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할머니들의 뜨거운 외침 '허스토리'…비극 속 희망 꽃 피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끝날 때까지 끝난 게 아니다."
눈물 없인 볼 수 없는 위안부, 정신대 할머니들의 뜨거운 외침이다. 우리는 '허스토리'를 통해 비극 속에서 피어난 한줄기 희망을 볼 수 있게 됐다.
영화 '허스토리'(감독 민규동)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피해자들을 향한 시선이 곱지 않았던 1990년대, 수많은 시련과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힘겹게 용기 내 일본에 맞선 할머니들과 그들의 뒤를 든든하게 지키며 응원한 사람들의 뜨거운 이야기를 그렸다.
영화는 관부 재판 실화를 소재로 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재판 사상 처음으로 보상 판결을 받아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이룬 재판이지만 지금껏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채 역사 속에서 잊혀졌다. 지난 7일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에서 열린 언론시사회를 통해 '허스토리'가 베일을 벗었다. 이 자리에는 민규동 감독과 배우 김희애, 김해숙, 예수정, 문숙, 이용녀, 김준한이 참석해 작품 관련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민 감독은 "10년 전부터 위안부 할머니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려고 했는데 주위에선 '누가 보겠느냐'고 해서 좌절했다. 그런데 도저히 혼자 잘 먹고 잘 사는 게 부끄러워서 더 이상 미루고 싶지 않았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증언들을 연구하던 와중에 전혀 몰랐던 관부 재판을 알게 됐다. 이를 영화로 만드는 게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위안부 영화라 하면 보통 민족의 대표적인 희생양이나 짓밟힌 자존심 등 민족 전체의 큰 상처 하나로 언급됐는데 우리 영화는 할머니들의 아픔을 구체적으로 다뤘다"고 설명했다. 김희애는 관부 재판을 이끄는 원고단의 단장 '문정숙' 역을, 김해숙은 과거를 숨긴 채 아들과 힘들게 살아온 '위안부' 피해자 배정길 역을 맡았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에 맞서는 원고단 박순녀, 서귀순, 이옥주 역에는 예수정, 문숙, 이용녀가 합세했다.
치열했던 6년의 재판, 그 속에서 수많은 시련과 역경을 뜨겁게 마주했던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려냈다. 일본 정부에 당당히 맞서 싸운 재판 실화를 묵직한 울림으로 전하는 배우들의 빛나는 열연은 관객에 짙은 여운을 선사한다.
김해숙은 "그분들의 아픔을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겁 없이 참여했다. 그런데 작업을 하면 할수록 아픔의 깊이를 알 수 없었다. 너무 고통스럽고 힘든 작업이었다"고 털어놨다.
김희애는 "실존한 인물들의 이야기여서 더 매력적으로 느껴졌고 더 참여하고 싶었다. 시작하고 나니 그게 부담스러운 숙제였다. 최선을 다해서 진짜처럼 보여야 했다"며 "캐릭터를 위해 머리도 자르고 안경도 끼고 살도 찌웠다. 최대한 언어나 의상, 외모를 거리감 없이 비슷하게 하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허스토리'는 위안부 피해자의 이야기를 다뤘다는 점과 스토리 전개에 있어 지난해 개봉한 나문희 주연의 '아이 캔 스피크'를 떠오르게 한다. 비슷한 면도 있으나 '아이캔스피크'보다는 웃음기를 조금 덜어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극 중 일본인들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더러운 여자들'이라 표현하는가 하면 "젊었을 땐 돈이 필요해서 몸 팔아놓고 이제 와서 왜 그러느냐"고 말한다. 이 같은 대사들은 우리를 격양시키고 분노케 한다.
위안부, 정신대 할머니들은 재판에서 "17살 때 끌려가서 지옥에 살았다"며 온몸에 난 상처를 보여준다. 존재 자체가 증거인데 일본은 이를 부정한다.
할머니들의 증언 신은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고통스러운 장면이다. 김해숙, 예수정, 문숙 등의 폭발적인 연기력은 배우가 아니라 당시 할머니들 그 자체로 보이게 해 강렬한 울림을 선사한다. 재판부의 양심을 흔들고, 국가 배상을 인정한 첫 사례다. 영화는 한 해 한 해 어떤 재판들이 이뤄졌는가를 보여주는 데 집중했다. 길고 긴 재판이었으나 극 속의 1년은 금방 지나가는 것처럼 느껴져 아쉽기도 하다.
이용녀는 "위안부 문제는 뉴스, 신문에 나올 때마다 피하고 싶었다. 힘들기 때문에 더 이상 알고 싶지 않았다"면서도 "이건 내 문제고 우리나라의 문제고 우리의 숙제다. 문제만 삼지 말고 해결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참여했다"고 털어놨다.
이어 "이 작품으로 인해 사회에서 조금이나마 소용돌이가 일어나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생겼으면 좋겠다. 다음 세대에는 또다시 이런 이야기가 안 나오도록 하는 작품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허스토리'는 오는 27일 개봉한다.
한예진 한경닷컴 기자 genie@hankyung.com
눈물 없인 볼 수 없는 위안부, 정신대 할머니들의 뜨거운 외침이다. 우리는 '허스토리'를 통해 비극 속에서 피어난 한줄기 희망을 볼 수 있게 됐다.
