고용위기지역 및 산업위기대응 특별지역'으로 지정했다.

이에 따라 실직자 및 가정 지원, 사업주 지원, 실업급여 연장, 종합취업대책 수립, 창업 육성과 함께 영세협력업체 일감 확보, 중소기업 강소화 추진, 산업구조 고도화 및 체질개선 등을 시행하기로 했다.

전북도도 근로자·협력업체·소상공인 지원, 보완산업 육성, 기업유치, 지역경제 활성화 지원 등에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지원 효과가 미미해 체감이 안 된다는 지적이 지배적이어서 신속하고 실질적인 지원이 절실한 실정이다.

시 관계자는 "군산을 살리려면 정부가 군산공장 매각이나 재가동을 최우선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고용·산업위기 지역에 따른 효과적인 지원과 추경예산 집행을 서두르지 않으면, 최악에 이른 군산경제를 살릴 골든타임을 놓칠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한국GM 군산 폐쇄] ② 조선소에 GM 공장마저 폐쇄…위기의 군산경제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