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등 일부지역 부동산 버블 위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대외경제정책硏 보고서 '경고'
런던·도쿄보다 소득대비 집값 높아
런던·도쿄보다 소득대비 집값 높아
국책연구기관이 서울 등 일부 지역 부동산 버블 위험을 경고했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5일 ‘글로벌 부동산 버블 위험 진단 및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급락한 글로벌 부동산 가격이 최근 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설 정도로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부동산 버블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결제은행(BIS)의 주택가격지수로 산출한 글로벌 부동산가격지수는 지난해 2분기 금융위기 이전 최고치를 10% 이상 웃돌았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 이어진 초저금리 기조와 주택공급 부진, 대출규제 완화,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KIEP는 분석했다.
한국은 전국 차원에서는 버블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버블이 존재하는지를 주택수익비율(PRR),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 가계신용 증가율 등의 지표와 시계열 방법론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한국은 주택가격 지수와 주택수익비율,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2000년대 이후 상당히 안정적인 데다 계량 실증분석 결과도 유사하게 나왔다. 하지만 2016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신용비율은 2015년에 비해 4.7%포인트 상승해 중국, 노르웨이와 함께 두드러졌다. 또 서울은 로스앤젤레스, 런던, 뉴욕, 도쿄, 싱가포르보다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등 일부 지역은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KIEP는 분석했다.
KIEP는 부동산 버블 위험이 높은 국가는 신흥국 중에서 중국, 콜롬비아, 헝가리, 라트비아, 터키, 슬로바키아 등이라고 지적했다. 선진국에서는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스웨덴, 이스라엘 등이 버블 위험이 높은 국가로 분류됐다.
KIEP는 우리나라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위해 통화당국은 통화정책 결정 시 자산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수요, 공급, 리스크 관리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책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5일 ‘글로벌 부동산 버블 위험 진단 및 영향 분석’ 보고서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급락한 글로벌 부동산 가격이 최근 위기 이전 수준을 넘어설 정도로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부동산 버블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결제은행(BIS)의 주택가격지수로 산출한 글로벌 부동산가격지수는 지난해 2분기 금융위기 이전 최고치를 10% 이상 웃돌았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 이어진 초저금리 기조와 주택공급 부진, 대출규제 완화, 경기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KIEP는 분석했다.
한국은 전국 차원에서는 버블 위험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부동산 버블이 존재하는지를 주택수익비율(PRR),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PIR), 가계신용 증가율 등의 지표와 시계열 방법론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다. 한국은 주택가격 지수와 주택수익비율,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2000년대 이후 상당히 안정적인 데다 계량 실증분석 결과도 유사하게 나왔다. 하지만 2016년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가계신용비율은 2015년에 비해 4.7%포인트 상승해 중국, 노르웨이와 함께 두드러졌다. 또 서울은 로스앤젤레스, 런던, 뉴욕, 도쿄, 싱가포르보다 소득 대비 주택가격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등 일부 지역은 위험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KIEP는 분석했다.
KIEP는 부동산 버블 위험이 높은 국가는 신흥국 중에서 중국, 콜롬비아, 헝가리, 라트비아, 터키, 슬로바키아 등이라고 지적했다. 선진국에서는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스웨덴, 이스라엘 등이 버블 위험이 높은 국가로 분류됐다.
KIEP는 우리나라 부동산시장 안정화를 위해 통화당국은 통화정책 결정 시 자산 가격을 중요하게 고려하고, 수요, 공급, 리스크 관리 등을 포함하는 종합적인 부동산시장 안정화 대책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형규 기자 k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