영화 '허스토리'(감독 민규동)는 일본군 '위안부'에 대한 잘못된 인식으로 인해 피해자들을 향한 시선이 곱지 않았던 1990년대, 수많은 시련과 역경에도 굴하지 않고 힘겹게 용기 내 일본에 맞선 할머니들과 그들의 뒤를 든든하게 지키며 응원한 사람들의 뜨거운 이야기를 그렸다.
영화는 관부 재판 실화를 소재로 했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관련 재판 사상 처음으로 보상 판결을 받아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이룬 재판이지만 지금껏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채 역사 속에서 잊혀졌다. 지난 7일 서울 광진구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점에서 열린 언론시사회를 통해 '허스토리'가 베일을 벗었다. 이 자리에는 민규동 감독과 배우 김희애, 김해숙, 예수정, 문숙, 이용녀, 김준한이 참석해 작품 관련 이야기를 나눴다.
이날 민 감독은 "10년 전부터 위안부 할머니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려고 했는데 주위에선 '누가 보겠느냐'고 해서 좌절했다. 그런데 도저히 혼자 잘 먹고 잘 사는 게 부끄러워서 더 이상 미루고 싶지 않았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증언들을 연구하던 와중에 전혀 몰랐던 관부 재판을 알게 됐다. 이를 영화로 만드는 게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했다"며 "위안부 영화라 하면 보통 민족의 대표적인 희생양이나 짓밟힌 자존심 등 민족 전체의 큰 상처 하나로 언급됐는데 우리 영화는 할머니들의 아픔을 구체적으로 다뤘다"고 설명했다. 김희애는 관부 재판을 이끄는 원고단의 단장 '문정숙' 역을, 김해숙은 과거를 숨긴 채 아들과 힘들게 살아온 '위안부' 피해자 배정길 역을 맡았다.
이와 함께 일본 정부에 맞서는 원고단 박순녀, 서귀순, 이옥주 역에는 예수정, 문숙, 이용녀가 합세했다.
치열했던 6년의 재판, 그 속에서 수많은 시련과 역경을 뜨겁게 마주했던 주인공들의 이야기를 담담하게 그려냈다. 일본 정부에 당당히 맞서 싸운 재판 실화를 묵직한 울림으로 전하는 배우들의 빛나는 열연은 관객에 짙은 여운을 선사한다.
김해숙은 "그분들의 아픔을 어느 정도는 알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하고 겁 없이 참여했다. 그런데 작업을 하면 할수록 아픔의 깊이를 알 수 없었다. 너무 고통스럽고 힘든 작업이었다"고 털어놨다.
김희애는 "실존한 인물들의 이야기여서 더 매력적으로 느껴졌고 더 참여하고 싶었다. 시작하고 나니 그게 부담스러운 숙제였다. 최선을 다해서 진짜처럼 보여야 했다"며 "캐릭터를 위해 머리도 자르고 안경도 끼고 살도 찌웠다. 최대한 언어나 의상, 외모를 거리감 없이 비슷하게 하려고 노력했다"고 밝혔다. '허스토리'는 위안부 피해자의 이야기를 다뤘다는 점과 스토리 전개에 있어 지난해 개봉한 나문희 주연의 '아이 캔 스피크'를 떠오르게 한다. 비슷한 면도 있으나 '아이캔스피크'보다는 웃음기를 조금 덜어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극 중 일본인들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더러운 여자들'이라 표현하는가 하면 "젊었을 땐 돈이 필요해서 몸 팔아놓고 이제 와서 왜 그러느냐"고 말한다. 이 같은 대사들은 우리를 격양시키고 분노케 한다.
위안부, 정신대 할머니들은 재판에서 "17살 때 끌려가서 지옥에 살았다"며 온몸에 난 상처를 보여준다. 존재 자체가 증거인데 일본은 이를 부정한다.
할머니들의 증언 신은 눈물 없이 볼 수 없는 고통스러운 장면이다. 김해숙, 예수정, 문숙 등의 폭발적인 연기력은 배우가 아니라 당시 할머니들 그 자체로 보이게 해 강렬한 울림을 선사한다. 재판부의 양심을 흔들고, 국가 배상을 인정한 첫 사례다. 영화는 한 해 한 해 어떤 재판들이 이뤄졌는가를 보여주는 데 집중했다. 길고 긴 재판이었으나 극 속의 1년은 금방 지나가는 것처럼 느껴져 아쉽기도 하다.
이용녀는 "위안부 문제는 뉴스, 신문에 나올 때마다 피하고 싶었다. 힘들기 때문에 더 이상 알고 싶지 않았다"면서도 "이건 내 문제고 우리나라의 문제고 우리의 숙제다. 문제만 삼지 말고 해결되길 바라는 마음에서 참여했다"고 털어놨다.
이어 "이 작품으로 인해 사회에서 조금이나마 소용돌이가 일어나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생겼으면 좋겠다. 다음 세대에는 또다시 이런 이야기가 안 나오도록 하는 작품이 됐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덧붙였다.
'허스토리'는 오는 27일 개봉한다.
한예진 한경닷컴 기자 geni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