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사민정 상생 모델 '광주형 일자리'로 투자유치 총력
광주시 '합작법인' 내세워 부담 덜어준 것도 한 몫


현대자동차가 광주시의 신규 자동차 생산공장 건설 사업 계획에 참여 의향서를 제출한 것은 광주시가 주창한 '광주형 일자리'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기존 업체의 절반 수준 연봉으로 새 일자리를 더 만들자는 '광주형 일자리' 사업은 지역 노·사·정 대타협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도 크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광주시가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참여 기업의 부담을 덜어준 것도 현대차의 투자 의향을 끌어낸 동력이 됐다는 분석도 있다.

그동안 광주시는 자동차 연간 10만대 생산규모의 공장 설립을 위한 투자유치에 온 힘을 기울여왔다.

투자 규모 1조2천억원대를 목표로 완성차 업체와 주요 부품생산 기업 등을 대상으로 한 투자유치에 사활을 걸다시피 했다.

완성차 공장 건설 유치 과정에서 광주시가 앞세운 것은 '광주형 일자리'가 핵심이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사민정 대타협을 통해 임금을 기존 업계 평균의 절반으로 줄이는 대신 일자리를 늘리자는 정책이다.

광주시는 지난 3월 광주시 노사민정 대타협 공동 결의에서 적정 임금과 협력적 노사상생 모델을 기반으로 기업 투자를 유치하기로 결의했다.

지역 노조를 설득해 새로 건립될 광주공장의 근로자 임금을 현대차의 절반 수준인 평균 4천만원 안팎으로 하자는 합의를 끌어냈다.

광주시는 기업 단독투자 대신 지자체와 여러 기업이 합작하는 형태의 새로운 안을 제시해 기업 투자의 부담도 줄였다.

투자유치 과정에서 완성차는 물론 주요 부품생산 기업까지 모두를 망라했다.
노조 합의 '반값 임금'으로 현대차 투자 의향 끌어내
자동차 제조 방식도 기업이 소재와 부품을 생산·조립해 완제품을 직접 생산하는 방식부터 기업 간 위·수탁 모델도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투자 방식은 1개의 기업이 '단독투자'하는 것과 2개 기업 이상이 출자해 법인을 설립하는 '공동투자', 지역사회가 함께 투자하는 '합작투자' 모든 가능성을 열어뒀다.

500억원 이상 대규모 투자 시 투자액 기준 최대 10% 이상의 투자유치 보조금을 지원하고 취득세·재산세도 최대 75%까지 감면할 계획도 밝혔다.

이처럼 기업 투자의 문턱을 대폭 낮춰 준 것이 현대차의 투자 의향서 제출을 이끈 계기가 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신규 공장 건설 등 단독 투자의 경우 안게 될 부담을 광주시가 덜어줬고 노사민정 대타협으로 기존 노조의 반발도 미리 막았다는 평가다.

앞으로 광주시는 신규 공장 운영을 위해 현대차를 비롯한 여러 투자사와 합작법인을 설립하고 대주주로 직접 경영에 참여할 계획이다.

이상배 광주시 전략산업본부장은 1일 "광주시가 대주주로 참여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화하지 않았지만, 지역의 기업이나 부품업체와 함께 참여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해당 공장과 신규 법인은 완성차를 위탁 생산하는 방식으로 운영할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공장의 경영 주체는 광주시가 되고, 현대차는 주문자상표 부착생산(OEM)처럼 생산을 주문하는 형태가 될 전망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