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기자 칼럼] 박쥐로봇 vs 플라잉카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낙훈 중소기업전문기자
하늘엔 박쥐로봇이 날아다니고 바닥에선 거미로봇이 기어 다닌다. 지난 4월 말 하노버산업박람회 풍경이다. 5000여 개 기업이 출품한 이 전시회에서 관람객의 관심을 가장 많이 끈 것은 바로 ‘괴상한 로봇’들이었다. 매시간 정각에 시연되는 이들의 작동 모습을 보기 위해 관람객이 구름같이 몰렸다. 이들을 제작한 독일 페스토의 한 관계자는 “동물 특성을 모방한 바이오닉로봇은 응용할 분야가 많다”고 말했다.
이 회사는 동물에서 영감을 얻어 코끼리코로봇, 개미로봇, 캥거루로봇도 개발했거나 연구 중이다. 코끼리코로봇은 기존 로봇들이 가진 축(관절)의 한계에서 벗어나 ‘자유자재로 물건을 집어서 옮기는 공정’에 적용하고 있다. 개미로봇을 스마트공장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도 연구하고 있다. 여러 마리의 개미들이 상호 연락을 통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원리를 바탕으로 삼고 있다. 페스토는 공장자동화업체로, 독일 정부가 추진하는 ‘인더스트리 4.0(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 기업이다.
공상과학영화가 현실로
공상과학영화 같은 장면들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지난 3월 열린 ‘파리국제복합소재전시회’에서도 재미있는 제품들이 쏟아졌다. ‘하늘을 나는 차(플라잉카)’와 가오리 모양의 ‘태양전지자동차’ 등이 그 예다. 슬로바키아의 에어로모빌이 출시한 플라잉카는 도로를 질주하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다. 이륙에 필요한 거리가 595m에 불과하며 시속 259㎞로 날 수 있다.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
가오리 모양의 태양전지자동차는 네덜란드 에인트호번공대 학생들이 제작한 것이다. 무게가 380㎏으로, 쏘나타자동차의 약 4분의 1 수준이다. 태양전지와 가벼운 보조배터리를 달고 시속 130㎞로 달릴 수 있다. 프랑스 엘릭시르항공의 초경량 비행기는 무게가 265㎏인데도 두 명을 태우고 거뜬히 날 수 있다. 창업한 지 3년밖에 안 됐고 직원도 6명에 불과하지만 벌써 23대나 팔았다.
바이오닉로봇이나 플라잉카는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기술 개발 전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보여주는 사례다.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도 일부 오피니언리더들 사이에선 ‘4차 산업혁명은 사기’라든지 ‘마케팅 수단에 불과한 허구’라는 얘기가 여전히 나온다. 한마디로 ‘실체가 없다’는 게 이들 주장이다. 이들 중엔 대학교수, 전직 고위관료 등 여론을 이끄는 사람도 다수 포진해 있다.
'4차 산업혁명 허구론' 경계해야
이런 허구론은 자칫 산업계의 큰 흐름을 오도할 수 있다. 세계 각지에선 하루가 멀다 하고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스마트시티, 사람과 공동 작업하는 첨단로봇,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과 관련된 갖가지 기술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세계적인 전시회에 가보면 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우리는 1·2차 산업혁명에 뒤져 강대국으로의 도약은커녕 국권 피탈의 뼈아픈 길을 걸었다. 선진국에서 공장자동화와 로봇 관련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던 1960년대 말(3차 산업혁명) 구로공단에선 고작 가발과 봉제의류를 생산해 수출했다.
