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러' 문 대통령, 한반도 비핵화 지지호소… 新북방정책 구체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북·미 회담 '평화 프로세스' 동력살리기…동북아 냉전 극복 강조할듯
푸틴과 한러 경제협력 논의…'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탄력받나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1일부터 2박3일간 러시아를 국빈방문한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첫 정상외교 무대인 만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및 동북아 냉전체제 극복에 대한 러시아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힘을 쏟으리라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이번 방문에서 양국의 경제협력 논의가 진전되면서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이나 '한반도 신경제지도' 등의 구상이 탄력을 받을지도 관심이다.
◇ 한반도 비핵화 지지확보…'평화 프로세스' 동력 살리기 =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8일 문 대통령의 러시아 국빈 방문 및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 계획을 발표하면서 "(양 정상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정착에 대해서도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평화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양국의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국빈방문은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불과 열흘 만에 이뤄지는 만큼, 자연스럽게 한러 정상이 만난 자리에서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러시아의 지지를 확인, 국제무대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논의의 동력을 살려 나가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북미 정상회담 이후의 비핵화 협상이나,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체결 등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숙제들을 해결하는 데 주변국 중 하나인 러시아의 지지는 큰 힘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한반도뿐 아니라 동북아에서의 해묵은 냉전구도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반도 주변의 정세가 '한미일 대 북중러'의 대결구도로 회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협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4월 29일에도 푸틴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동북아 평화를 위한 다자 안보체제 구축의 필요성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김 대변인이 당시 브리핑에서 설명했다.
이번 방문 도중 문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러시아 하원에서 연설을 하는 것 역시 동북아 냉전구도 극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될 수 있다.
◇ 신북방정책 구체화…'한반도 신경제지도' 탄력받나 =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양국의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중점적으로 논의할 전망이다.
김 대변인은 "우리 정부의 신북방정책 핵심 파트너인 러시아와의 실질적인 협력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에도 블라디보스토크를 찾아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면서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신북방정책을 강조한 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9개의 다리'(9-Bridges 전략)를 놓아 동시다발적 협력을 이루어나갈 것을 제안했다.
'9개의 다리'는 가스와 철도, 항만, 전력, 북극항로, 조선, 일자리, 농업, 수산분야를 뜻한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신북방정책에 기반을 둔 양국 경제협력이 한층 구체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9월 신북방정책을 내놓을 때만 하더라도 남북관계 경색으로 동북아 안보 정세 역시 위태로운 형국이 계속됐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 문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통화에서도 남·북·러 3각 협력사업이 필요하다는 데 양국 정상이 공감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철도·가스·전력 등 연결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최근 남북관계 훈풍과 한러간 경제협력 강화가 맞물리며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도 탄력이 붙으리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는 금강산이나 원선·단천, 청진·나선을 남북이 공동 개발하고서 동해안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경제권 벨트를 구축하는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연합뉴스
푸틴과 한러 경제협력 논의…'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 탄력받나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21일부터 2박3일간 러시아를 국빈방문한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6·12 북미정상회담 이후 첫 정상외교 무대인 만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및 동북아 냉전체제 극복에 대한 러시아의 지지를 확보하는 데 힘을 쏟으리라는 관측이 나온다.
아울러 이번 방문에서 양국의 경제협력 논의가 진전되면서 문재인 정부의 '신북방정책'이나 '한반도 신경제지도' 등의 구상이 탄력을 받을지도 관심이다.
◇ 한반도 비핵화 지지확보…'평화 프로세스' 동력 살리기 =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8일 문 대통령의 러시아 국빈 방문 및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 계획을 발표하면서 "(양 정상은)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정착에 대해서도 협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한반도의 평화를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 양국의 전략적 소통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가 되리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이번 국빈방문은 6·12 싱가포르 북미정상회담 이후 불과 열흘 만에 이뤄지는 만큼, 자연스럽게 한러 정상이 만난 자리에서도 북미 간 비핵화 협상이 주요 화두가 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으로서는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러시아의 지지를 확인, 국제무대에서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논의의 동력을 살려 나가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북미 정상회담 이후의 비핵화 협상이나, 종전선언 및 평화협정 체결 등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숙제들을 해결하는 데 주변국 중 하나인 러시아의 지지는 큰 힘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한반도뿐 아니라 동북아에서의 해묵은 냉전구도를 극복해야 한다고 강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반도 주변의 정세가 '한미일 대 북중러'의 대결구도로 회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러시아와의 협력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문 대통령은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인 4월 29일에도 푸틴 대통령과 통화하면서 동북아 평화를 위한 다자 안보체제 구축의 필요성 대해서도 논의했다고 김 대변인이 당시 브리핑에서 설명했다.
이번 방문 도중 문 대통령이 한국 대통령으로서는 처음으로 러시아 하원에서 연설을 하는 것 역시 동북아 냉전구도 극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장면이 될 수 있다.
◇ 신북방정책 구체화…'한반도 신경제지도' 탄력받나 = 문 대통령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양국의 경제협력 방안에 대해서도 중점적으로 논의할 전망이다.
김 대변인은 "우리 정부의 신북방정책 핵심 파트너인 러시아와의 실질적인 협력 확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에도 블라디보스토크를 찾아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하면서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교류협력을 강화하는 신북방정책을 강조한 바 있다.
당시 문 대통령은 한국과 러시아 사이에 '9개의 다리'(9-Bridges 전략)를 놓아 동시다발적 협력을 이루어나갈 것을 제안했다.
'9개의 다리'는 가스와 철도, 항만, 전력, 북극항로, 조선, 일자리, 농업, 수산분야를 뜻한다.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신북방정책에 기반을 둔 양국 경제협력이 한층 구체화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지난해 9월 신북방정책을 내놓을 때만 하더라도 남북관계 경색으로 동북아 안보 정세 역시 위태로운 형국이 계속됐지만 이제는 상황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4·27 남북정상회담 직후 문 대통령과 푸틴 대통령의 통화에서도 남·북·러 3각 협력사업이 필요하다는 데 양국 정상이 공감한 바 있다.
대표적으로 철도·가스·전력 등 연결사업이 속도를 낼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일각에서는 최근 남북관계 훈풍과 한러간 경제협력 강화가 맞물리며 문재인 정부가 추진하는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도 탄력이 붙으리라는 전망도 나온다.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는 금강산이나 원선·단천, 청진·나선을 남북이 공동 개발하고서 동해안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경제권 벨트를 구축하는 방안 등이 포함돼 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