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규·김정태 회장 기소 제외… "금감원 검사 처음부터 무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채용비리 6개 은행 38명 기소
은행 "경영 공백 피했다"
"영업강화 위한 추천제 유지…모두 비리로 모는 것은 억울"
은행 "경영 공백 피했다"
"영업강화 위한 추천제 유지…모두 비리로 모는 것은 억울"
KB금융, 하나금융 등 은행권은 검찰이 17일 내놓은 ‘은행권 채용비리 중간수사 결과’에 안도하는 분위기다.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 등 현직 금융그룹 최고경영자(CEO)들이 기소 대상에서 제외돼 경영 공백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면했기 때문이다. 금융계에선 금융감독원이 두 현직 회장을 수사해 달라고 검찰에 이첩한 것 자체가 무리수였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다.
검찰이 이날 발표한 수사 결과에 따르면 기소 대상에서 윤 회장과 김 회장은 빠졌다. 금감원은 윤 회장의 경우 증손녀(친누나의 손녀)가 국민은행에 채용될 때 윤 회장이 영향력을 행사한 정황이 있다며 검찰에 넘겼다. 검찰은 이후 윤 회장에 대해 압수수색과 소환조사 등을 벌인 결과 혐의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금감원은 김 회장과 관련해선 2013년 KEB하나은행 채용에서 ‘김OO(회)’로 기재돼 있는 메모에서 (회)가 김 회장의 추천을 가리키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검찰에 넘겼다. 검찰은 하지만 김 회장에 대한 수사 결과 역시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금융계에선 금감원이 지배구조 문제를 놓고 민간 금융회사와 갈등을 빚자 무리하게 검사를 확대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금감원이 두 금융그룹 회장을 타깃으로 삼고 있었다는 말이 파다했다”며 “이번 검찰 수사 결과는 금감원의 검사 목적과 민간 금융회사에 대한 검사 관행 자체가 잘못됐다는 점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금융계는 검찰이 두 회장을 기소했으면 상당한 혼란이 빚어졌을 것이라며 안도하고 있다.
금융사 임직원들은 검찰이 과거 영업 강화를 위해 실시한 추천제도, 남녀 성비 및 출신대학을 균등하게 맞추기 위해 진행한 조정 작업까지 모두 채용비리로 보고 있는 것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영업 차원에서 VIP급 고객들이 추천한 지원자에게 서류전형을 면제해 준 것은 그간 은행들의 내부 관행이었다”며 “영업을 중시하는 은행 특성을 검찰에서 이해하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특정 대학 출신이나 성별에 합격자가 집중되지 않도록 비중을 조절한 것 전부를 채용비리로 보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고 평가했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
검찰이 이날 발표한 수사 결과에 따르면 기소 대상에서 윤 회장과 김 회장은 빠졌다. 금감원은 윤 회장의 경우 증손녀(친누나의 손녀)가 국민은행에 채용될 때 윤 회장이 영향력을 행사한 정황이 있다며 검찰에 넘겼다. 검찰은 이후 윤 회장에 대해 압수수색과 소환조사 등을 벌인 결과 혐의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
금감원은 김 회장과 관련해선 2013년 KEB하나은행 채용에서 ‘김OO(회)’로 기재돼 있는 메모에서 (회)가 김 회장의 추천을 가리키는 것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검찰에 넘겼다. 검찰은 하지만 김 회장에 대한 수사 결과 역시 혐의가 없다고 판단했다.
금융계에선 금감원이 지배구조 문제를 놓고 민간 금융회사와 갈등을 빚자 무리하게 검사를 확대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 은행 관계자는 “금감원이 두 금융그룹 회장을 타깃으로 삼고 있었다는 말이 파다했다”며 “이번 검찰 수사 결과는 금감원의 검사 목적과 민간 금융회사에 대한 검사 관행 자체가 잘못됐다는 점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금융계는 검찰이 두 회장을 기소했으면 상당한 혼란이 빚어졌을 것이라며 안도하고 있다.
금융사 임직원들은 검찰이 과거 영업 강화를 위해 실시한 추천제도, 남녀 성비 및 출신대학을 균등하게 맞추기 위해 진행한 조정 작업까지 모두 채용비리로 보고 있는 것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한 은행 관계자는 “영업 차원에서 VIP급 고객들이 추천한 지원자에게 서류전형을 면제해 준 것은 그간 은행들의 내부 관행이었다”며 “영업을 중시하는 은행 특성을 검찰에서 이해하지 못한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른 은행 관계자는 “특정 대학 출신이나 성별에 합격자가 집중되지 않도록 비중을 조절한 것 전부를 채용비리로 보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고 평가했다.
윤희은 기자 soul@hankyung.com