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청년실업률 하향곡선 그리는데 한국은 10% 고착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최근 1년간 청년실업률 악화한 OECD 국가는 36개국중 3개뿐
한국 청년층 실업률, 전체 실업률보다 3배 높은 수준 유지
정책팀 = 세계 주요 선진국은 경기 훈풍에 따라 청년실업률이 회복되고 있지만, 한국은 유독 이 흐름을 타지 못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월평균 취업자 증가 폭이 9년 만에 최소 수준으로 전락하면서 청년 고용 지표도 이른 시일 안에 개선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1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OECD 기준 청년층(15∼24세) 실업률은 올해 1분기 10.2%를 기록했다.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10%대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고착화하고 있다.
분기별 실업률은 2014년 1분기 10.1%로 9%대에서 10%대에 진입하고서 꾸준히 10%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2014년 3분기(9.8%), 2016년 4분기(9.8%)를 제외하고는 모든 분기에서 10%를 넘어섰다.
오히려 2016년 1분기(11.0%)·3분기(11.2%)는 11%를 넘어서기도 했다.
문제는 청년층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보다 꾸준히 3배 가까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1분기 전체 실업률은 3.7%로 청년층 실업률이 2.75배 높았다.
다른 분기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청년층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을 이끄는 형국으로, 고용 시장에 처음 진입하는 연령대인 청년층의 열악한 구직 환경을 보여주는 수치다.
이렇게 비관적 상황이 고착화하고 있는 한국의 청년실업률을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면 더욱 도드라진다.
OECD 평균 청년실업률은 작년 1분기 12.3%에서 2분기 12.1%, 3분기 11.8%, 4분기 11.5%에 이어 올해 1분기 11.1%까지 꾸준히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한국은 10.0%→10.8%→10.1%→10.4%→10.2%로 10%대에서 오락가락하고 있다.
미국은 작년 1분기 9.7%에서 올해 1분기 8.9%로 꾸준히 하락했으며, 영국도 같은 기간 12.2%에서 11.8%로 감소했다.
일본도 4.4%에서 3.8%로 줄었고 프랑스는 22.4%에서 21.4%로 낮췄다.
작년 1분기와 올해 1분기를 비교했을 때, 청년층 실업률이 줄어들지 않은 국가는 한국과 함께 칠레(16.2%→17.1%), 스위스(8.1%→8.3%) 등 세 나라뿐이었다.
터키는 아직 수치가 발표되지 않았다.
[표] OECD 회원국 청년층(15∼24세) 실업률 변화
(단위 : %, %포인트)
┌─────────┬─────────┬────────┬────────┐
│국가 │2017년 1분기 │2018년 1분기 │차이 │
├─────────┼─────────┼────────┼────────┤
│호주 │12.8 │12.6 │-0.2 │
├─────────┼─────────┼────────┼────────┤
│오스트리아 │10.5 │9.8 │-0.7 │
├─────────┼─────────┼────────┼────────┤
│벨기에 │21.3 │17.7 │-3.6 │
├─────────┼─────────┼────────┼────────┤
│캐나다 │12.7 │11.0 │-1.7 │
├─────────┼─────────┼────────┼────────┤
│칠레 │16.2 │17.1 │+0.9 │
├─────────┼─────────┼────────┼────────┤
│체코 │9.2 │6.9 │-2.3 │
├─────────┼─────────┼────────┼────────┤
│덴마크 │11.9 │9.7 │-2.2 │
├─────────┼─────────┼────────┼────────┤
│에스토니아 │14.8 │8.9 │-5.9 │
├─────────┼─────────┼────────┼────────┤
│핀란드 │20.7 │18.7 │-2.0 │
├─────────┼─────────┼────────┼────────┤
│프랑스 │22.4 │21.4 │-1.0 │
├─────────┼─────────┼────────┼────────┤
│독일 │6.9 │6.1 │-0.8 │
├─────────┼─────────┼────────┼────────┤
│그리스 │45.5 │43.8 │-1.7 │
├─────────┼─────────┼────────┼────────┤
│헝가리 │10.7 │10.4 │-0.3 │
├─────────┼─────────┼────────┼────────┤
│아이슬란드 │7.5 │6.2 │-1.3 │
