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한열 열사 31주기… 추모제 처음으로 연세대 주관으로 열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어머니 배은심 여사 "많은 죽음이 헛되지 않게 역사에 남을 것"
1987년 6월 9일 반정부 시위 도중 최루탄에 맞아 쓰러지며 6월 민주항쟁의 기폭제가 된 이한열 열사의 추모제가 처음으로 이 열사의 모교인 연세대 주관으로 열렸다.
연세대 이한열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회장 김용학 연세대 총장)는 8일 오후 이한열기념사업회(김학민 이사장)와 공동 주관으로 서울 신촌캠퍼스 '한열동산'에서 '제31주기 이한열 추모제'를 열었다.
추모제는 묵념에 이어 기념사, 추모사, 추모 공연, 헌화 등으로 진행됐다.
반정부 시위 당시 연세대 총학생회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은 이날 추모제에 참석해 "그간 이한열기념사업회와 총학생회가 주관해왔던 기념사업을 연세대가 공식 기구를 만들어 기념해줘 학교 관계자들에게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우 의원은 또 "학교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이 열사를 기릴 수 있는 데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역대 추모제는 항상 비감한 기분이었는데, 오늘은 계속 싱글벙글 웃게 된다"고 말했다.
유족을 대표해 추모제에 참석한 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는 "한때 학교도 동문도 (이 열사의) 이름도 불러주지 않던 때도 있었고, 그런 때는 마음속으로 (아들에게) 죄송하고 아팠다"며 "우 의원이 기쁘다고 했는데, 나도 믿음직하다"고 소회를 밝혔다.
배 여사는 이어 "내가 바라본 민주주의는 그냥 오는 것이 아니었다.
사람들의 피와 눈물과 땀이 범벅돼서 민주주의가 한 발짝씩 오는 것을 경험했다"며 "많은 죽음이 헛되지 않게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이번 추모제는 연세대의 공식 기구(이한열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출범한 이후 갖는 첫 추모제이자 지난해 '1987'이라는 영화를 통해 온 국민의 관심을 받은 후 첫 추모제"라며 "이제는 (이 열사가) 잊힐 위험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 열사는 1987년 6월 10일 전국 22개 도시에서 벌어진 대규모 반정부 집회를 하루 앞두고 연세대 앞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맞고 쓰러졌다.
이를 지켜본 시민이 분노하면서 민주항쟁이 전국민적 민주화운동으로 번지는 계기가 됐다.
이 열사는 쓰러진 직후 중환자실로 옮겨졌으나 같은 해 7월 5일 숨졌다.
/연합뉴스
연세대 이한열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회장 김용학 연세대 총장)는 8일 오후 이한열기념사업회(김학민 이사장)와 공동 주관으로 서울 신촌캠퍼스 '한열동산'에서 '제31주기 이한열 추모제'를 열었다.
추모제는 묵념에 이어 기념사, 추모사, 추모 공연, 헌화 등으로 진행됐다.
반정부 시위 당시 연세대 총학생회장이었던 더불어민주당 우상호 의원은 이날 추모제에 참석해 "그간 이한열기념사업회와 총학생회가 주관해왔던 기념사업을 연세대가 공식 기구를 만들어 기념해줘 학교 관계자들에게 감사하다"고 소감을 밝혔다.
우 의원은 또 "학교가 공식적으로 인정한 이 열사를 기릴 수 있는 데서 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역대 추모제는 항상 비감한 기분이었는데, 오늘은 계속 싱글벙글 웃게 된다"고 말했다.
유족을 대표해 추모제에 참석한 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 여사는 "한때 학교도 동문도 (이 열사의) 이름도 불러주지 않던 때도 있었고, 그런 때는 마음속으로 (아들에게) 죄송하고 아팠다"며 "우 의원이 기쁘다고 했는데, 나도 믿음직하다"고 소회를 밝혔다.
배 여사는 이어 "내가 바라본 민주주의는 그냥 오는 것이 아니었다.
사람들의 피와 눈물과 땀이 범벅돼서 민주주의가 한 발짝씩 오는 것을 경험했다"며 "많은 죽음이 헛되지 않게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라고 믿는다"고 강조했다.
김 총장은 "이번 추모제는 연세대의 공식 기구(이한열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가 출범한 이후 갖는 첫 추모제이자 지난해 '1987'이라는 영화를 통해 온 국민의 관심을 받은 후 첫 추모제"라며 "이제는 (이 열사가) 잊힐 위험이 전혀 없다"고 말했다.
이 열사는 1987년 6월 10일 전국 22개 도시에서 벌어진 대규모 반정부 집회를 하루 앞두고 연세대 앞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에 머리를 맞고 쓰러졌다.
이를 지켜본 시민이 분노하면서 민주항쟁이 전국민적 민주화운동으로 번지는 계기가 됐다.
이 열사는 쓰러진 직후 중환자실로 옮겨졌으나 같은 해 7월 5일 숨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