이런 눈물겨운 역사를 생각한다면 4차 산업혁명 실체 논쟁을 벌일 시간에 오히려 우리가 이를 주도하겠다고 마음먹는 게 필요하다. 정부는 좀 더 정교한 정책 로드맵을 만들고 각종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야 한다. 기업은 여기서 미래 먹거리를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우리가 허구라고 부른다고 피해 갈 수 있는 물줄기가 아니다. 증기기관 자동차 우주선 컴퓨터 인터넷 등 수많은 혁신의 역사가 이를 증명하고 있지 않은가.
nhk@hankyung.com
이 회사는 동물에서 영감을 얻어 코끼리코로봇, 개미로봇, 캥거루로봇도 개발했거나 연구 중이다. 코끼리코로봇은 기존 로봇들이 가진 축(관절)의 한계에서 벗어나 ‘자유자재로 물건을 집어서 옮기는 공정’에 적용하고 있다. 개미로봇을 스마트공장에 접목할 수 있는 방안도 연구하고 있다. 여러 마리의 개미들이 상호 연락을 통해 일사불란하게 움직이는 원리를 바탕으로 삼고 있다. 페스토는 공장자동화업체로, 독일 정부가 추진하는 ‘인더스트리 4.0(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핵심 기업이다.
공상과학영화가 현실로
공상과학영화 같은 장면들이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고 있다. 지난 3월 열린 ‘파리국제복합소재전시회’에서도 재미있는 제품들이 쏟아졌다. ‘하늘을 나는 차(플라잉카)’와 가오리 모양의 ‘태양전지자동차’ 등이 그 예다. 슬로바키아의 에어로모빌이 출시한 플라잉카는 도로를 질주하다 하늘을 나는 자동차다. 이륙에 필요한 거리가 595m에 불과하며 시속 259㎞로 날 수 있다. 2020년 상용화를 목표로 삼고 있다.
가오리 모양의 태양전지자동차는 네덜란드 에인트호번공대 학생들이 제작한 것이다. 무게가 380㎏으로, 쏘나타자동차의 약 4분의 1 수준이다. 태양전지와 가벼운 보조배터리를 달고 시속 130㎞로 달릴 수 있다. 프랑스 엘릭시르항공의 초경량 비행기는 무게가 265㎏인데도 두 명을 태우고 거뜬히 날 수 있다. 창업한 지 3년밖에 안 됐고 직원도 6명에 불과하지만 벌써 23대나 팔았다.
바이오닉로봇이나 플라잉카는 ‘4차 산업혁명’을 둘러싼 기술 개발 전쟁이 얼마나 치열한지 보여주는 사례다. 우리가 생각하지 못한 기술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런데도 일부 오피니언리더들 사이에선 ‘4차 산업혁명은 사기’라든지 ‘마케팅 수단에 불과한 허구’라는 얘기가 여전히 나온다. 한마디로 ‘실체가 없다’는 게 이들 주장이다. 이들 중엔 대학교수, 전직 고위관료 등 여론을 이끄는 사람도 다수 포진해 있다.
'4차 산업혁명 허구론' 경계해야
이런 허구론은 자칫 산업계의 큰 흐름을 오도할 수 있다. 세계 각지에선 하루가 멀다 하고 자율주행차, 인공지능, 스마트시티, 사람과 공동 작업하는 첨단로봇, 가상현실, 증강현실 등과 관련된 갖가지 기술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세계적인 전시회에 가보면 이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우리는 1·2차 산업혁명에 뒤져 강대국으로의 도약은커녕 국권 피탈의 뼈아픈 길을 걸었다. 선진국에서 공장자동화와 로봇 관련 기술 개발이 본격화되던 1960년대 말(3차 산업혁명) 구로공단에선 고작 가발과 봉제의류를 생산해 수출했다.
이런 눈물겨운 역사를 생각한다면 4차 산업혁명 실체 논쟁을 벌일 시간에 오히려 우리가 이를 주도하겠다고 마음먹는 게 필요하다. 정부는 좀 더 정교한 정책 로드맵을 만들고 각종 규제를 과감하게 풀어야 한다. 기업은 여기서 미래 먹거리를 적극적으로 찾아야 한다. 4차 산업혁명은 우리가 허구라고 부른다고 피해 갈 수 있는 물줄기가 아니다. 증기기관 자동차 우주선 컴퓨터 인터넷 등 수많은 혁신의 역사가 이를 증명하고 있지 않은가.
nh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