├─────────┼─────────┼────────┼────────┤
│아일랜드 │14.5 │12.7 │-1.8 │
├─────────┼─────────┼────────┼────────┤
│이스라엘 │7.6 │5.7 │-1.9 │
├─────────┼─────────┼────────┼────────┤
│이탈리아 │35.1 │32.9 │-2.2 │
├─────────┼─────────┼────────┼────────┤
│일본 │4.4 │3.8 │-0.6 │
├─────────┼─────────┼────────┼────────┤
│한국 │10.0 │10.2 │+0.2 │
├─────────┼─────────┼────────┼────────┤
│라트비아 │18.2 │15.0 │-3.2 │
├─────────┼─────────┼────────┼────────┤
│룩셈부르크 │15.1 │13.9 │-1.2 │
├─────────┼─────────┼────────┼────────┤
│멕시코 │6.9 │6.9 │-0.0 │
├─────────┼─────────┼────────┼────────┤
│네덜란드 │9.6 │7.2 │-2.4 │
├─────────┼─────────┼────────┼────────┤
│뉴질랜드 │12.5 │11.6 │-0.9 │
├─────────┼─────────┼────────┼────────┤
│노르웨이 │10.6 │8.9 │-1.7 │
├─────────┼─────────┼────────┼────────┤
│폴란드 │14.6 │11.5 │-3.1 │
├─────────┼─────────┼────────┼────────┤
│포르투갈 │24.1 │21.5 │-2.6 │
├─────────┼─────────┼────────┼────────┤
│슬로바키아 │19.2 │18.6 │-0.6 │
├─────────┼─────────┼────────┼────────┤
│슬로베니아 │11.0 │9.6 │-1.4 │
├─────────┼─────────┼────────┼────────┤
│스페인 │40.8 │35.6 │-5.2 │
├─────────┼─────────┼────────┼────────┤
│스웨덴 │18.3 │15.9 │-2.4 │
├─────────┼─────────┼────────┼────────┤
│스위스 │8.1 │8.3 │+0.2 │
├─────────┼─────────┼────────┼────────┤
│터키 │21.7 │ │ │
├─────────┼─────────┼────────┼────────┤
│영국 │12.2 │11.8 │-0.5 │
├─────────┼─────────┼────────┼────────┤
│미국 │9.7 │8.9 │-0.8 │
├─────────┼─────────┼────────┼────────┤
│OECD 전체 │12.3 │11.1 │-1.2 │
└─────────┴─────────┴────────┴────────┘
※ 자료 : OECD
/연합뉴스
한국 청년층 실업률, 전체 실업률보다 3배 높은 수준 유지
정책팀 = 세계 주요 선진국은 경기 훈풍에 따라 청년실업률이 회복되고 있지만, 한국은 유독 이 흐름을 타지 못하고 있다. 올해 들어서도 월평균 취업자 증가 폭이 9년 만에 최소 수준으로 전락하면서 청년 고용 지표도 이른 시일 안에 개선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17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한국의 OECD 기준 청년층(15∼24세) 실업률은 올해 1분기 10.2%를 기록했다.
한국의 청년실업률은 10%대를 좀처럼 벗어나지 못하고 고착화하고 있다.
분기별 실업률은 2014년 1분기 10.1%로 9%대에서 10%대에 진입하고서 꾸준히 10% 내외를 유지하고 있다.
2014년 3분기(9.8%), 2016년 4분기(9.8%)를 제외하고는 모든 분기에서 10%를 넘어섰다.
오히려 2016년 1분기(11.0%)·3분기(11.2%)는 11%를 넘어서기도 했다.
문제는 청년층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보다 꾸준히 3배 가까이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올해 1분기 전체 실업률은 3.7%로 청년층 실업률이 2.75배 높았다.
다른 분기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청년층 실업률이 전체 실업률을 이끄는 형국으로, 고용 시장에 처음 진입하는 연령대인 청년층의 열악한 구직 환경을 보여주는 수치다.
이렇게 비관적 상황이 고착화하고 있는 한국의 청년실업률을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면 더욱 도드라진다.
OECD 평균 청년실업률은 작년 1분기 12.3%에서 2분기 12.1%, 3분기 11.8%, 4분기 11.5%에 이어 올해 1분기 11.1%까지 꾸준히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한국은 10.0%→10.8%→10.1%→10.4%→10.2%로 10%대에서 오락가락하고 있다.
미국은 작년 1분기 9.7%에서 올해 1분기 8.9%로 꾸준히 하락했으며, 영국도 같은 기간 12.2%에서 11.8%로 감소했다.
일본도 4.4%에서 3.8%로 줄었고 프랑스는 22.4%에서 21.4%로 낮췄다.
