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중대로 나뉜 육사 1~4학년 생도들과 육사 군악대는 약 15분간 절도 있는 동작으로 연병장을 돌며 연단 앞에 선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및 육사 관계자들을 항해 큰 소리로 '충성' 경례를 했다.
일제강점기 독립군을 양성하던 신흥무관학교와 호국간성의 대한민국 정예장교를 양성하는 육사의 역사적 만남이었다.
이날 신흥무관학교 설립 기념식이 처음으로 육군사관학교에서 열린 것은 육사가 신흥무관학교의 독립 정신을 계승하는 학교라는 선언의 의미가 있다.
나아가 신흥무관학교와 광복군 등 독립군의 전통이 국군으로 계승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이기도 하다.
신흥무관학교는 1910년 3월 신민회의 국외독립기지 건설과 무관학교 설립 결의를 계기로 이듬해 6월 10일 '신흥강습소'라는 이름으로 출발했다.
신흥강습소는 1912년 통화현으로 이전한 뒤 이듬해 건물을 신축해 신흥중학교로 개칭했다가 각지에서 지원자가 몰려오자 신흥무관학교로 이름을 바꿨다.
신흥무관학교 졸업생들은 1920년 6월 봉오동전투, 같은 해 10월 청산리전투에서 혁혁한 공을 세웠다.
국권을 되찾기 위한 군 조직이라는 점에서 국군의 효시라는 주장도 있었지만, 그동안 국군의 역사에 공식적으로 편입되지는 못했다.
과거 군 당국이 독립군의 전통을 국군의 역사에 편입시키는데 소극적이었기 때문이다.
실제 2011년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가 신흥무관학교 설립 100주년 행사를 육사에서 개최하자고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
육사에는 독립군의 역사를 가르치는 제대로 된 교육과정도 없는 실정이었다.
그러나 작년 8월 문재인 대통령이 국방부 업무보고 자리에서 "광복군과 신흥무관학교 등 독립군의 전통도 우리 육군사관학교 교과과정에 포함하고 광복군을 우리 군의 역사에 편입시키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밝히면서 군 당국의 태도가 바뀌기 시작했다.
작년 9월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는 독립군과 광복군과 관련한 역사를 국군의 역사에 편입시키기 위한 연구에 착수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육사에서 '독립군·광복군의 독립전쟁과 육군의 역사'라는 주제로 학술대회가 열렸다.
당시 박일송 육사 교수는 '대한민국 육군사관학교의 효시에 대한 연구'라는 주제 발표문을 통해 "1911년 설립된 신흥무관학교 등의 군사교육기관은 독립전쟁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육사의 정신적 정통성의 연원으로 보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올해 3월 독립전쟁에 나섰던 홍범도·김좌진·지청천·이범석 장군과 신흥무관학교를 세운 이회영 선생의 흉상이 육사 교내 충무관에 설치됐다. 이날 신흥무관학교 기념식이 육사에서 열린 것도 군 당국의 이러한 태도 변화로 가능했다.
기념식에는 윤경로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상임대표와 육사 생도대장인 김태진 준장을 비롯해 기념사업회 및 육사 관계자 1천200여명이 참가했다.
기념식은 신흥무관학교 경과보고를 시작으로 육사 생도들의 분열의식, 독립전쟁 영웅 5인 흉상 및 특별전시회 관람, 항일음악회 순으로 진행됐다.
항일음악회에선 '안중근 옥중가', '기쁨의 아리랑', '광복군 아리랑', '압록강 행진곡' 등 독립군이 부르던 노래들이 연주됐다.
육사 관계자는 "육군사관학교는 신흥무관학교의 독립 정신을 계승한 학교"라고 "전쟁사 과목 중 포함됐던 독립전쟁 역사교육의 시간을 크게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신흥무관학교기념사업회 사무국장을 겸하는 민족문제연구소 방학진 기획실장은 "오늘 기념식은 신흥무관학교와 광복군으로 이어지는 국군의 뿌리는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며 "국군 장병들이 앞으로 독립군이 불렀던 노래도 군가로 불렀으면 좋겠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