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국내 게임 산업이 전체 콘텐츠 수출의 60%를 견인하며 대표적 IT 산업으로 자리잡았지만, 업계를 보는 정치권의 시선은 여전히 차갑다. 특히 이번 6·13 지방선거에선 게임 산업에 대한 무관심이 여실히 드러났다.

4일 국내 주요 게임업체가 있는 4개 지역의 6·13 지방선거 후보자 공약을 분석한 결과, 게임산업과 관련된 공약은 한 건도 찾아볼 수 없었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판교), 서울시 금천구(가산동), 서초구, 구로구가 대표적이다.

넥슨, 엔씨소프트, 스마일게이트, NHN엔터테인먼트 등 대형 게임사들이 몰려있는 성남시 분당구 삼평동의 경우 경기도지사, 성남시장, 경기도의회의원, 성남시의회의원, 경기도교육감 후보로 21명이 등록했다.

하지만 게임 및 콘텐츠 산업을 공약에 언급한 후보는 한 명도 없었다. 경기도지사 후보들이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 '혁신역량을 집중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지만 게임산업과는 거리가 멀었다. 게임은 물론 'IT산업', '콘텐츠산업'에 대한 내용도 없었다.

서울시 금천구, 서초구, 구로구도 마찬가지다. 금천구 가산동에는 컴투스, 엠게임, 룽투코리아, 소프트닉스가 있고 서초구와 구로구에는 게임빌넷마블 등이 있다.

금천구의 경우 구청장 후보들이 'IT 관련 특정(복합) 개발진흥지구로 지정', '4차 산업혁명 관련 R&D센터 기업 유치' 등의 공약을 내걸었지만 게임산업과는 무관했다. 서초구와 구로구 역시 '4차 산업혁명'을 내세웠지만 게임 관련 내용은 없었다.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가 열리는 부산도 동일했다. 지스타는 매년 20만명이 찾는 글로벌 게임 축제로 지역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다. 하지만 후보자 누구도 지스타의 성공적인 개최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말하지 않았다. 게임사 매출의 1%를 걷는 '손인춘법'과 관련해 부산시장이 게임사 달래기에 나섰던 2014년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게임업계는 이같은 모습에 대해 "직원 대부분이 다른 지역에 거주하는 만큼 당연한 결과"라고 반응했다. 다만 게임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이라면 어떻게든 공약에 넣었을텐데 그렇지 않은 현실이 안타깝다고 말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게임업체 직원들이 실질적인 유권자가 아닌 경우가 많아서 게임이 공약에 직접 언급되지 않은 것 같다"면서도 "게임이 표심을 잡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현실이 확인된 결과다. 앞다퉈 공약에 반영하는 효자산업이 되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했다.

윤진우 한경닷컴 기자 jiinwoo@hankyung.com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