작년 1분기와 올해 1분기를 비교했을 때, 청년층 실업률이 줄어들지 않은 국가는 한국과 함께 칠레(16.2%→17.1%), 스위스(8.1%→8.3%) 등 세 나라뿐이었다.
터키는 아직 수치가 발표되지 않았다.
[표] OECD 회원국 청년층(15∼24세) 실업률 변화
(단위 : %, %포인트)
┌─────────┬─────────┬────────┬────────┐
│국가 │2017년 1분기 │2018년 1분기 │차이 │
├─────────┼─────────┼────────┼────────┤
│호주 │12.8 │12.6 │-0.2 │
├─────────┼─────────┼────────┼────────┤
│오스트리아 │10.5 │9.8 │-0.7 │
├─────────┼─────────┼────────┼────────┤
│벨기에 │21.3 │17.7 │-3.6 │
├─────────┼─────────┼────────┼────────┤
│캐나다 │12.7 │11.0 │-1.7 │
├─────────┼─────────┼────────┼────────┤
│칠레 │16.2 │17.1 │+0.9 │
├─────────┼─────────┼────────┼────────┤
│체코 │9.2 │6.9 │-2.3 │
├─────────┼─────────┼────────┼────────┤
│덴마크 │11.9 │9.7 │-2.2 │
├─────────┼─────────┼────────┼────────┤
│에스토니아 │14.8 │8.9 │-5.9 │
├─────────┼─────────┼────────┼────────┤
│핀란드 │20.7 │18.7 │-2.0 │
├─────────┼─────────┼────────┼────────┤
│프랑스 │22.4 │21.4 │-1.0 │
├─────────┼─────────┼────────┼────────┤
│독일 │6.9 │6.1 │-0.8 │
├─────────┼─────────┼────────┼────────┤
│그리스 │45.5 │43.8 │-1.7 │
├─────────┼─────────┼────────┼────────┤
│헝가리 │10.7 │10.4 │-0.3 │
├─────────┼─────────┼────────┼────────┤
│아이슬란드 │7.5 │6.2 │-1.3 │
├─────────┼─────────┼────────┼────────┤
│아일랜드 │14.5 │12.7 │-1.8 │
├─────────┼─────────┼────────┼────────┤
│이스라엘 │7.6 │5.7 │-1.9 │
├─────────┼─────────┼────────┼────────┤
│이탈리아 │35.1 │32.9 │-2.2 │
├─────────┼─────────┼────────┼────────┤
│일본 │4.4 │3.8 │-0.6 │
├─────────┼─────────┼────────┼────────┤
│한국 │10.0 │10.2 │+0.2 │
├─────────┼─────────┼────────┼────────┤
│라트비아 │18.2 │15.0 │-3.2 │
├─────────┼─────────┼────────┼────────┤
│룩셈부르크 │15.1 │13.9 │-1.2 │
├─────────┼─────────┼────────┼────────┤
│멕시코 │6.9 │6.9 │-0.0 │
├─────────┼─────────┼────────┼────────┤
│네덜란드 │9.6 │7.2 │-2.4 │
├─────────┼─────────┼────────┼────────┤
│뉴질랜드 │12.5 │11.6 │-0.9 │
├─────────┼─────────┼────────┼────────┤
│노르웨이 │10.6 │8.9 │-1.7 │
├─────────┼─────────┼────────┼────────┤
│폴란드 │14.6 │11.5 │-3.1 │
├─────────┼─────────┼────────┼────────┤
│포르투갈 │24.1 │21.5 │-2.6 │
├─────────┼─────────┼────────┼────────┤
│슬로바키아 │19.2 │18.6 │-0.6 │
├─────────┼─────────┼────────┼────────┤
│슬로베니아 │11.0 │9.6 │-1.4 │
├─────────┼─────────┼────────┼────────┤
│스페인 │40.8 │35.6 │-5.2 │
├─────────┼─────────┼────────┼────────┤
│스웨덴 │18.3 │15.9 │-2.4 │
├─────────┼─────────┼────────┼────────┤
│스위스 │8.1 │8.3 │+0.2 │
├─────────┼─────────┼────────┼────────┤
│터키 │21.7 │ │ │
├─────────┼─────────┼────────┼────────┤
│영국 │12.2 │11.8 │-0.5 │
├─────────┼─────────┼────────┼────────┤
│미국 │9.7 │8.9 │-0.8 │
├─────────┼─────────┼────────┼────────┤
│OECD 전체 │12.3 │11.1 │-1.2 │
└─────────┴─────────┴────────┴────────┘
※ 자료 : OECD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