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사진=연합뉴스
미국 뉴욕 증시가 주요 7개국 정상회담(G7)에서 무역 갈등이 고조되더라도 전면적인 무역전쟁으로 이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으로 8일(현지시간) 소폭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75.12포인트(0.30%) 오른 25,316.53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8.66포인트(0.31%) 상승한 2779.0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0.44포인트(0.14%) 오른 7645.51에 각각 장을 마쳤다.

이로써 다우지수는 이번 주에 2.77% 오름세를 탔다. 지난 3월 이후 가장 큰 주간 상승폭을 기록했다. S&P 500은 1.62%, 나스닥은 1.21% 상승해 3주 연속 상승행진을 보이게 됐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캐나다로 출발하기에 앞서 트위터를 통해 "대부분 미국에 대한 오랜 불공정무역에 집중할 것"이고 밝혔다. 이에 무역갈등에 대한 우려가 고조되면서 증시는 장초반 하락세를 보였다.

함께 다음주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주요국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회의가 연이어 예정된 점도 증시를 주춤하게 만들었다. 북미정상회담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등의 현안과 브라질 불안도 시장의 불안요소로 떠올랐다.

하지만 주가는 오후들어 반등하기 시작했다. G7 정상들이 실제 전면적인 무역충돌로 발전하지는 않을 것이란 인식이 확산되면서다. 개별기업들의 호재가 더해지면서 주가는 강보합세로 돌아섰다.

종목별로는 생활용품업체 프록터앤드갬블(P&G)이 1.87% 상승했고, 에너지드링크 제조업체 몬스터베버리지는 가격 인상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5.02% 올랐다. 필립모리스는 배당금 인상소식에 2.62% 올랐고, 코카콜라도 1%대의 상승흐름을 기록했다.

기술주들은 대부분 상승흐름을 보였지만, 애플만은 예외였다. 애플은 아이폰 수요에 대한 부정적인 전망이 나오면서 0.91% 하락했다. 이에 따라 반도체주들도 잇단 내림세를 나타냈다. 퀄컴(-0.63%), 인텔(-1.49%), 브로드컴(-2.54%) 등 주요 반도체주들이 하락했다.

한경닷컴 뉴스룸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